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우선 이렇게 좋은 책을 읽은 후에 나의 견해를 피력 하기에는 많이 부족한데 다양한 관점으로 나름대로 비판과 현 정국<대한민국>을 실예를 들어서 해석 해봤습니다.
첫번째로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Macchiavellism이 나쁜 이미지로 사람들에게 인식이 되고 있는 것에 대한 제 나름의 역설을 하고싶다.
M에 대한 것은 근대시대 프랑스인들이 만들어낸 하나의 신어 라고 생각이 들고, 그 이유는 당시 프랑스는 공화정을 기반으로 하는 나라이자 강국이고 여러 공국 들을 공화정으로 만들어 합병을 시도하는 시기였다.
그런데 마키아가 “군주론” 이라는 군주정을 옹호하는 책을 집필하였는데 혹 자국민<프랑스>들이 군주정을 지지하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 때문에 이에 따른 파장을 막기위한 프랑스 공화정에 하나의 정치적 술책이 아닐까?
이제 관점에 대해서 이야기를 시작해보자.
“군주론”은 군주가 보는 관점<즉 내가 군주>, 신민들이 보는 관점<내가 신민>과 마키아 <내가 마키아>가 되어보는 관점들로 간략하게 나누어 본다.
1.군주가 보는 “군주론”
국가의 군주라면 “군주론” 에서 언급하고 강조한 내용<사악함은 배제>은 알고있다라고 가정해 생각해 본다면 정말 더할 나위 없는 군주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을 모른다면 “군주론”에서 언급을 했듯이 어리석고 패망의 길로 몰고 가는 군주뿐이 안 된다. 그러니 군주가 그를 불러 준다는 이론은 성립 하지 못한다. 내가 후자의 군주라면 가차없이 그를 잡아 쳤을 것이고 전자에 군주라면 이 군주론은 읽을 필요조차 없다고 본다.
그리고 군주론 한 부분을 발췌 해서 본다면 “강력한 도움을 준 자는 두려움의 대상이 된다” 라고 명기 되어있다.
즉 “타인을 강하게 하는 자는 자멸을 자초할 뿐이다” 라고 마키아는 논하고 있지만 정작 그 자신은 이러한 이론에 타당하지 못한다는 생각을 안 했을 것 이라고 본다.
첫번째로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Macchiavellism
M에 대한 것은 근대시대 프랑스인들이 만들어낸 하나의 신어 라고 생각이 들고, 그 이유는 당시 프랑스는 공화정을 기반으로 하는 나라이자 강국이고 여러 공국 들을 공화정으로 만들어 합병을 시도하는 시기였다.
그런데 마키아가 “군주론” 이라는 군주정을 옹호하는 책을 집필하였는데 혹 자국민<프랑스>들이 군주정을 지지하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 때문에 이에 따른 파장을 막기위한 프랑스 공화정에 하나의 정치적 술책이 아닐까?
이제 관점에 대해서 이야기를 시작해보자.
“군주론”은 군주가 보는 관점<즉 내가 군주>, 신민들이 보는 관점<내가 신민>과 마키아 <내가 마키아>가 되어보는 관점들로 간략하게 나누어 본다.
1.군주가 보는 “군주론”
국가의 군주라면 “군주론” 에서 언급하고 강조한 내용<사악함은 배제>은 알고있다라고 가정해 생각해 본다면 정말 더할 나위 없는 군주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을 모른다면 “군주론”에서 언급을 했듯이 어리석고 패망의 길로 몰고 가는 군주뿐이 안 된다. 그러니 군주가 그를 불러 준다는 이론은 성립 하지 못한다. 내가 후자의 군주라면 가차없이 그를 잡아 쳤을 것이고 전자에 군주라면 이 군주론은 읽을 필요조차 없다고 본다.
그리고 군주론 한 부분을 발췌 해서 본다면 “강력한 도움을 준 자는 두려움의 대상이 된다” 라고 명기 되어있다.
즉 “타인을 강하게 하는 자는 자멸을 자초할 뿐이다” 라고 마키아는 논하고 있지만 정작 그 자신은 이러한 이론에 타당하지 못한다는 생각을 안 했을 것 이라고 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