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이론
4. 실험장치
5. 실험방법
6. 예비고찰
7. 참고문헌
2. 실험목적
3. 실험이론
4. 실험장치
5. 실험방법
6. 예비고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여 이를 n값으로 한다.
(5) n이 결정되면 마지막의 (V-+V+)/2n 칸을 완성한다. 이 값들은 다 엇 비슷한 값일 것이다. 세로로 나열된 이 값들의 평균을 취해둔다.
(6) 자유낙하속도 Vo의 평균을 구하여 (1)식과 (3)식으로부터 기름방울의 반경을 계산한다.
(7) (6)에서 구한 기름방울의 반경과 과정 (5)의 평균값으로부터 전자 전하를 구한다.
(8) (7)에서 구한 전자전하가 이미 알려진 전자전하의 정수배로 클 경우에는 n의 값을 다시 조정해야 할 것이다. 기름방울 1개에 대한 결과만으로는 전하값을 결정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즉 (7)의 과정에서 구한 전자 전하는 여전히 전하의 정수배의 값일 수 있다.
(9) 다른 기름방울의 결과를 위와같이 해석하여 전체 데이터로부터 전하의 기본량을 결정한다
6. 예비고찰
밀리컨의 기름방울 실험이다. 이 실험은 기본 전하량을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큰 역사적 의의를 지녔다고 생각한다. 전압을 걸어주었을 때의 속력과 전압을 걸어주지 않았을 때의 속력을 측정하여 전자의 전하량을 구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하 q를 기본전하의 정수배로 보았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하여 보았는데 아마도 미세한 기름방울을 몇 개의 기본전하가 모인 덩어리로 생각하여 정수배라 한것이라 판단된다. 또 이번실험에 있어서 확인해 보고 싶은 것은 전압을 적당히 조절하여 기름방울을 정지시킬 수 있을 것이라 했는데 이것이 실제 가능한 것인지 눈으로 확인해 보고 싶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기름방울의 질량도 측정해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측정치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우리가 얻고자하는 값은 실험 당일 공기나 기름의 밀도, 공기의 점성계수들에 의해서 아마도 오차값이 나타날 것이라고 판단된다.
7. 참고문헌
- http://physica.gsnu.ac.kr/physedu/modexp/Millikan/main.htm
- http://www.threei.co.kr/~dushin/physics/modern/exp07.htm
- http://musim.org/myboard/read.cgi?board=pds&y_number=15&nnew=2
- Experiments in Modern Physics. A.C.Melissinos, Academic Press (2 8쪽)
- Method of Experimental Physics. Academic Press, Vol.4B (2 12쪽)
학 번
이 름
(5) n이 결정되면 마지막의 (V-+V+)/2n 칸을 완성한다. 이 값들은 다 엇 비슷한 값일 것이다. 세로로 나열된 이 값들의 평균을 취해둔다.
(6) 자유낙하속도 Vo의 평균을 구하여 (1)식과 (3)식으로부터 기름방울의 반경을 계산한다.
(7) (6)에서 구한 기름방울의 반경과 과정 (5)의 평균값으로부터 전자 전하를 구한다.
(8) (7)에서 구한 전자전하가 이미 알려진 전자전하의 정수배로 클 경우에는 n의 값을 다시 조정해야 할 것이다. 기름방울 1개에 대한 결과만으로는 전하값을 결정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즉 (7)의 과정에서 구한 전자 전하는 여전히 전하의 정수배의 값일 수 있다.
(9) 다른 기름방울의 결과를 위와같이 해석하여 전체 데이터로부터 전하의 기본량을 결정한다
6. 예비고찰
밀리컨의 기름방울 실험이다. 이 실험은 기본 전하량을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큰 역사적 의의를 지녔다고 생각한다. 전압을 걸어주었을 때의 속력과 전압을 걸어주지 않았을 때의 속력을 측정하여 전자의 전하량을 구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하 q를 기본전하의 정수배로 보았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하여 보았는데 아마도 미세한 기름방울을 몇 개의 기본전하가 모인 덩어리로 생각하여 정수배라 한것이라 판단된다. 또 이번실험에 있어서 확인해 보고 싶은 것은 전압을 적당히 조절하여 기름방울을 정지시킬 수 있을 것이라 했는데 이것이 실제 가능한 것인지 눈으로 확인해 보고 싶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이용하여 기름방울의 질량도 측정해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측정치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우리가 얻고자하는 값은 실험 당일 공기나 기름의 밀도, 공기의 점성계수들에 의해서 아마도 오차값이 나타날 것이라고 판단된다.
7. 참고문헌
- http://physica.gsnu.ac.kr/physedu/modexp/Millikan/main.htm
- http://www.threei.co.kr/~dushin/physics/modern/exp07.htm
- http://musim.org/myboard/read.cgi?board=pds&y_number=15&nnew=2
- Experiments in Modern Physics. A.C.Melissinos, Academic Press (2 8쪽)
- Method of Experimental Physics. Academic Press, Vol.4B (2 12쪽)
학 번
이 름
추천자료
세녹스의 의미 정부의 태도
미국의 복지
한국 전통가옥, 한옥의 우수성
한국인의 잘 못된 인식
[경제도서독후감]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FT-IR분광법에 의한 고체박막의 특성
고유가 상황에 따른 국내경제의 영향과 대응방안
미역의 영양성분과 효능 및 활용 (식품학)
국제석유시장
원자력의 장점 고찰과 INIS(국제원자력정보시스템)의 개념, INIS(국제원자력정보시스템)의 등...
F.T.S 박막증착에 관한 보고서
2nd-에너지, 신재생에너지.PPT자료
사업타당성평가,사업타당성분석,타당성분석사례,사업타당성사례,에너지진단기업
[지구의 이해] 우리나라의 실정과 대체에너지 모색의 필요성, 화석연료 에너지의 대안(태양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