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호구제도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호구제도의 역할
2. 호구제도의 변천
3. 호구제도의 현황과 변화
4. 호구제도 약화 배경과 문제점
5. 호구제도의 영향과 전망
6. 중국 정부의 대안

Ⅲ. 결론

본문내용

전면적인 개방이 아닌 단계적, 제한적 변화이다. 호구제도가 완전히 개방된다고 한다면, 고급인력의 유입과 농촌유휴인력의 도시이동에 따라 결국 과도한 농촌노동인력의 도시이동을 야기할 것이며, 이러한 급격한 인구유동의 폐단은 취업과 교육문제, 도시의 실업률 상승,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노동자들의 거주문제, 치안문제 등으로 나타날 것이며, 서서히 농촌경제가 몰락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이유로 중국은 단계적으로 호구제도를 개혁해 가고 있다.
Ⅲ.결론
현재 중국이 겪고 있는 향진기업 문제, 도시와 농촌의 소득격차 문제, 농민공문제 등 개혁개방에 따른 문제점들은 호구제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중국에서 호구제도의 근본적인 개혁이 없이는 효율적인 생산요소 시장이 형성될 수 없기 때문에 시장경제제도로의 이행이 불가능할 것이다. 이것은 도시와 농촌간의 소득격차가 심화되면서 사회의 불안정을 야기 시키게 되고, 지역간의 소득격차가 늘어나면서 지역간의 갈등으로 인해 향후 국가의 분열이라는 위기를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런 이유로 중국은 그 동안 중국 경제의 발목을 붙잡고 있던 호구제도를 개혁하여 세계화에 부응하는 체질로 개선하고자 하고 있다. 현재 중국의 노동력의 자유로운 흐름을 막는 역할을 하며 노동력시장 형성을 제약하고 있는 호적제도의 불합리성과 역할 약화 경향을 고려할 때 호적제도의 개혁은 불가피한 것이다. 그러나 현행 호구제도에 대한 개혁요구에 따른 변화 가능성도 충분히 존재하지만, 기득권 세력의 반발도 강하게 작용할 것이고, 경제가 발달한 지역의 호구 소유자들은 다른 지역 사람들이 자유롭게 들어오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에, 호구제도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기는 어려울 것이라 보인다.
참고문헌;
http://apollo.mokpo.ac.kr/~chungil/sino/cncp.htm
장범성고연걸 공저,《중국학 개론》, 한림대학교 출판부
베이징저널, 生活時報, 2001. 11. 16~22, http://www.root.re.kr/ho/h3-china.htm
한동훈, 중국 경제발전의 회고와 전망, 중앙일보, 2001.12.1
임성숙, 40년의 성역을 깬 호구제도 개방정책
사회진보연대 기획연재 신자유주의 시대의 중국, 흔들리는 중국,
http://www.hanshin.ac.kr/~swbaek/papers/china1.htm
http://www.dongbuchurch.or.kr/mission/m2/m2217.html

키워드

중국,   경제,   호구,   제도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7.03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2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