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여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험한 여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국 정부의 역할을 공개하라고 요구하는 LA한국계 미국인의 시위 모습을 담은 사진, 그리고 민영순 개인 사진전에 전시했던 컬러 사진들을 모아 놓은 것이다. 마지막 보자기는 무거운 짐을 싸서 떠날 준비를 마쳤다는 의미로, 실천과 미래를 암시한다.
여성주의와 민족주의는 근대성의 모순이 낳은 산물이다. 근대성의 프로젝트인 여성 운동은 형제애로 충만한 공동체를 상상하는 민족주의와 상충한다. 민족주의는 개인적인 차이를 인정하는 자유주의적이고 민주적인 관념을 강조하면서도, 실제로는 구체제(ancien regime)의 계급적 위계 질서를 재구성해 왔다. 다른 한편으로는 민족-국가를 단일화하는 이데올로기를 위하여 성과 인종을 차별하는 데 이용되어 온 것이 바로 이 자유주의적 민족주의의 개념이기도 하다.
식민지에서 여성주의는 성 차별주의와 인종주의의 정치학이라는 이중의 차별적인 유산을 물려받게 됨으로써, 남성의 해방만을 의미하는 민족 해방이라는 더욱 커다란 명분에 포섭되거나 종속되어 왔다. 이처럼 갈등하는 세력에 용감하게 맞선 여성들은 민족주의라는 남성주의 담론의 단일성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으며, 동시에 민족을 남성의 입장에서 통일하려는 민족주의 담론 쪽에서 볼 때 자신의 개별적 자아를 추구하는 여성은 아주 위험천만한 요소가 된다. 이 책에 수록된 논문들은 이러한 위태로운 입장에 서서, 식민 후기의 한국은 물론이고 북미나 중국 동북부 지역에 이산된 해외 한인 커뮤니티에서 민족주의가 젠더와 성애(gendered and sexuality)라는 장에 끼치는 영향을 문제시하고, 거기에 개입하고자 하는 비판적인 시도를 하고 있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7.10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00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