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민속놀이종류및방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민속놀이종류및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과 조정의 고관들이 기로연 잔치 때에 여흥으로 많이 하였다.
이 놀이는 오늘날 민간에 전승되어 오지 않는 놀이 중 하나이다.
※ 기로연 : 조선시대에 70세 이상의 원로 문신들을 위로하고 예우하기 위해 봄 ·가을에 정기적으로 국가에서 베푼 잔치.
♣ 놀이 방법
⑴ 놀이 방법
① 편을 나눈다.
② 화살은 청백별로 색깔로 구분하고 각각 2개씩 준비하여 경기 위치에 선 다.
③ 경기장 구성은 도해처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④ "준비" 구령에 의해 제 1번 자기 화살을 던져 병속에 넣을 준비를 한다.
⑤ "시작" 구령에 따라 통을 향하여 가지고 있던 화살을 던진다.
⑥ 반복하여 차례로 던진다.
⑵ 승부 정하기와 규칙
· 던진 화살 가운데 통 속에 꽂힌 화살 수를 가려 많이 꽂힌 사람이 이기게 된다.
팽이 치기
겨울에 사내 아이들이 얼음판 위에서 많이 하는 놀이로 도래기치기라고도 한다. 팽이에는 아랫쪽은 뾰족하게 깎고 위는 평평하게 깎아 만든 보통 팽이 와 위 아래 모두 뾰족하게 깎아 만든 불팽이가 있다
얼음판이나 땅바닥에 손으로 팽이를 돌린 다음 가는 막대기에 헝겊 또는 삼실을달아 만든 팽이 채로 쳐서세게 돌리는데 여러 아이들이 저마다 팽이를 힘껏 친 다음 일제히 팽이채를 거두고 가장 오래 가는 팽이를 장원으로 뽑는다.
먼 옛날 도토리나 상수리처럼 둥글고 길쭉한 물체를 돌리기 시작한데서 유래됐을 것이라고도 하고,또 다른 설은 당나라때 놀이가 시작되어 삼국시대때 우리 나라에 전해지고 다시 일본에 건너가서 '고마'라는 이름으로 성행, 발전하여 우리 나라에 역으로 전해졌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추천자료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7.02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1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