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 론
1.1 IEEE 802.3 & Ethernet 관련용어
① IEEE 802
②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③ 1-persistent CSMA
1.2 IEEE 802.3 & Ethernet Comparison
① IEEE 802.3 과 Ethernet
② Ethernet과 IEEE 802.3의 차이
제 2 장 CSMA/CD Protocol
2.1 CSMA/CD Protocol 개요
①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란
② CSMA/CD 의 Flow chart
③ CSMA/CD의 종류
④ Binary Exponential Backoff Algorithm이란
2.2 CSMA/CD Protocol 장단점
① CSMA/CD방식의 장점
② CSMA/CD방식의 단점
제 3 장 MAC Frame
3.1 CSMA/CD의 MAC Frame 구조
3.2 Token Ring의 MAC Frame 구조
① Token Format(Free Token)
② Data Frame(Busy Token)
③ MAC type frame
④ Abort Frame
3.3 Wireless MAC 프로토콜의 Frame 구조
① FDD 기반의 MAC 프로토콜
② TDD 기반의 MAC 프로토콜
③ MAC 프로토콜의 성능 평가
3.4 FDDI MAC Frame 구조
① FDDI(F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는?
② FDDI MAC frame
③ Frame Conversion
제 4 장 결 론
- CSMA/CD방식의 고려 사항
1.1 IEEE 802.3 & Ethernet 관련용어
① IEEE 802
②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③ 1-persistent CSMA
1.2 IEEE 802.3 & Ethernet Comparison
① IEEE 802.3 과 Ethernet
② Ethernet과 IEEE 802.3의 차이
제 2 장 CSMA/CD Protocol
2.1 CSMA/CD Protocol 개요
①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란
② CSMA/CD 의 Flow chart
③ CSMA/CD의 종류
④ Binary Exponential Backoff Algorithm이란
2.2 CSMA/CD Protocol 장단점
① CSMA/CD방식의 장점
② CSMA/CD방식의 단점
제 3 장 MAC Frame
3.1 CSMA/CD의 MAC Frame 구조
3.2 Token Ring의 MAC Frame 구조
① Token Format(Free Token)
② Data Frame(Busy Token)
③ MAC type frame
④ Abort Frame
3.3 Wireless MAC 프로토콜의 Frame 구조
① FDD 기반의 MAC 프로토콜
② TDD 기반의 MAC 프로토콜
③ MAC 프로토콜의 성능 평가
3.4 FDDI MAC Frame 구조
① FDDI(F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는?
② FDDI MAC frame
③ Frame Conversion
제 4 장 결 론
- CSMA/CD방식의 고려 사항
본문내용
l
- SD와 같이 항상 non-data format으로 되어 있다.
- Token frame일경우에는 2 symbol로 되어있고, 다른 모든 frame은 1 symbol로 되어있다.
FS
- 3 symbol(12byte)
- Frame status symbol은 frame의 상태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 Error indicator
·Address recognized indicator
·Frame copied indicator
③ Frame Conversion
- Address conversion절차
· 802.3 address를 byte단위로 구분을 하고
· 각 byte을 binary format으로 표현을 하여
· 각 byte단위로 bit의 순서를 뒤집어 놓으면
· 그 값을 byte로 표현
- 802.5에서 ethernet으로 변환될 때
· DA 앞에 있는 MAC header를 802.5에서 Ethernet으로 변환하고
· DA와 SA의 bit 순서를 변환
· 802.5 RI, DSAP, SSAP Conrol SNAP protocol ID field를 제거한다.
· Ethernet type field와 모든 information은 그대로 전송한다.
· FCS은 다시 계산을 한다.
· 802.5 MAC trailer는 제거한다.
- Ethernet에서 802.5로 변환할 때
· DA 앞에 있는 MAC header를 Ethernet에서 802.5으로 변환하고
· DA와 SA의 bit 순서를 변환
· 802.5 RI, DSAP, SSAP Conrol SNAP protocol ID field를 추가한다.
· Ethernet type field와 모든 information은 그대로 전송한다.
· FCS은 다시 계산을 한다.
· 802.5 MAC trailer을 추가한다.
- 802.5에서 802.3으로 변환될 때
· DA 앞에 있는 MAC header를 802.5에서 8002.3으로 변환하고
· DA와 SA의 bit 순서를 변환
· 802.5 RI field를 제거한다.
· Length field를 계산하고 Insert한다.
· 필요하다면 padding을 추가한다.
· FCS은 다시 계산을 한다.
· 802.5 MAC trailer는 제거한다.
- 802.3에서 802.5로 변환할 때
· DA 앞에 있는 MAC header를 802.3에서 802.5으로 변환하고
· DA와 SA의 bit 순서를 변환
· Length field를 제거한다.
· Bridge내에 있는 RI field를 검사한다..
· 802.2 field와 모든 정보는 그대로 전송한다.
· Padding이 존재하면 그것을 제거한다.
· FCS를 다시 계산한다.
· 802.5 MAC trailer를 추가한다.
제 4 장 결 론
- CSMA/CD방식의 고려 사항 :-네트워크 상에 컴퓨터의 대수가 많아질수록 네트워크 통신 량은 중가한다. 이 경우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져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 속도가 저하하게 되어, CSMA/CD방식이 느린 매체 액세스 방식으로 간주될 수 있다. 컴퓨터의 대수가 많아져서 데이터의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계속하여 데이터의 재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네트워크 전체를 마비시키는 상태에까지 이르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요인으로는 네트워크를 사용하려는 사용자의 수와 그들이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에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은 워드 프로세서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보다 네트워크를 보다 빈번하게 사용하여 통신량을 증대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CSMA/CD방식을 채택하여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수와 자주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면밀히 검토하여, 네트워크 내에서의 원활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네크워크의 규모에 대한 확장에 있어 세심한 유의를 하여야 한다. CSMA방식과 마찬가지로 CSMA/CD도 세가지 Persistent알고리즘 중 하나를 이용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선택하는 알고리즘은 1-Persistent이다. Non-Persistent방식을 이용하는 경우는 그러한 유휴시간의 불필요한 낭비를 충돌의 조기감지 및 즉각적인 전송으로 줄일 수 있다. 충돌에 의해 낭비되는 시간은 매우 짧고(패킷이 전파 지연 시간에 비해 매우 긴 경우), 랜덤 백오프(backoff)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충돌에 관련된 두 개의 스테이션들이 다음에 다시 전송을 시도하눈 경우에는 아마도 충돌하지 않을 것이다. 백오프의 주기를 랜덤하게 정하는 과정을 "Truncated Binary Exponential Backoff"라 하며, 최소의 백오프 주기는 한 슬롯타임 길이의 정수배이어야 한다. 백오프 알고리즘을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로 설치된 일종의 카운터로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Binary Exponential Backoff기법을 이용한 1-Persistent알고리즘의 장점은 다양한 로드가 주어질 때 효율적이라는 점이다.로드가 적은 경우 1-Persistent방식은 Non-Persistent나 P-Persistent방식과 비교하여 한 스테이션이 채널이 유휴상태에 들어가자 마자 곧바로 채널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로드가 많은 경우에도 적어도 두가지 방식만큼은 안정된 상태를 제공한다. CSMA/CD방식의 구현은 대체로 베이스밴드나 브로드밴드에서 같지만 아래표와 같은 차이가 있다. 그 중 하나는 캐리어를 감지하는 방법인데 맨체스터 페이스 인코딩(Man-chester Phase Incoding)기법을 이용하는 베이스밴드 시스템에서도 캐리어가 채널상의 전압펄스열의 출현을 검출함에 의해서 편리하게 감지된다. 그리고 브로드밴드 시스템에서는 실제로 스테이션의 수신기가 Outbound채널상에 RF캐리어의 출현을 감청함에 의해 감지된다.
항목/대역별
캐리어장치(carrier sensing)
충돌 검출(collision detection)
베이스 밴드
전압 펄스열
전압스윙(swing)
브로드 밴드
RF 캐리어
비트 대 비트 비교
- SD와 같이 항상 non-data format으로 되어 있다.
- Token frame일경우에는 2 symbol로 되어있고, 다른 모든 frame은 1 symbol로 되어있다.
FS
- 3 symbol(12byte)
- Frame status symbol은 frame의 상태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 Error indicator
·Address recognized indicator
·Frame copied indicator
③ Frame Conversion
- Address conversion절차
· 802.3 address를 byte단위로 구분을 하고
· 각 byte을 binary format으로 표현을 하여
· 각 byte단위로 bit의 순서를 뒤집어 놓으면
· 그 값을 byte로 표현
- 802.5에서 ethernet으로 변환될 때
· DA 앞에 있는 MAC header를 802.5에서 Ethernet으로 변환하고
· DA와 SA의 bit 순서를 변환
· 802.5 RI, DSAP, SSAP Conrol SNAP protocol ID field를 제거한다.
· Ethernet type field와 모든 information은 그대로 전송한다.
· FCS은 다시 계산을 한다.
· 802.5 MAC trailer는 제거한다.
- Ethernet에서 802.5로 변환할 때
· DA 앞에 있는 MAC header를 Ethernet에서 802.5으로 변환하고
· DA와 SA의 bit 순서를 변환
· 802.5 RI, DSAP, SSAP Conrol SNAP protocol ID field를 추가한다.
· Ethernet type field와 모든 information은 그대로 전송한다.
· FCS은 다시 계산을 한다.
· 802.5 MAC trailer을 추가한다.
- 802.5에서 802.3으로 변환될 때
· DA 앞에 있는 MAC header를 802.5에서 8002.3으로 변환하고
· DA와 SA의 bit 순서를 변환
· 802.5 RI field를 제거한다.
· Length field를 계산하고 Insert한다.
· 필요하다면 padding을 추가한다.
· FCS은 다시 계산을 한다.
· 802.5 MAC trailer는 제거한다.
- 802.3에서 802.5로 변환할 때
· DA 앞에 있는 MAC header를 802.3에서 802.5으로 변환하고
· DA와 SA의 bit 순서를 변환
· Length field를 제거한다.
· Bridge내에 있는 RI field를 검사한다..
· 802.2 field와 모든 정보는 그대로 전송한다.
· Padding이 존재하면 그것을 제거한다.
· FCS를 다시 계산한다.
· 802.5 MAC trailer를 추가한다.
제 4 장 결 론
- CSMA/CD방식의 고려 사항 :-네트워크 상에 컴퓨터의 대수가 많아질수록 네트워크 통신 량은 중가한다. 이 경우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져서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 속도가 저하하게 되어, CSMA/CD방식이 느린 매체 액세스 방식으로 간주될 수 있다. 컴퓨터의 대수가 많아져서 데이터의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계속하여 데이터의 재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네트워크 전체를 마비시키는 상태에까지 이르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요인으로는 네트워크를 사용하려는 사용자의 수와 그들이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에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은 워드 프로세서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보다 네트워크를 보다 빈번하게 사용하여 통신량을 증대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CSMA/CD방식을 채택하여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수와 자주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면밀히 검토하여, 네트워크 내에서의 원활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네크워크의 규모에 대한 확장에 있어 세심한 유의를 하여야 한다. CSMA방식과 마찬가지로 CSMA/CD도 세가지 Persistent알고리즘 중 하나를 이용하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선택하는 알고리즘은 1-Persistent이다. Non-Persistent방식을 이용하는 경우는 그러한 유휴시간의 불필요한 낭비를 충돌의 조기감지 및 즉각적인 전송으로 줄일 수 있다. 충돌에 의해 낭비되는 시간은 매우 짧고(패킷이 전파 지연 시간에 비해 매우 긴 경우), 랜덤 백오프(backoff)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충돌에 관련된 두 개의 스테이션들이 다음에 다시 전송을 시도하눈 경우에는 아마도 충돌하지 않을 것이다. 백오프의 주기를 랜덤하게 정하는 과정을 "Truncated Binary Exponential Backoff"라 하며, 최소의 백오프 주기는 한 슬롯타임 길이의 정수배이어야 한다. 백오프 알고리즘을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로 설치된 일종의 카운터로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Binary Exponential Backoff기법을 이용한 1-Persistent알고리즘의 장점은 다양한 로드가 주어질 때 효율적이라는 점이다.로드가 적은 경우 1-Persistent방식은 Non-Persistent나 P-Persistent방식과 비교하여 한 스테이션이 채널이 유휴상태에 들어가자 마자 곧바로 채널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로드가 많은 경우에도 적어도 두가지 방식만큼은 안정된 상태를 제공한다. CSMA/CD방식의 구현은 대체로 베이스밴드나 브로드밴드에서 같지만 아래표와 같은 차이가 있다. 그 중 하나는 캐리어를 감지하는 방법인데 맨체스터 페이스 인코딩(Man-chester Phase Incoding)기법을 이용하는 베이스밴드 시스템에서도 캐리어가 채널상의 전압펄스열의 출현을 검출함에 의해서 편리하게 감지된다. 그리고 브로드밴드 시스템에서는 실제로 스테이션의 수신기가 Outbound채널상에 RF캐리어의 출현을 감청함에 의해 감지된다.
항목/대역별
캐리어장치(carrier sensing)
충돌 검출(collision detection)
베이스 밴드
전압 펄스열
전압스윙(swing)
브로드 밴드
RF 캐리어
비트 대 비트 비교
추천자료
LAN의 개요와 네트웍에 대한 설명
LAN(Local Area Network) VPN(가상사설망 Virtual Private Network)
OFDM 무선랜(Wireless LAN) 제안서OFDM 무선랜(Wireless LAN) 제안서
컴퓨터 네트워크 종류와 특징(LAN, WAN, MAN, VAN, ISDN)
무선 LAN (Wireless LAN)기술
[2007년11월]무선LAN기술 및 시장 동향에 관한 보고서
[랜(LAN) 표준화][무선랜(LAN)][무선랜(LAN) 서비스][무선랜(LAN) 현황][무선랜(LAN) 과제]랜...
[랜][LAN][무선랜][LAN][무선랜시장][무선LAN시장][랜카드]랜(LAN)의 분류, 랜카드(LAN CARD)...
[네트웍] 네트웍 LAN의 개념,특성,전송방식,접근방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