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대만 경제의 발전과정과 기본구조
1. 경제의 발전과정 기본구조
1) 경제발전과정
2) 경제지표
3) 산업구조
4) 산업정책
2. 무역정책 및 무역구조
1) 무역정책
2) 수출상품의 구조분석
3) 수출시장의 구조변화
Ⅲ. 대만 경제 발전의 원동력
1. 전반적인 조건
2. 국민성과 자연조건
3. 경쟁력 있는 대만기업
4. 적극적 대외개방
5. 우수한 교육제도
Ⅳ. 대만 경제가 강한 이유
1. 외채 없는 성장
2. 국가정책
3. 경쟁력 있는 기업
4. 현안에 대한 관심
Ⅴ. 대만과 중국, 일본, 미국과의 관계
1. 경제관계와 전망
2. 향후전망
Ⅵ. 대만의 현재모습과 앞으로의 전망
Ⅶ. 결론
Ⅱ. 대만 경제의 발전과정과 기본구조
1. 경제의 발전과정 기본구조
1) 경제발전과정
2) 경제지표
3) 산업구조
4) 산업정책
2. 무역정책 및 무역구조
1) 무역정책
2) 수출상품의 구조분석
3) 수출시장의 구조변화
Ⅲ. 대만 경제 발전의 원동력
1. 전반적인 조건
2. 국민성과 자연조건
3. 경쟁력 있는 대만기업
4. 적극적 대외개방
5. 우수한 교육제도
Ⅳ. 대만 경제가 강한 이유
1. 외채 없는 성장
2. 국가정책
3. 경쟁력 있는 기업
4. 현안에 대한 관심
Ⅴ. 대만과 중국, 일본, 미국과의 관계
1. 경제관계와 전망
2. 향후전망
Ⅵ. 대만의 현재모습과 앞으로의 전망
Ⅶ. 결론
본문내용
실히 향상된다.”고 말한 것처럼 대만에 경제발전에 있어서 중국의 비중은 점점 더 커질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에 미국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아지겠지만 중국과 미국과의 정치적 관계 및 경제적 관계에서의 견제와 수십 년 동안 의존해온 수출시장으로서의 미국의 영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Ⅵ. 대만의 현재모습과 앞으로의 전망
80년대에 접어들면서 대만은 빈곤 상태에서 완전히 벗어나 번영의 시기를 구가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대다수의 대만 기업인들은 이에 만족치 않거나 경제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더욱 부지런히 노력함으로써 해외로 뻗어나가는 경제발전을 이룩하는 한편 전통산업사회를 신흥공업국가로 탈바꿈시켰다. 다만 일부에서는 `벼락부자(一夜致富)'를 꿈꾸며 흥청망청 탐닉에 몰입하는가 하면 도박, 투기 등 각종 사회적 병리 현상에 빠지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이와 같은 현상을 타파하지 못 할 경우 대만은 지속적으로 경제발전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정부도 발 벗고 나서야 한다. 노동윤리의 중요성 등에 대한 교육이 만족스럽게 이뤄지고 정부 역시 장기적이고 보다 합리적인 대책을 마련한다면 경제발전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대만 시장은 이미 국제화 및 세계화를 향해 발을 옮겨 놓기 시작했다. 비록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생산 요소들이 많지만 무엇보다도 양호한 투자환경이야말로 우수한 생산 자원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전제 조건이다. 다음은 대만 경제가 현재 직면해 있는 각종 도전들이다.
기술ㆍ산업 : 대만은 이미 저렴한 노동력이라는 비교 우위를 상실한 만큼 앞으로 기술 집약산업에 의존해야 하므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부단히 기술개발에 정진해야 한다. 기술 발전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기타 개발도상국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할 수 없다. 기술적 진보가 실현돼야만 대만은 저렴한 노동 비용을 바탕으로 선진국들과도 효율적으로 경쟁할 수 있게 된다.
농ㆍ수산업 : 농업부문의 발전은 이미 국내외적으로 수많은 도전에 직면하는 등내우 외환적인 국면을 띠고 있다. 즉, 국내적으로는 태풍 등 끊임없는 자연 재해로 土石이 유출됨에 따라 지층이 함몰되고, 이는 또 농토로의 해수 유입을 초래했다. 아울러 하천 및 근해의 오염으로 수산물 생산량이 대폭 감소했다.
외부적으로는 세계무역기구(WTO)출범으로 이제 하루아침에 외국산 농수산물이 대만 시장에 대거 유입될 위기에 놓여 있으며 앞으로 兩岸간의 직접 통상이 실현 될 경우 중국 농산품까지도 대만 시장에 쏟아져 들어오는 등 대만 농업계는 회복하기 힘든 타격을 입게 될 것이다.
정치ㆍ경제 : 지난 수년간 대만의 투자환경은 끝내 개선될만한 어떠한 조짐도 보이지 않았다. 이익 단체들은 정부 정책이 자신들에게 유리하도록 로비를 계속하는 가운데. 케케묵은 낡은 법규 및 규제책들은 산업발전에 오히려 장애물로 작용했다. 특히 사회 전반의 치안 문제까지 겹쳐 생활환경은 안정과 평정을 띠지 못했다.
한 나라의 경제 발전이 성숙 단계에 이르렀을 때 대외 투자는 자연스럽게 늘어나기 마련이다. 대만의 민간기업들은 생산 시설의 해외 이동을 통한 해외 투자를 모색해왔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동남아 국가들에 대한 투자를 모색해 온 정부의 `南向 政策' 전망이 현재로서는 낙관적이지 못한 편이다. 아울러 상공업계는 지난 96년 정부에 대륙에 대한 업계의 조급한 투자를 용인해줄 것을 요구하는 '戒急用忍' 정책을 제출 한 바 있다. 정부와 업계가 함께 국가 안보와 경제 발전의 대계(大計)에 대한 논의를 진행시켜야 할 필요성이 바로 여기에 있다.
세계경제에서에 대만 : 세계 도처에 블록 경제가 형성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등으로 구성된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와 서구 유럽 15개국이 참가하는 EU(유럽연합), 또 아시아 및 태평양 국가들로 구성된 APEC(亞. 太경제협력체) 등이 그것이다. 대만은 APEC회원국이지만 대륙과의 관계가 개선되지 않는 한 APEC 내에서의 지위는 우려되는 수준을 벗어날 수 없게 된다.
이와 반대로 대만과 홍콩, 마카오, 중국 등이 정치적인 이견들을 잠시 제쳐두고 상호간의 경제 활동을 늘려가면서 상부상조의 잠재력을 발휘한다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지속적인 경제 발전을 이끌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Ⅶ. 결론
우리는 아시아의 외환위기라는 거대한 충격 속에서도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하는 대만을 보며 대만경제에 대해 새롭게 되돌아보게 되었다. 하지만, 대만은 이미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으로 저만치 앞선 경제 메커니즘을 통해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유지해오고 있었다.
이는 오랫동안 축적된 경쟁력과 국민의 신뢰를 받는 정부의 정책운영, 시장기능을 중시한 경쟁 환경,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 기업의 건전한 재무구조, 에너지 절약 및 국민의 실리적인 의식구조 등 우리에게 시사점을 주는 경제발전 요소들에 조화를 통해 가능했던 것이다. 물론 대만 경제 자체에도 문제점이 없는 건 아니다. 앞에서 소개하였듯이 대만 또한 계속적인 경제발전을 위해서 해결해야할 현안들이 있다. 또한 중국과의 관계 등 미묘한 외부적 요인들도 존재한다. 하지만, 일관적이고 계속적인 정부의 경제정책 의지와 미래지향적이고 안정적인 기업운영, 실리적이고 검소한 국민의식이 과거와 현재에 이어 미래에까지 계속해서 진행된다면 대만 경제는 지금과 같은 경제발전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 대만경제 왜 튼튼한가? ( 김원태,유진석:삼성경제연구원 )
▒ 2003 대만경제 ( 통계청 )
▒ 외화위기에 대한 한국ㆍ대만의 충격 비교 (삼성경제연구소)
▒ 경향신문 1998년 10월 28일
▒ 주성환, "남한과 대만의 경제발전전략과 기업구조",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한국과 대만의 경제발전전략비교분석", 한국동북아경제학회,
▒ Taiwan statistical data book 2000.
▒ Taiwan 2003 YearBook
http://www.mof.gov.tw
http://cus.trade.gov.tw
經濟部: http://www.moea.gov.tw
主計處: http://www.stat.gov.tw
Ⅵ. 대만의 현재모습과 앞으로의 전망
80년대에 접어들면서 대만은 빈곤 상태에서 완전히 벗어나 번영의 시기를 구가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대다수의 대만 기업인들은 이에 만족치 않거나 경제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더욱 부지런히 노력함으로써 해외로 뻗어나가는 경제발전을 이룩하는 한편 전통산업사회를 신흥공업국가로 탈바꿈시켰다. 다만 일부에서는 `벼락부자(一夜致富)'를 꿈꾸며 흥청망청 탐닉에 몰입하는가 하면 도박, 투기 등 각종 사회적 병리 현상에 빠지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이와 같은 현상을 타파하지 못 할 경우 대만은 지속적으로 경제발전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정부도 발 벗고 나서야 한다. 노동윤리의 중요성 등에 대한 교육이 만족스럽게 이뤄지고 정부 역시 장기적이고 보다 합리적인 대책을 마련한다면 경제발전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대만 시장은 이미 국제화 및 세계화를 향해 발을 옮겨 놓기 시작했다. 비록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생산 요소들이 많지만 무엇보다도 양호한 투자환경이야말로 우수한 생산 자원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전제 조건이다. 다음은 대만 경제가 현재 직면해 있는 각종 도전들이다.
기술ㆍ산업 : 대만은 이미 저렴한 노동력이라는 비교 우위를 상실한 만큼 앞으로 기술 집약산업에 의존해야 하므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부단히 기술개발에 정진해야 한다. 기술 발전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기타 개발도상국들과의 경쟁에서 승리할 수 없다. 기술적 진보가 실현돼야만 대만은 저렴한 노동 비용을 바탕으로 선진국들과도 효율적으로 경쟁할 수 있게 된다.
농ㆍ수산업 : 농업부문의 발전은 이미 국내외적으로 수많은 도전에 직면하는 등내우 외환적인 국면을 띠고 있다. 즉, 국내적으로는 태풍 등 끊임없는 자연 재해로 土石이 유출됨에 따라 지층이 함몰되고, 이는 또 농토로의 해수 유입을 초래했다. 아울러 하천 및 근해의 오염으로 수산물 생산량이 대폭 감소했다.
외부적으로는 세계무역기구(WTO)출범으로 이제 하루아침에 외국산 농수산물이 대만 시장에 대거 유입될 위기에 놓여 있으며 앞으로 兩岸간의 직접 통상이 실현 될 경우 중국 농산품까지도 대만 시장에 쏟아져 들어오는 등 대만 농업계는 회복하기 힘든 타격을 입게 될 것이다.
정치ㆍ경제 : 지난 수년간 대만의 투자환경은 끝내 개선될만한 어떠한 조짐도 보이지 않았다. 이익 단체들은 정부 정책이 자신들에게 유리하도록 로비를 계속하는 가운데. 케케묵은 낡은 법규 및 규제책들은 산업발전에 오히려 장애물로 작용했다. 특히 사회 전반의 치안 문제까지 겹쳐 생활환경은 안정과 평정을 띠지 못했다.
한 나라의 경제 발전이 성숙 단계에 이르렀을 때 대외 투자는 자연스럽게 늘어나기 마련이다. 대만의 민간기업들은 생산 시설의 해외 이동을 통한 해외 투자를 모색해왔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동남아 국가들에 대한 투자를 모색해 온 정부의 `南向 政策' 전망이 현재로서는 낙관적이지 못한 편이다. 아울러 상공업계는 지난 96년 정부에 대륙에 대한 업계의 조급한 투자를 용인해줄 것을 요구하는 '戒急用忍' 정책을 제출 한 바 있다. 정부와 업계가 함께 국가 안보와 경제 발전의 대계(大計)에 대한 논의를 진행시켜야 할 필요성이 바로 여기에 있다.
세계경제에서에 대만 : 세계 도처에 블록 경제가 형성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 멕시코 등으로 구성된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와 서구 유럽 15개국이 참가하는 EU(유럽연합), 또 아시아 및 태평양 국가들로 구성된 APEC(亞. 太경제협력체) 등이 그것이다. 대만은 APEC회원국이지만 대륙과의 관계가 개선되지 않는 한 APEC 내에서의 지위는 우려되는 수준을 벗어날 수 없게 된다.
이와 반대로 대만과 홍콩, 마카오, 중국 등이 정치적인 이견들을 잠시 제쳐두고 상호간의 경제 활동을 늘려가면서 상부상조의 잠재력을 발휘한다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지속적인 경제 발전을 이끌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Ⅶ. 결론
우리는 아시아의 외환위기라는 거대한 충격 속에서도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하는 대만을 보며 대만경제에 대해 새롭게 되돌아보게 되었다. 하지만, 대만은 이미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으로 저만치 앞선 경제 메커니즘을 통해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유지해오고 있었다.
이는 오랫동안 축적된 경쟁력과 국민의 신뢰를 받는 정부의 정책운영, 시장기능을 중시한 경쟁 환경,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 기업의 건전한 재무구조, 에너지 절약 및 국민의 실리적인 의식구조 등 우리에게 시사점을 주는 경제발전 요소들에 조화를 통해 가능했던 것이다. 물론 대만 경제 자체에도 문제점이 없는 건 아니다. 앞에서 소개하였듯이 대만 또한 계속적인 경제발전을 위해서 해결해야할 현안들이 있다. 또한 중국과의 관계 등 미묘한 외부적 요인들도 존재한다. 하지만, 일관적이고 계속적인 정부의 경제정책 의지와 미래지향적이고 안정적인 기업운영, 실리적이고 검소한 국민의식이 과거와 현재에 이어 미래에까지 계속해서 진행된다면 대만 경제는 지금과 같은 경제발전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 대만경제 왜 튼튼한가? ( 김원태,유진석:삼성경제연구원 )
▒ 2003 대만경제 ( 통계청 )
▒ 외화위기에 대한 한국ㆍ대만의 충격 비교 (삼성경제연구소)
▒ 경향신문 1998년 10월 28일
▒ 주성환, "남한과 대만의 경제발전전략과 기업구조",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한국과 대만의 경제발전전략비교분석", 한국동북아경제학회,
▒ Taiwan statistical data book 2000.
▒ Taiwan 2003 YearBook
http://www.mof.gov.tw
http://cus.trade.gov.tw
經濟部: http://www.moea.gov.tw
主計處: http://www.stat.gov.tw
추천자료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과 통일후 북한의 비교우위 및 경제발전 전략
[한국경제][한국경제위기][IMF][한국경제개발전략][한국경제개발정책][한국경제개혁][한국경...
[싱가폴][싱가포르][싱가폴경제][싱가포르경제]싱가포르(싱가폴)의 경제현황, 싱가포르(싱가...
[지속가능발전]지속가능이란, 지속가능발전 개념과 정의 및 특징, 지속가능한 경제발전, 사회...
홍콩의 경제발전, 홍콩의 공공주거, 홍콩의 대중국교역, 홍콩의 여행, 홍콩의 영화산업, 홍콩...
브라질 경제발전, 공업화 전략, 수입대체, 추진 단계, 향후 경제전망, 한국 경제 발전과 비교...
말레이시아 경제발전, 성공요인, 산업혁명, 성장 전략, 시장 정책, 경제위기 극복, 문제점, ...
중국의 경제발전, 성공요인, 성장 전략, 노동 시장 정책, 경제위기 극복, 문제점, 경제 전망,...
러시아 경제(정치) 성장과 경제발전 (러시아 개관, 레닌 러시아 경제, 푸틴 러시아 경제, 러...
경제성장의 정의, 경제성장의 원인과 침체, 경제성장의 과거과 단계, 경제성장 경제발전, 지...
[일본경영, 경제발전, 디자인전략, 품질장려상, 지상파방송, 일제시대]일본경영과 경제발전, ...
[기업 경제][기업 경제주권][기업 경제발전][기업 경제불안][기업 경제환경][기업 경제문제][...
[기업 경제][기업][경제][기업 경제위기][기업 경제협력][기업 경제정책][기업 경제발전][기...
경제성장과 사회복지 - 중국,중국의 경제성장과 사회복지제도,중국의 경제발전사,중국의 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