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정절을 지킬 것을 강요하면서 그 반대 급부로서의 지위를 보장해준 것이었다고 말 할 수 있다.
이처럼 고려의 여성들은 활동 면에서 보다 자유로웠고 제사나 재산 상속 면에서도 아들과 차별이 없었다. 결혼 뒤에도 친정 부모를 모실 수 있었으며 제사까지 지낼 수 있었다. 남아선호 사상도 조선에 비해 약했으며 남녀 차별도 상대적으로 덜했다 하 수 있다. 이것은 결국 법이나 제도가 불평등한 유교적 남녀간에 입각하고 있다 해도 유교가 전반적인 사회 사상으로 기능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이다. 비유교적 사회였던 고려에서 유교적 사회였던 조선으로의 변화는 여성지위의 전도일 뿐인가 하면 조선시대의 여성에 비해 고려의 여성이 유리한 측면이 있었으나 그렇다고 하여 그것이 고려 여성의 지위가 놓았음을 말해주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고려의 여성들은 활동 면에서 보다 자유로웠고 제사나 재산 상속 면에서도 아들과 차별이 없었다. 결혼 뒤에도 친정 부모를 모실 수 있었으며 제사까지 지낼 수 있었다. 남아선호 사상도 조선에 비해 약했으며 남녀 차별도 상대적으로 덜했다 하 수 있다. 이것은 결국 법이나 제도가 불평등한 유교적 남녀간에 입각하고 있다 해도 유교가 전반적인 사회 사상으로 기능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이다. 비유교적 사회였던 고려에서 유교적 사회였던 조선으로의 변화는 여성지위의 전도일 뿐인가 하면 조선시대의 여성에 비해 고려의 여성이 유리한 측면이 있었으나 그렇다고 하여 그것이 고려 여성의 지위가 놓았음을 말해주는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