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저작의 목적과 기능
2.저작의 완성
3.용비어천가와 중용, 시경
4.구성상의 특징
5.과장과 착오
6.수사법
7.상용문구와 그 기능
8.종지법과 대응법
2.저작의 완성
3.용비어천가와 중용, 시경
4.구성상의 특징
5.과장과 착오
6.수사법
7.상용문구와 그 기능
8.종지법과 대응법
본문내용
본보기를 제시하는 일이었음을 상기해 볼 때, 구체적 예증 즉 한 묶음의 모범사례로써 교훈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주제의 표현상 유추적 방식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일차적으로 사용된 방법이 대응법으로, 비교와 대조를 위해 중국과 한국의 중요한 사건과 인물들이 선택되었다. 제3장에는 연과 구문을 대응시키는 통상적 대응 외에도 선사와 차사의 상호관계 속에, 그리고 주체와 지명과 객체 속에도 하나의 대응관계가 존재한다. 또 제4장에 나오는 각 연은 첫행과 둘째행의 서두에 동일한 주체를 반복함으로써 교차적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 외에도 제86장에서 89장은 구성면에서 대응될 뿐 아니라, 각 장의 차사의 제4행에 나오는 주문장의 반복에 있어서도 대응되고 제20장, 26장, 66장에서도 대응구조가 뚜렷이 나타난다.
추천자료
고전문학의 이해 제석본 풀이
고전문학 박지원의 허생전
고전문학 화소분석 - 춘향전
고전문학 화소분석 - 홍길동전
춘향전이 최고의 고전문학인 이유
[한국고전문학] 가사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연정표출
[고전문학] 우리문학사에 우화가 미치는 영향 - 우화소설을 중심으로
[과외]중학 국어 3-2학기 기말 4단원 고전문학의 감상 기출문제(교사용)
고전문학의 흐름 - 시가 문학을 중심으로
고전문학 - 방한림전 ; 작품론 중심으로 논하기
고전문학속의 한국의 여성-홍계월전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중점,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고등학교...
고전문학강독-세상속의 삶의 방향
[국문학A+]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분석 및 한·중 이물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