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Ⅰ. 개 관
Ⅱ. 약 사
Ⅲ. 정 치
Ⅳ. 외 교
Ⅴ. 국 방
Ⅵ. 경 제
Ⅶ. 사회·문화·교육
Ⅷ. 한국과의 관계
Ⅸ. 결 론
Ⅱ. 약 사
Ⅲ. 정 치
Ⅳ. 외 교
Ⅴ. 국 방
Ⅵ. 경 제
Ⅶ. 사회·문화·교육
Ⅷ. 한국과의 관계
Ⅸ. 결 론
본문내용
국빈방문 및 ASEAN+3 정상회의 참석-2001. 5한.싱 의원친선협회 대표단(단장 : 박재욱 의원)-2001. 5오장섭 건설교통부장관-2002. 5유삼남 해양수산부장관-2003.10김진표 부총리-2003.10노무현 대통령-2003.12장승우 해양수산부장관싱가포르측
- 79.10Lee Kuan Yew 총리-81. 5Goh Chok Tong 무역공업장관-86. 7Lee Kuan Yew 총리-88. 7Lee Kuay Yew 총리-90. 4Lee Hsien Loong 상공장관겸 제2국방장관-91.11Lee Hsien Loong 부총리겸 상공장관-93.11Goh Chok Tong 총리
-95. 8S.Jayakumar 외무장관-99. 6Goh Chok Tong 총리(정상회담)- 99.10Lee Kuan Yew 선임장관(전경련 국제자문그룹회의 참석)-2000.4Abdullah Tarmugi 지역개발 체육부장관(현 국회의장)-2000.5Yew Cheow Tong 정부통신부장관-2000.10고촉통 총리, 자야쿠마 외무장관(제3차 ASEM 정상회의 참석)-2002.4S. R. Nathan 대통령 국빈방문-2002.5 Lee Kuan Yew 선임장관(다임러 크레이슬러 국제자문단 회의)
다. 군사 분야 협력
주요인사 교류- 방싱 : 합참의장('91, '96, '02), 해참총장('00), 공참총장('00), 국방차관('94,'96,'00,'02)등- 방한 : 국방장관('99), 국방총장('90), 육군총장('03),해군총장('98, '01), 공군총장('98)군사협력회의
- 양국간 군사정보교류회의('90년 이후)- 양국 해군 정보교류를 위한 해군대 해군회의('01년 이후)
한, 미, 일, 싱가포르 등의 해군 수상함 및 잠수함 구조훈련('00년 이후)싱가포르 조종사 수탁교육 : F-5E/F 전환교육('92), F-16 시뮬레이터 훈련('02-'03)주싱가포르 국방무관부 개설('02년 10월)양국 해군 순항훈련 편승교환 및 방문"항구적 자유작전" 지원('01.12-)
마. 문화 관광분야 교류
한국 TV 드라마 영화의 수출 전망이 밝음.
동남아 국가중 태국과 함께 한국 방문객 최다 국가
- 싱가포르인 약 76,400여명 방한(2003년)
- 한국인 약 36만명 싱가포르 방문
바. 협정체결 현황
1972. 2 항공협정
.1979.11 이중과세방지협정1981. 5 해운협정1982.11 비자면제협정1995. 8 예술 문화 체육 협력협정1995. 5 통신협력 양해각서1997. 2 과학 기술협정1997. 6 체육교류약정2000.11 중소기업협력약정, 표준협력약정
2. 한 싱가포르 경제 통상 관계
가. 개 관
한 싱 양국 경제는 해외 및 무역의존도가 높다는 공통점 보유교역, 투자, 건설 부문 등에서 싱가포르는 한국의 중요한 상대국으로서 한 싱 양국은 긴밀한 경제협력 관계를 유지
- 한 싱 상호 10위권 내 교역상대국이며 싱가포르는 우리의 7대 수출시장
- 싱가포르는 한국에 약 US$ 125억불 투자국
- 한국 건설업체들은 지난 30년간 US$100억불 건설수주(그중 최근 8년간 US$65억불)
약 74개에 달하는 우리기업이 진출해 있으며, 상당수 기업이 동남아 지역본부로 활동싱가포르가 여러 분야에서 지역 내 또는 세계적 차원에서 hub으로 기능하는 등의 전략적 중요성에 비추어 싱가포르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 물류, 유통, IT, BT 등 분야 공동 진출 등
나. 한 싱가포르 교역현황(2003년)
(1) 양국 교역 개관
한 국(추정)- 총교역액 : US$ 3,731.1억 수출 : US$ 1,943.3억 수입 : US$ 1,787.8억 수지 : US$ 155.5억 흑자싱가포르
- 총교역액 : S$ 4,740억(US$ 2,721억 상당) 수출 : S$ 2,512억(US$ 1,442억 상당) 수입 : S$ 2,228억(US$ 1,279억 상당) 수지 : S$ 284억(US$163억)* 2003년도 평균환율 US$ 1 S$ 1.7422* 싱가포르 교역에는 싱가포르 - 인니간 교역(약 US$ 100억 추정)을 제외한 것임.
(2) 한 싱가포르 양국간 교역현황
한국측 통계(추정)- 총교역액 : US$ 84.9억- 한국의 대싱가포르 수출 : US$ 45.1억- 한국의 대싱가포르 수입 : US$ 39.8억
- 수지 : 한국 US$ 5.3억 흑자 싱가포르측 통계
- 총교역액 : US$ 110.2억- 싱가포르의 대한국 수출 : US$ 60.6억
- 싱가포르의 대한국 수입 : US$ 49.6억- 수지 : 싱가포르 US$ 11억
양국간 교역 순위- 싱가포르는 한국의 9대 교역대상국(수출 7위, 수입 10위) 한국의 10대 교역국은 미국, 중국, 일본, 홍콩 대만, 독일, 사우디, 호주, 싱가포르, 인니- 한국은 싱가포르의 8대 교역대상국(수출 8위, 수입 7위) 싱가포르의 10대 교역국은 말레이시아, 미국, 일본, 중국, 홍콩, 대만, 태국, 한국, 독일, 호주
3. 동포현황
가. 동포 개관
약 6,000명 거주-시민권 및 영주권자 : 800명-지상사 주재원 및 가족 : 1,800명-현지기업 근로자 및 가족 : 800명
-자영업 종사자 : 1,000명-여행업 종사자 : 300명
Ⅸ. 결 론
예전부터 싱가폴이라 하면 자유와 방종에 극선상의 국가라고 여겨졌다. 그렇게 여기면서"왜 저렇게 살까?"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결국 이 정도의 국가 신인도가 그 이유를 말해주는 듯하다. 아시아에서 가장 서구적 가치관과 발전된 시민의식이 싱가폴의 오늘 역량의 원동력이 되었었으며, 현재 아시아의 용이라 일컫는 우리나라와 많은 차별이 보이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이번 과제를 하면서 주의 깊게 본 것이 바로 부정부패에 관한 엄격한 법률과 사회 인식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강제적 제도와 시민의식을 확립시켜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나아가는 첫걸음이 되지 않을까 싶다. 땅덩이도 작고...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는 싱가폴은 어떻게 보면 우리나라와 비슷한 점이 많은 듯 하다. 앞으로 싱가폴과 우리나라는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아시아의 선구자 역할을 지휘하며 상호보완 관계 우호국으로 발전해 나아가는 바램으로 이 레포트를 마치고자 합니다.
- 79.10Lee Kuan Yew 총리-81. 5Goh Chok Tong 무역공업장관-86. 7Lee Kuan Yew 총리-88. 7Lee Kuay Yew 총리-90. 4Lee Hsien Loong 상공장관겸 제2국방장관-91.11Lee Hsien Loong 부총리겸 상공장관-93.11Goh Chok Tong 총리
-95. 8S.Jayakumar 외무장관-99. 6Goh Chok Tong 총리(정상회담)- 99.10Lee Kuan Yew 선임장관(전경련 국제자문그룹회의 참석)-2000.4Abdullah Tarmugi 지역개발 체육부장관(현 국회의장)-2000.5Yew Cheow Tong 정부통신부장관-2000.10고촉통 총리, 자야쿠마 외무장관(제3차 ASEM 정상회의 참석)-2002.4S. R. Nathan 대통령 국빈방문-2002.5 Lee Kuan Yew 선임장관(다임러 크레이슬러 국제자문단 회의)
다. 군사 분야 협력
주요인사 교류- 방싱 : 합참의장('91, '96, '02), 해참총장('00), 공참총장('00), 국방차관('94,'96,'00,'02)등- 방한 : 국방장관('99), 국방총장('90), 육군총장('03),해군총장('98, '01), 공군총장('98)군사협력회의
- 양국간 군사정보교류회의('90년 이후)- 양국 해군 정보교류를 위한 해군대 해군회의('01년 이후)
한, 미, 일, 싱가포르 등의 해군 수상함 및 잠수함 구조훈련('00년 이후)싱가포르 조종사 수탁교육 : F-5E/F 전환교육('92), F-16 시뮬레이터 훈련('02-'03)주싱가포르 국방무관부 개설('02년 10월)양국 해군 순항훈련 편승교환 및 방문"항구적 자유작전" 지원('01.12-)
마. 문화 관광분야 교류
한국 TV 드라마 영화의 수출 전망이 밝음.
동남아 국가중 태국과 함께 한국 방문객 최다 국가
- 싱가포르인 약 76,400여명 방한(2003년)
- 한국인 약 36만명 싱가포르 방문
바. 협정체결 현황
1972. 2 항공협정
.1979.11 이중과세방지협정1981. 5 해운협정1982.11 비자면제협정1995. 8 예술 문화 체육 협력협정1995. 5 통신협력 양해각서1997. 2 과학 기술협정1997. 6 체육교류약정2000.11 중소기업협력약정, 표준협력약정
2. 한 싱가포르 경제 통상 관계
가. 개 관
한 싱 양국 경제는 해외 및 무역의존도가 높다는 공통점 보유교역, 투자, 건설 부문 등에서 싱가포르는 한국의 중요한 상대국으로서 한 싱 양국은 긴밀한 경제협력 관계를 유지
- 한 싱 상호 10위권 내 교역상대국이며 싱가포르는 우리의 7대 수출시장
- 싱가포르는 한국에 약 US$ 125억불 투자국
- 한국 건설업체들은 지난 30년간 US$100억불 건설수주(그중 최근 8년간 US$65억불)
약 74개에 달하는 우리기업이 진출해 있으며, 상당수 기업이 동남아 지역본부로 활동싱가포르가 여러 분야에서 지역 내 또는 세계적 차원에서 hub으로 기능하는 등의 전략적 중요성에 비추어 싱가포르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필요- 물류, 유통, IT, BT 등 분야 공동 진출 등
나. 한 싱가포르 교역현황(2003년)
(1) 양국 교역 개관
한 국(추정)- 총교역액 : US$ 3,731.1억 수출 : US$ 1,943.3억 수입 : US$ 1,787.8억 수지 : US$ 155.5억 흑자싱가포르
- 총교역액 : S$ 4,740억(US$ 2,721억 상당) 수출 : S$ 2,512억(US$ 1,442억 상당) 수입 : S$ 2,228억(US$ 1,279억 상당) 수지 : S$ 284억(US$163억)* 2003년도 평균환율 US$ 1 S$ 1.7422* 싱가포르 교역에는 싱가포르 - 인니간 교역(약 US$ 100억 추정)을 제외한 것임.
(2) 한 싱가포르 양국간 교역현황
한국측 통계(추정)- 총교역액 : US$ 84.9억- 한국의 대싱가포르 수출 : US$ 45.1억- 한국의 대싱가포르 수입 : US$ 39.8억
- 수지 : 한국 US$ 5.3억 흑자 싱가포르측 통계
- 총교역액 : US$ 110.2억- 싱가포르의 대한국 수출 : US$ 60.6억
- 싱가포르의 대한국 수입 : US$ 49.6억- 수지 : 싱가포르 US$ 11억
양국간 교역 순위- 싱가포르는 한국의 9대 교역대상국(수출 7위, 수입 10위) 한국의 10대 교역국은 미국, 중국, 일본, 홍콩 대만, 독일, 사우디, 호주, 싱가포르, 인니- 한국은 싱가포르의 8대 교역대상국(수출 8위, 수입 7위) 싱가포르의 10대 교역국은 말레이시아, 미국, 일본, 중국, 홍콩, 대만, 태국, 한국, 독일, 호주
3. 동포현황
가. 동포 개관
약 6,000명 거주-시민권 및 영주권자 : 800명-지상사 주재원 및 가족 : 1,800명-현지기업 근로자 및 가족 : 800명
-자영업 종사자 : 1,000명-여행업 종사자 : 300명
Ⅸ. 결 론
예전부터 싱가폴이라 하면 자유와 방종에 극선상의 국가라고 여겨졌다. 그렇게 여기면서"왜 저렇게 살까?"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결국 이 정도의 국가 신인도가 그 이유를 말해주는 듯하다. 아시아에서 가장 서구적 가치관과 발전된 시민의식이 싱가폴의 오늘 역량의 원동력이 되었었으며, 현재 아시아의 용이라 일컫는 우리나라와 많은 차별이 보이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이번 과제를 하면서 주의 깊게 본 것이 바로 부정부패에 관한 엄격한 법률과 사회 인식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강제적 제도와 시민의식을 확립시켜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나아가는 첫걸음이 되지 않을까 싶다. 땅덩이도 작고...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는 싱가폴은 어떻게 보면 우리나라와 비슷한 점이 많은 듯 하다. 앞으로 싱가폴과 우리나라는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아시아의 선구자 역할을 지휘하며 상호보완 관계 우호국으로 발전해 나아가는 바램으로 이 레포트를 마치고자 합니다.
추천자료
일본 경제정책의 변화와 국제적 효과: 엔의 국제화
[피션,환율] 국제 피션과 환율정책
[정책분석론] 인천국제공항철도 건설에 대한 국가의 정책사례 분석 및 성공적인 집행 방안
국제유가상승에 대한 정책적시사점과 기업대응방안
[여성정책]여성정책의 목표, 여권론적 입장에서의 여성문제, 국제적 관점에서의 여성문제, 영...
[국제사회와정치]대북정책
국제수지 불균형의 조정정책에 대해서 논하시오
항공운송에 관한 기구, 법규, 정책(국제민간항공기구, 국제항공운송협회, 우리나라 항공법)
[국제통상] 미국통상정책
[레포트] 국제수지 불균형 조정정책
제2공화국(윤보선대통령, 장면정부)의 헌법, 제2공화국(윤보선대통령, 장면정부)의 국제화, ...
[조선대/무역학/김장호 교수] 국제통상론 기말 족보 (산업피해구제 제도, 상품 외 거래 관련 ...
칠레- 투자환경,경제동향 및 정책,국제관계,정치동향,노무제도,칠레 교역 및 투자 확대,칠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