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려시대-
아들 딸 차별없이 균등 상속, 균등 의무
아내 재산 따로, 남편 재산 따로
여성도 호주가 되었던 사회
결혼과 이혼
-조선시대-
보조적 역할 담당자
조선조에 들어오면서 여성은 점차 권력에서 배제
조선전기의 지위과 고려시대와 유사하였음
17세기 이후 성리학의 지배이념이 확고하게 성립되면서 반전
조선시대의 일반 여성의 하루
유교사상과 여성의 지위
(참고문헌)
아들 딸 차별없이 균등 상속, 균등 의무
아내 재산 따로, 남편 재산 따로
여성도 호주가 되었던 사회
결혼과 이혼
-조선시대-
보조적 역할 담당자
조선조에 들어오면서 여성은 점차 권력에서 배제
조선전기의 지위과 고려시대와 유사하였음
17세기 이후 성리학의 지배이념이 확고하게 성립되면서 반전
조선시대의 일반 여성의 하루
유교사상과 여성의 지위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여성은 남성에 의해 주도되는 제사과정에서 주변에 머물러 있다. 제물을 만들고 제상을 차리는 일은 여성의 몫이다. 남성은 여성에 의해 준비된 제물들을 가지고 제사를 진행하면서도 여성에게는 제사에 참석할 권리를 주지 않는다. 따라서 남성 중심적인 제사의례는 여성으로 하여금 제사의례를 통해 형성되는 조상과 후손의 연대감 및 과거에 대한 기억에 참여할 수 없도록 만든다.
이렇듯 근대의 바로 전 시기인 조선시대의 여성의 지위가 제약이 많았음은 한눈에 알 수가 있었다.
어쩌면 이 시대의 우리 여성들의 고려시대와는 달리 불공평 차별을 받는 것은 조선시대의 여성의 지위가 지금까지 이어져 온 것은 아닐까?
여성의 주변적 역할과 남성중심의 문화는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한 근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의 기회가 넓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직장에서 여성의 기능은 순종적이고 수동적인 역할에 한정되는 경우가 많다. 회사에서는 여성에게 상사와 동료들의 차 심부름이 기대되고, 회식에서도 여성은 상사의 술 따르기와 말 상대자로 여겨진다. 그리고 업무 분담에서도 여성은 창의적이고 중요한 사안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남성에 비해 여성의 승진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는 상황이 초래되는 경우까지 있다.
지금 우리에게 아직 사라지지 않은 남존여비사상은 사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야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닙니다.
앞에서 살펴 본바와 같이 고려시대엔 여성도 호주가 가능했으며 그리고 조선시대와는 달리 여자의 재가도 허용되었고, 딸이 제사를 지내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조선 시대에 들어서면서 유교사상이 자리잡으면서 여성의 지위는 그야말로 땅으로 떨어지기 시작했다.
우리는 지금 여기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비교 분석해보면서 지금 현재 우리나라에서 여성이 처한 상황을 분석 반성해야만 한다.
왜 여성은 호주제가 되지 않으며, 남녀평등이란 모토아래 아직까지 남아선호사상이 자리잡혀 있는지, 왜 이혼녀는 아직까지 사회에서 안 좋은 평판을 들어야하는지 말이다.
개인적인 사견으로는 아직까지 뿌리깊게 박혀있는 유교사상을 뒤집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물론 좋은 사상의 유교사상을 아예 배제해야한다는 것은 아니다. 좋은 것은 받아들이고 좋지 않은 것을 버릴 필요가 있다.
즉 여성의 지위를 아예 무시하는 유교사상은 지워버리고 고려시대와 같이 합리적으로 남녀평등사상에 입각한 것을 통합하여 발전 시켰으면 한다.
그렇게 된다면 지금 거론되는 '호주는 꼭 남성이어 여만 한다' 라는 전 근대적인 발상은 일어나지도 않았을 거란 생각이 든다.
페미니스트나 여성운동가의 활발한 운동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제약이 있는 지금 현재상황에서 빠른 통합의 형태로 우리 여성의 지위가 발전되었으면 좋겠다.
참고문헌
이규태{한국 여성의 의식 구조} 1993 신원문화사 출판
권순형 유교와 페미니즘의 만남 ; "고려시대 여성의 규범과 삶" 논문 참조
"여성사 쟁점 : 다시 생각하는 고려 여성의 지위"논문 참조
http://www.songkw.com.ne.kr/go1/7-6-4.htm
이렇듯 근대의 바로 전 시기인 조선시대의 여성의 지위가 제약이 많았음은 한눈에 알 수가 있었다.
어쩌면 이 시대의 우리 여성들의 고려시대와는 달리 불공평 차별을 받는 것은 조선시대의 여성의 지위가 지금까지 이어져 온 것은 아닐까?
여성의 주변적 역할과 남성중심의 문화는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한 근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의 기회가 넓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직장에서 여성의 기능은 순종적이고 수동적인 역할에 한정되는 경우가 많다. 회사에서는 여성에게 상사와 동료들의 차 심부름이 기대되고, 회식에서도 여성은 상사의 술 따르기와 말 상대자로 여겨진다. 그리고 업무 분담에서도 여성은 창의적이고 중요한 사안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남성에 비해 여성의 승진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어지는 상황이 초래되는 경우까지 있다.
지금 우리에게 아직 사라지지 않은 남존여비사상은 사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야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닙니다.
앞에서 살펴 본바와 같이 고려시대엔 여성도 호주가 가능했으며 그리고 조선시대와는 달리 여자의 재가도 허용되었고, 딸이 제사를 지내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조선 시대에 들어서면서 유교사상이 자리잡으면서 여성의 지위는 그야말로 땅으로 떨어지기 시작했다.
우리는 지금 여기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비교 분석해보면서 지금 현재 우리나라에서 여성이 처한 상황을 분석 반성해야만 한다.
왜 여성은 호주제가 되지 않으며, 남녀평등이란 모토아래 아직까지 남아선호사상이 자리잡혀 있는지, 왜 이혼녀는 아직까지 사회에서 안 좋은 평판을 들어야하는지 말이다.
개인적인 사견으로는 아직까지 뿌리깊게 박혀있는 유교사상을 뒤집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물론 좋은 사상의 유교사상을 아예 배제해야한다는 것은 아니다. 좋은 것은 받아들이고 좋지 않은 것을 버릴 필요가 있다.
즉 여성의 지위를 아예 무시하는 유교사상은 지워버리고 고려시대와 같이 합리적으로 남녀평등사상에 입각한 것을 통합하여 발전 시켰으면 한다.
그렇게 된다면 지금 거론되는 '호주는 꼭 남성이어 여만 한다' 라는 전 근대적인 발상은 일어나지도 않았을 거란 생각이 든다.
페미니스트나 여성운동가의 활발한 운동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제약이 있는 지금 현재상황에서 빠른 통합의 형태로 우리 여성의 지위가 발전되었으면 좋겠다.
참고문헌
이규태{한국 여성의 의식 구조} 1993 신원문화사 출판
권순형 유교와 페미니즘의 만남 ; "고려시대 여성의 규범과 삶" 논문 참조
"여성사 쟁점 : 다시 생각하는 고려 여성의 지위"논문 참조
http://www.songkw.com.ne.kr/go1/7-6-4.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