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형제 동화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그림형제 동화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한스와 그레텔 vs 수수께끼
△ 동화에서 나오는 가출의 양상
△ 숲의 의미
△ 마녀의 유혹 :
△ 동화에서 나오는 아버지의 부재
△ 동물의 역할
△ 한스와 그레텔에서의 계모의 갑작스런 죽음 :
△ 수수께끼에서 공주의 수법 발설
△ 한스와 그레텔에 나타난 소년의 입문의식
△ 두소설에 나타난 자연모
△ 민담에 나타난 잔혹행위

□ 숲속의 노파 vs 무쇠난로
△ 숲속의 노파와 무쇠난로에 나타난 유사성 / 차이점
△ 두작품에 나타난 3의 법칙
△ 민담에 나타난 순종적 여성상
△ 두작품에 나타난 묵언의 의미

□ 트로테 부인
△ 특성
△ 트루테 부인 vs 한국의 청개구리
△ 트루테 부인에 나오는 식인행위

□ 동화에 나오는 성
△ 인간의 식욕다음으로 가는 본능이 바로 성욕이다.
○ 소녀의 설정
○ 성적표현의 상징

본문내용

장기를 먹어 그 아름다움을 얻으려하는 장면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민담의 식인행위가 단순히 민간신앙이나 원시적 사유에서 비롯된 것만은 아니다.
그것의 모티브는 어린이에게 겁을 주어 특정한 행위를 못하게 하는 경고신호(하이어)나 경고민담
(뢰리히)로 역할을 하게 의도적으로 조작되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든다면 밤에 문둥병 환자들이 애기들의 간을 먹으니 밤에 나돌아 다니지 말라는 것과 같은 것이다.
□ 동화에 나오는 성
인간의 식욕다음으로 가는 본능이 바로 성욕이다.
그럼으로 오랫동안 사람의 입을 통하면서 인간의 본능이 상징화되고 함축화 되어 있는 이러한
민담에서도 성적인 요소들이 필히 존재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소녀의 설정
: 소녀는 대부분 아름다운 여성으로 나오는 데, 대부분 성적으로 성숙하면서도 때묻지 않고 순수한 여성으로 나온다. 이는 남성의 여성에 대한 성적이상이 잘 반영된 것 일수 있다.
공주나 마녀의 딸로서 주로 나오는 이유 또한 우아하면서 때묻지 않은 순수함을 간직한
여성에 대한 동경에서 나온 것일 것이다.
실제로 라푼젤에서는 왕자가 라푼젤의 머리를 타고 올라가 사랑을 나누는 장면이 나오기도 하고 수수께끼에서도 공주가 왕자에 방에 은밀하게 들어가는 장면과 시녀와 공주의 옷을 벗기고 알몸에 매질을 하는 성적인 장면들이 나타난다.
성적표현의 상징
남성의 성 상징 : 잠자는 숲속의 공주, 개구리 왕자님에서 나타난 개구리 (카네라리 요이치)
개구리 왕자에서 나타나는 황금공(독일 헤센 지방의 방언)
파란숲속에서 비밀의 방을 여는 열쇠(베텔하임)
잠자는 숲속의 공주에서 물레의 북(페처)
여성의 성 상징 : 신데릴라에서의 유리구두(베텔하임)
파란수염에서 파란수염이 아내에게 건네는 열쇠 - 정조대(칼 하인츠)
성적 행위 상징 : 개구리왕자에서 개구리와 공주가 침대에서 같이 잠잔 행위
신데릴라에서 신데릴라의 구두가 벗겨진 것 (모리 요시노부)
비밀의 방에서 열쇠로 문을 연 행위(베텔하임)
원판에서 삭제된 성적 표현 : 백설공주에서의 공주의 어머니 = 친모 (초판)
아버지와의 근친상간을 막기위함 (존엠 엘리스)
개구리 왕자에서 개구리가 왕자로 변해 공주의 침실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공주의 침대로 떨어짐 (초판)
참고 : 알고보면 무시무시한 그림동화(서울문화사, 키류 미사오)
그림형제의 동화집 "Kinder-und hausmarchen"에 나타난 女性像 연구(영남대 대학원, 정용남)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7.01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89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