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구에 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탁구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탁구의 기원

2>시설과 용구

3>경기방법

4>경기규칙

5>주요기술

6>국제탁구연맹의 역사

7>한국탁구의 역사

8>탁구용어

본문내용

hort) :볼의 바운드가 정점에 달하기 전에 반구되는 타법을 말한다.
스매시(Smash) : 결정타를 말한다. 보통 바운드의 정점을 포착하여 전력으로 쳐 넣는다.
스웨이드링 배(Swaythling Cup) : 세계 선수권의 남자 단체의 우승 팀에게 주어지는 컵으로서 영국의 스웨이드링경 부인으로부터 기증되었다.
스텐스(Stance) : 볼을 치기 위하여 자세를 갖출 때의 양발의 벌림을 말한다.
스톱(Stop) : 쇼트 타법의 일종. 타구의 힘을 멈추고 상대편 코트의 네트 가장자리에 가볍게 떨어뜨리는 타법을 말한다.
스트레이트·코스(Straight course) : 사이드·라인과 평행한 코스를 말한다.
스핀(spin) : 볼의 회전을 말한다.
시니어(Senior) : 35~45세의 경기자를 말한다.
시드(Seed) : 토너먼트 형식의 경기에서 강한 선수나 팀끼리 처음부터 대전하지 않도록 나누어 배정하는 것을 말한다.
에지(Edge) : 코트의 가장자리 부분을 말한다.
에지·볼(Edge ball) : 볼이 코트의 가장자리에 맞고 들어가는 것을 말하며 유효하다.
엑스피다이트 시스템(expedite system) : 촉진 룰이라고 한다. 1게임이 10분 경과한 경우는 그 시점에서 일단 중지하고 그 게임 및 그 이후에 하게 되는 게임에는 이 촉진 룰을 적용한다. 촉진 룰을 적용하는 방법은 서브한 볼을 리시브하는 선수가 최고 13회 반구 했을 때는 리시브한 쪽의 득점으로 한다. 촉진 룰의 경우 서비스는 한 개씩 한 뒤 교대한다
엔드(End) : 네트로 양분된 2개의 코트의 각각을 말한다. 또 경기를 시작하기 전에 서비스를 하느냐, 리시브를 하느냐를 가위 바위 보등으로 정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엔드라는 말을 사용한다.
엔드 체인지(end change) : 코트를 바꾸는 것 체인지 앤드와 같다. 한 게임이 끝날 때 또는 매치를 결정하는 최후의 게임 때 쌍방 중 어느 쪽이든 5점을 선취했을 때 앤드 체인지 한다
엔드라인(endline) : 코트의 뒤쪽 가장자리에 그어진 선으로 양방향으로 무한정 확대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오도독스·러버(Orthodox rubber) : 한 장으로 된 러버를 말한다.
올 라운드·플레이어(All-round player) : 공수에 걸쳐 어떠한 기술이라도 폭넓게 구사할 수 있는 플레이어를 말한다.
인터피어(Interfere) : 상대가 게임을 못하게 하는 방해 행위, 고의적인 방해는 삼가야 함.
인·플레이(In play) : 게임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로서, 서비스의 순간부터 득점이 되는 순간까지를 말한다.
임팩트(Impact) : 볼이 라켓에 닿는 순간.
전진 공격 : 앤드·라인 가까이에서 공격하는 것으로서, 쇼트와 스매시가 주로 사용된다.
주니어(Junior) : 18세 이하의 경기자를 말한다.
주심 : 경기를 할 때 용구의 점검, 경기의 순서, 득점의 콜 등을 행하는 경기의 임원으로서, 그 경기의 최종적인 결정권을 갖는다.
촙(Chop) : 볼이 나는 방향에 대해서 역회전을 주는 타구법을 말한다.
커트(Cut) : 수비수가 뒤에서 상대의 볼을 역회전(후퇴 회전)을 걸어 넘기는 것.
커트 볼(Cut Ball) : 뒤로 되돌아 올 수 있게 회전이 걸린 볼을 말한다.
커트·서비스(Cut service) : 볼에 역회전을 건 서비스를 말한다.
코트(Court) : 탁구대의 윗면을 말하며, 정확히 말하면 플레잉·서어페이스(Playing surface)라고 한다. 테이블 위에 백선으로 둘러 쌓인것으로 크기는 앤드·라인이 274cm, 사이드·라인이 152.5cm, 테이블의 높이 76.2cm, 두께 2.5cm를 표준으로 하고, 경질의 목재로 만들어진다.
코오트·매너(Court manner) : 경기 규칙에는 특별한 규정이 없으나, 당연히 선수가 지녀야 할 마음가짐이나 예의 및 동작을 말한다.
코올(Call) : 심판원이 득점을 알리는 신호.
콘솔레이션·매치(Consolation match) : 비교적 빨리 패한 선수를 위로하기 위하여 행하는 패자끼리의 경기를 말한다. 그러나 패자 부활전과는 다르다.
크로스(Cross) : 코트 위를 대각선으로 타구하는 것. 자기 코트의 우측에서 상대 코트의 우측으로 보내는 경우를포어·크로스라 하고, 자기 코트 좌측으로 보내는 경우를 백·크로스라고 한다.
터치·네트(Touch net) : 경기 중에 라켓이나 경기자의 몸이 네트에 닿는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 접촉된 플레이어의 실점이 된다.
테이블(Table) : 탁구대를 말한다. 참조 -> 코트
토스(Toss) : 서비스를 위해 손바닥에 놓은 볼을 위로 올리는 것. 또는 경기를 개시할 때 동전을 던져 올려 떨어진 동전의 앞뒤에 의해서 서비스나 엔드를 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가위 바위 보로 하는 경우도 많다.
톱(Top) : 바운드한 볼의 정점을 말한다.
톱·스핀(Top spin) : 볼의 전진 회전을 말한다.
팔로우·드로우(Follow through) : 임팩트 후, 라켓을 자연히 쳐들게 되는 동작을 말한다. 탁구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중요하다.
페어(Pair) :복식 경기에 출전하는 2명의 선수를 말한다.
펜·홀더·그립(Pen holder grip) : 펜대를 잡듯이 라켓의 손잡이를 잡는 것을 말한다.
포인트(point) : 득점이 이루어진 랠리
푸시(Push) : 강한 쇼트로 밀어내듯이 공격적으로 반구하는 것
풋워크(Footwork) : 경기 중의 발의 동작을 말한다.
프리핸드(free hand) : 라켓을 잡지 않은 손
플레이싱(Placing) : 상대의 허를 찌르듯 예기치 않은 곳으로 스피드·볼을 때려 넣는 것.
플릭(flick) : 네트에 가까운 볼을 테이블 위에서 손목을 사용하여 튕기듯이 타구하는 것.
하프·발리(Half volley) : 자기의 코트에서 바운드한 볼을 정점까지 올라가기 전에 치는 타격 방법을 말한다.
항의권 : 경기에 있어서 심판의 판정에 불만이 있는 경우에 항의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개인전일 때는 개인에게, 단체전일 때는 감독 또는 주장에게 항의권이 있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4.07.06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6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