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분석 ‘이브의 모든 것’ 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드라마 분석 ‘이브의 모든 것’ 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 드라마 선정의 이유와 전체 STORY

나. 인물분석
1. 중심인물
2. 인물 간의 관계분석

다. 드라마 전개상의 분석
1. 서사체 (Narrative) 분석
2. 이야기 (story/plot) 분석
3. 다른 드라마와의 비교

라. 나의 생각
1. 드라마 속, 여성의 일과 사랑
2. 드라마 속의 가족

본문내용

영미에 비해 떨어졌던 선미가 최종적으로 최고의 아나운서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윤이사와의 사랑에 성공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여자에게 있어 일보다 사랑이 더 중요하게 된다는 것은 결국 수동적 여성상을 나타내어 준다. 드라마 후반부에 들어서는 기존 드라마에서 보여주던 여성들의 진부한 면이 그대로 드러났다고 할 수 있다. 진선미의 노력은 아름다울 만큼만, 허영미의 노력은 부당하리만큼 지나치게 그려주는 등의 남자들이 바라는 이상적인 여성상을 이 드라마에서 보여주고 있기에 인기를 끌었음에도 불구하고 비판이 되고 있는 것이다. 프로가 되어 자아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여성의 모습에도 불구하고 여성들이 추구하고자 한 '이브의 모든 것'이 결국은 남자의 사랑이었다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드라마라 할 수 있다.
2. 드라마 속의 가족
이 드라마에 등장하는 가족은 일반적으로 표현되어지는 정상적인 가족은 없다. 허영미의 아버지는 집안을 돌보지 않는 술주정뱅이이고 어머니는 6살 때 집을 나가 돌아오지 않는다. 비교적 화목한 가정이지만 편부모의 가정인 우진과 선미의 가족 역시 일반적 가족의 구성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윤이사 역시 윤회장의 외도로 어머니는 평생 아버지의 사랑에 목말라하다가 죽어간다는 불행한 가족사를 그려내고 있다. 드라마 속에 이러한 가족의 구성은 예전부터 자주 등장하였다. 현재 방영되고 있는 천국의 계단에도 그 구성원의 가족은 편부모 또는 편부모간의 재혼을 통한 새로운 가족의 탄생으로 인해 그 안에서 적응하여 나가는 아이들의 모습을 드라마 초반에 그려냈다. 집안일에 무관심하거나 폭군인 아버지와 계모의 미움은 드라마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의 하나였다. 드라마에서는 극적 요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그러한 하나의 장치로서 완벽한 가족 보다는 불완전한 가족을 그려내는 것이 내용의 전개상 수월하고 필연성을 부여해 주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족에 대한 부정적 방향을 드라마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보여줌으로 인해서 드라마를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그러한 사실들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한다는 데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드라마 속에 나타난 편부모 가족이 나쁘게 그려지면 질수록 편부모의 아이들과 그 부모들은 알게 모르게 사회적인 피해자가 될 수 있으므로 드라마를 제작할 때 단순히 극적 흥미를 위하여 이러한 여러 요소들을 적용할 것이 아니라 신중하게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는 지혜를 발휘하여야 한다.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7.01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7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