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미터에 달하는 등 연중 수량의 차이가 매우 두드러졌다. 또한 범람 지역과 나일강 하류의 삼각주의 토양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 결과 연평균 1 밀리미터의 충적토가 쌓인 것으로 드러났다. 나일강의 물은 7월 초부터 서서히 불어나서 8월 중순 최고 수위에 달했다가 그 후 줄어들기 시작하여 11월 말부터 갈수기에 이르면 1-2월에는 최저 수위에 도달하게 된다. 나일강은 이 지역의 유일한 수원지이자, 해마다 여름철(6-10월)의 범람으로 새로운 흙을 실어다 주고, 나아가 유일한 교통로로서 이집트 전역을 통일할 수 있는 수단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나일강은 지중해로 흘러 내려오면서 해변에 거대한 삼각주를 형성하여 넓은 농경지에서 일찍부터 농경 및 목축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집트는 대부분이 광야이지만 나일강변과 특히 강 하구의 삼각주 지역에는 해마다 여름철 강의 범람으로 쌓인 퇴적토로 기름진 경작지를 형성하고 있다.
청나일(Blue Nile)과 백나일(White Nile)
나일강은 동부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의 타나(Tana) 호수에서 발원하는 청나일과 중부 아프리카의 빅토리아(Victoria) 호수에서 발원하는 백나일이 오늘날 수단의 수도인 카르툼(Khartum)에서 합쳐진 것이다. 청나일은 타나(Tana) 호수에서부터 발원하며 백나일과 합쳐지는 카르툼까지의 길이는 1700 킬로미터이다. 백나일의 원천인 빅토리아 호수는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의 세 나라에 걸쳐있는 넓이 68,800 평방킬로미터의 거대한 내륙 호수로서 적도에 위치하여 일년 중 강수량이 2000 밀리미터 이상이나 되는 지역이다. 빅토리아 호수는 1858년 영국의 스펙크(John Hanning Speke)에 의해 발견되었고, 빅토리아 호수로 흘러들어 가는 최남단의 루부부(Ruvubu)강의 수원지는 오늘날 브룬디(Brundi)에 있으며 이 수원지는 1937년 독일의 발데커(Burkhart Waldecker) 박사에 의해 최초로 확인되었다. 빅토리아 호수의 물은 르완다와 브룬디에 걸쳐있는 월산(the Mountains of the Moon)에 쌓인 눈이 녹아 카게라 (Kagera) 하천을 통해 들어온 것이다. 백나일의 수원지인 월산(Mountains of the Moon) 지역에는 연중 강수량이 1900 밀리미터에 달하며 청나일과 합쳐지는 카르툼까지의 길이는 약 3700킬로미터 이다. 카르툼에서 합쳐진 나일강은 아스완까지 모두 여섯 개의 급류를 이루며 흘러간다. 청나일, 백나일 외에도 카르툼 북쪽에는 에티오피아 고원 지대에서 발원하는 또하나의 지류인 아트바라(Atbara)강이 나일강의본류로 합쳐진다.
급류(cataracts)와 지리적 경계
이집트는 원래 강을 유일한 교통로로 이용하여 통일 왕국을 건설하였기 때문에 아스완의 화강암 지역의 급류 지역은 배가 다닐수 없는 곳이어서 자연히 이집트의 지리적인 남쪽 경계를 이루었다. 오늘날 이집트 학계에서는 이집트 지역인 지역인 하류에서부터 상류로 올라가면서 급류에 차례대로 번호를 붙여서 아스완 지역을 제 1급류로 그리고 최남단인 카르툼 근처의 급류를 제 6급류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고왕국 시대부터 급류지역에서는 배를 분해하여 우회한 후 계속하여 남쪽의 누비아를 점령하기도 했지만 이집트의 전통적인 남쪽 경계는 중왕국 시대까지도 엘레판틴 섬의 주거지를 중심으로하는 아스완, 즉 제 1급류였다. 신왕국시대에 들어와서는 남쪽의 경계가 좀 더 상류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 19왕조의 람세스 2세는 오늘날 아부 심벨(Abu Simbel)이라 불리는 이곳에 거대한 규모의 신전을 건 설하여서 이집트 남쪽 경계를 더욱 확장하였다. 이집트인들이 나일강의 급류라는 장애물을 극복하면서 상류쪽으로 진출한 이유는 황금, 노예, 상아, 향료, 흑단목(ebony) 등 이집트에서 는 구할 수 없는 아프리카의 특산물들을 얻기 위해서였다. 신왕국 시대 제 18왕조의 하쳅 숫트(Hatshepsut) 여왕은 나일강의 급류들 때문에 큰 배들을 운항할 수가 없어서 대규모의 선단을 홍해에서 발주하여 오늘날의 소말리아로 여겨지는 푼트(Punt)에 원정을 보내기도 하 였다.
상 이집트(Upper Egypt)와 하 이집트(Lower Egypt)
이집트는 예로부터 나일강 유역을 따라 전체 국토를 양분하였는데, 상부 이집트가 나일강 상류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하부 이집트는 지중해 쪽의 삼각주 지방을 일컫는다. 이 두 지역의 경계는 현재 카이로 남쪽 20 킬로미터 지점의 멤피스(Memphis)이며, 두 지역을 효 과적으로 다스리기 위해 이집트 고왕국 시대부터 멤피스는 정치적, 종교적 수도로 발전되었 다. 이러한 두 개의 이집트 개념은 고대 히브리어에서 이집트를 미쯔라임(Mitzraim), 즉 두 개의 미쩨르(Mitzer=이집트)로 표기한데서도 그 유래를 잘 찾아볼 수 있다. 전통적으로 상 이집트는 22개 그리고 하 이집트는 20개의 주(nome)로 구분되어 있으며 멤 피스는 하 이집트의 첫번째 주에 속하였다. 서기전 3000 년경 상 이집트 세력이 하 이집트 를 정복함으로써 역사상 최초의 통일 이집트의 시대가 열리게 된다. 그 후 이집트의 모든 왕들은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상징물을 이용하여 그들의 왕권을 표기하기 시작하였다.
하 이집트(Lower Egypt) = 나일 삼각주
이집트의 농경지는 삼각주와 나일강변을 따라 양쪽으로 띠 모양으로 형성되었으며 이 면적 은 전체 100만 평방 킬로미터 중에서 3퍼센트의 땅인데 오늘날 이 곳에 전체 인구의 96 퍼 센트가 거주하고 있다. 삼각주는 전체 면적이 22,000 평방 킬로미터이며 이 지역은 흙과 물 과 태양이 일년 내내 충분하기 때문에 어떤 종류의 농작물도 경작이 가능한 낙원같은 곳이 다. 삼각주 지방의 중요한 고대 도시들의 유적은 해마다 나일강의 끊임없는 범람으로 인한 퇴적층의 증가와 농경지 개발로 대부분 파괴되거나 땅속에 묻혀버렸다. 상 이집트와는 달 리 이 곳에는 석재가 귀해서 대부분의 건물들이 흙벽돌로 지어졌기 때문에 잘 보존되지 못한 점도 있다. 오늘날까지 약 20 여군데의 유적지에서 이집트 왕조 시대와 그리스-로마 시대에 건설된 도시들의 유적이 발굴되었다.
청나일(Blue Nile)과 백나일(White Nile)
나일강은 동부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의 타나(Tana) 호수에서 발원하는 청나일과 중부 아프리카의 빅토리아(Victoria) 호수에서 발원하는 백나일이 오늘날 수단의 수도인 카르툼(Khartum)에서 합쳐진 것이다. 청나일은 타나(Tana) 호수에서부터 발원하며 백나일과 합쳐지는 카르툼까지의 길이는 1700 킬로미터이다. 백나일의 원천인 빅토리아 호수는 우간다, 케냐, 탄자니아의 세 나라에 걸쳐있는 넓이 68,800 평방킬로미터의 거대한 내륙 호수로서 적도에 위치하여 일년 중 강수량이 2000 밀리미터 이상이나 되는 지역이다. 빅토리아 호수는 1858년 영국의 스펙크(John Hanning Speke)에 의해 발견되었고, 빅토리아 호수로 흘러들어 가는 최남단의 루부부(Ruvubu)강의 수원지는 오늘날 브룬디(Brundi)에 있으며 이 수원지는 1937년 독일의 발데커(Burkhart Waldecker) 박사에 의해 최초로 확인되었다. 빅토리아 호수의 물은 르완다와 브룬디에 걸쳐있는 월산(the Mountains of the Moon)에 쌓인 눈이 녹아 카게라 (Kagera) 하천을 통해 들어온 것이다. 백나일의 수원지인 월산(Mountains of the Moon) 지역에는 연중 강수량이 1900 밀리미터에 달하며 청나일과 합쳐지는 카르툼까지의 길이는 약 3700킬로미터 이다. 카르툼에서 합쳐진 나일강은 아스완까지 모두 여섯 개의 급류를 이루며 흘러간다. 청나일, 백나일 외에도 카르툼 북쪽에는 에티오피아 고원 지대에서 발원하는 또하나의 지류인 아트바라(Atbara)강이 나일강의본류로 합쳐진다.
급류(cataracts)와 지리적 경계
이집트는 원래 강을 유일한 교통로로 이용하여 통일 왕국을 건설하였기 때문에 아스완의 화강암 지역의 급류 지역은 배가 다닐수 없는 곳이어서 자연히 이집트의 지리적인 남쪽 경계를 이루었다. 오늘날 이집트 학계에서는 이집트 지역인 지역인 하류에서부터 상류로 올라가면서 급류에 차례대로 번호를 붙여서 아스완 지역을 제 1급류로 그리고 최남단인 카르툼 근처의 급류를 제 6급류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고왕국 시대부터 급류지역에서는 배를 분해하여 우회한 후 계속하여 남쪽의 누비아를 점령하기도 했지만 이집트의 전통적인 남쪽 경계는 중왕국 시대까지도 엘레판틴 섬의 주거지를 중심으로하는 아스완, 즉 제 1급류였다. 신왕국시대에 들어와서는 남쪽의 경계가 좀 더 상류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 19왕조의 람세스 2세는 오늘날 아부 심벨(Abu Simbel)이라 불리는 이곳에 거대한 규모의 신전을 건 설하여서 이집트 남쪽 경계를 더욱 확장하였다. 이집트인들이 나일강의 급류라는 장애물을 극복하면서 상류쪽으로 진출한 이유는 황금, 노예, 상아, 향료, 흑단목(ebony) 등 이집트에서 는 구할 수 없는 아프리카의 특산물들을 얻기 위해서였다. 신왕국 시대 제 18왕조의 하쳅 숫트(Hatshepsut) 여왕은 나일강의 급류들 때문에 큰 배들을 운항할 수가 없어서 대규모의 선단을 홍해에서 발주하여 오늘날의 소말리아로 여겨지는 푼트(Punt)에 원정을 보내기도 하 였다.
상 이집트(Upper Egypt)와 하 이집트(Lower Egypt)
이집트는 예로부터 나일강 유역을 따라 전체 국토를 양분하였는데, 상부 이집트가 나일강 상류 지역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하부 이집트는 지중해 쪽의 삼각주 지방을 일컫는다. 이 두 지역의 경계는 현재 카이로 남쪽 20 킬로미터 지점의 멤피스(Memphis)이며, 두 지역을 효 과적으로 다스리기 위해 이집트 고왕국 시대부터 멤피스는 정치적, 종교적 수도로 발전되었 다. 이러한 두 개의 이집트 개념은 고대 히브리어에서 이집트를 미쯔라임(Mitzraim), 즉 두 개의 미쩨르(Mitzer=이집트)로 표기한데서도 그 유래를 잘 찾아볼 수 있다. 전통적으로 상 이집트는 22개 그리고 하 이집트는 20개의 주(nome)로 구분되어 있으며 멤 피스는 하 이집트의 첫번째 주에 속하였다. 서기전 3000 년경 상 이집트 세력이 하 이집트 를 정복함으로써 역사상 최초의 통일 이집트의 시대가 열리게 된다. 그 후 이집트의 모든 왕들은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의 상징물을 이용하여 그들의 왕권을 표기하기 시작하였다.
하 이집트(Lower Egypt) = 나일 삼각주
이집트의 농경지는 삼각주와 나일강변을 따라 양쪽으로 띠 모양으로 형성되었으며 이 면적 은 전체 100만 평방 킬로미터 중에서 3퍼센트의 땅인데 오늘날 이 곳에 전체 인구의 96 퍼 센트가 거주하고 있다. 삼각주는 전체 면적이 22,000 평방 킬로미터이며 이 지역은 흙과 물 과 태양이 일년 내내 충분하기 때문에 어떤 종류의 농작물도 경작이 가능한 낙원같은 곳이 다. 삼각주 지방의 중요한 고대 도시들의 유적은 해마다 나일강의 끊임없는 범람으로 인한 퇴적층의 증가와 농경지 개발로 대부분 파괴되거나 땅속에 묻혀버렸다. 상 이집트와는 달 리 이 곳에는 석재가 귀해서 대부분의 건물들이 흙벽돌로 지어졌기 때문에 잘 보존되지 못한 점도 있다. 오늘날까지 약 20 여군데의 유적지에서 이집트 왕조 시대와 그리스-로마 시대에 건설된 도시들의 유적이 발굴되었다.
추천자료
나일강의 범람이 피라미드 건설과 이집트 문명의 철학에 미친 영향
[기독교 영화 감상문]이집트 왕자
고전 영화 - 이집트인
[4대문명]황화문명 인더스문명 이집트문명 메소포타미아 문명
[수학]이집트 수학의 특징과 수학교육적 의의
아프리카에 진출한 우리기업의 현황과 사례- 이집트 편
[결혼문화A+] 우리나라와 이슬람 국가(이집트)의 결혼문화 소개 및 비교분석
알고 보면 재미있는 이집트 문화
Islamic Garden - 이슬람정원,이슬람정원특성,이집트정원,각나라별정원비교,정원비교분석
기후와 문명 6대 문명 정리 - 이집트 문명, 메소포타미아 문명, 인더스 문명, 황하 문명, 마...
[A+] [공학윤리사례] 이집트 여객선 침몰사건 알 살람 보카치오 98호 침몰 사건의 피해 사...
[영화 감상문] 『이집트왕자』 를 보고나서
[영화 감상문] ‘이집트 왕자’ 를 보고
[감상문] ‘이집트 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