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lamic Garden - 이슬람정원,이슬람정원특성,이집트정원,각나라별정원비교,정원비교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Islamic Garden - 이슬람정원,이슬람정원특성,이집트정원,각나라별정원비교,정원비교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슬람 정원의 특성 •••••••••••••<3~4>

2. 이슬람 정원이 추구하는 정원의 모습••••••••••<4~5>

3. 이슬람 정원의 특성을 이집트 정원과 비교•••••••••<5~8>

4. 종교적 상징성이 정원에 미친 영향•••••••••<9~11>

5. 이슬람 정원의 다양성•••••••••••••<12~25>

6. 결론•••••••••••••<25>

본문내용

곳에 아름다운 정원이 들어서게 된 이유는 정원 바로 뒤에 「솔레이만」이라고 이름 붙여진 온천수가 나오면서였는데, 이때가 BC 5세기경이다. 당시 유명한 유대나라 솔로몬왕의 위대성을 인정하는 의미에서 명명되었다고 하는데, 여기에서 분출되는 온천수는 수천 년을 지내오면서도 물의 온도와 수량이 일정하다고 한다. 정원에 사방으로 난 수로로 온천수가 쉼 없이 흐르고 있었으며 가장 이란적인 전통 정원으로서 유명하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 수로와 수로를 흐르는 물 그리고 수로를 따라 식재된 가로수가 조화를 이루며 전형적인 이슬람 정원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4)무굴 왕조의 정원 - 인도
최초의 무굴 황제인 바블이 덥고 먼지투성이 북인도의 평원에서 가져온 정원의 전통은 순수한 페르시아의 구성원리에 의한 폐쇄되고, 사적인 사분정원이었다. 하지만 2세기 이상에 걸쳐 정원 만들기에 정열을 지속한 그의 자손들은 이러한 페르시아의 형태를 차용하면서도 그것을 변용시켜 세계의 정원 문화 중에서도 유례가 없는 정원을 탄생시켰다.
이슬람의 가장 중요한 건축은 모스크였는데 성묘건축 또한 인도에 도입되었다. 당시 힌두의 인두에서는 사자(죽은 자)의 죽은 명시하기 위해 분묘를 짓는다는 습관은 없었기 때문에 그것은 전혀 새로운 종류의 건물이었다. 성묘건축은 특히 북인도에서는 자연경관의 일부가 되고 최고의 인도이슬람 디자인 대부분이 이들 건물과 함께 이루어져 사분정원의 개념은 그것들을 둘러싼 새로운 형식으로 발전한 것이다.
무굴 왕조 이전의 인도이슬람 예술도 이미 뚜렷하게 이슬람 페르시아의 요소를 보이고 있는데 가까운 거리 때문이라도 그것은 피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초기 무굴 정원에 있어서 궁전건축은 일찍부터 인도이슬람의 융합에 기초를 두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 독특한 맛은 페르시아의 선명한 색채에서 이탈한 이 땅의 차분한 색조를 띈 붉은색과 황색 돌의 사용과 발코니와 연꽃잎 모양의 창과 같은 힌두적 세부의장에서 유래한 것이며, 반면에 풍부한 꽃과 동물, 당초 모양의 무늬 들은 무슬림 비문과 관련이 있다.
Agra, Dehli, Kashmir, 중심의 인도-사라센(saracen)식 정원은 Mughal제국1516~1761)에 이슬람 문화와 힌두문화(인도 토착문화)가 융합되었다. 지금까지 봐왔던 이슬람의 정원 양식과는 약간의 차이점을 보인다. 위에서도 볼 수 있듯 인도-사라센식 정원은 pavilion이라 불리는 장례정원이 두드러진다. 또한, 인도-사라센 양식에서는 bagh라 불리는 궁전이나 귀족들의 별장을 중심으로 발달한 정원과 건물과 정원을 하나의 unit로 한 별장이 발달하였다.
①타지마할
인도 아그라에 위치한 무굴제국의 대표적 건축물이다. 무굴 제국의 황제 샤 자한이 자신의 총애하였던 부인 뭄타즈 마할로 알려진 아르주망 바누 베굼을 기리기 위하여 무덤 건축을 명하여 2만 명이 넘는 노동자를 동원하여 건설하였다. 건축의 총 책임자는 우스타드 아마드 로하리로 알려져 있고, 뭄타즈 마할이 죽은지 6개월 후부터 건설을 시작하여 완공에 22년이 걸렸다.
타지마할은 페르시아, 터키, 인도 및 이슬람의 건축 양식이 잘 조합된 무굴 건축의 가장 훌륭한 예이다. 1983년 타지마할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인도에 위치한 무슬림 예술의 보석이며 인류가 보편적으로 감탄할 수 있는 걸작"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일반적으로 흰색 대리석 돔의 영묘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나, 타지마할의 규모는 더 크다.
공간구성은 중앙의 능묘, 모스크, 정원, 수로, 미나렛, 산책로 등 완벽한 좌우 대칭이다. 타지마할의 설계자에 대한 설은 아직도 자세히 밝혀지지 않고 있는데 제로니모 베로네오(이태리) 또는 오스틴 보르톡스(프랑스) 등 2며이 정설로 인정되고 있다. 타지마할의 공사는 외국 기술자와 무국제국의 순수한 전문기술자만 해도 2만명이 참여한 것으로도 경이적이다.
타지마할은 무굴건축에 이미 존재했던 여러 가지 요소가 서로 융합되는 계기가 되었다. 첨두형의 이완 위에 불룩한 형의 돔은 페르시아 건축에서 직접 취한 형식이며 부속의 호리호리한 미나레트는 아크발 사당에서 선례가 있다. 흰대리석의 상감세공은 아그라의 또 하나의 사당 눌 자한이 그의 양친을 위해 건조한 이티마드 알 다우라 사당에서 사용되고 있었다. 이것은 1564년에 건설된 프마윤 사당에서 싹튼 사당 형식이 발전한 것이다. 정원의 형식의 진전이 있었다. 바블에 의한 카불에서, 최초로 인도의 무굴 정원에서 보여진 초기의 방형 구성에서, 델리의 프마윤 사당을 둘러싼 정원구성이 생기고 단아함을 더함과 함께 보다 강한 축선의 인산을 가져왔다. 그곳에서 타지 마할의 모습을 비추는 유명한 저수로가 생겨나왔다. 이 건물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만큼 거대하지는 않지만 그것을 이루고 있는 대리석은 이제까지의 사당의 음울한 적사암에는 없는 생기를 가지고 있다. 사람들은 타지 마할의 건축물을 타지 마할의 전부라고 생각하지만 타지 마할은 그 자체로 장례정원이란 무굴 건축의 중요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전의 문화권에서도 볼 수 있듯 타지 마할 또한 많은 문화권의 건축 양식과 정원 양식의 혼재가 보인다. 이는 근복적으로 이문화를 적극적으로 흡수, 재해석하는 이슬람의 문화적 관용을 잘 보여준다.
이 사진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타지 마할로 이어지는 주수로는 일단 높은 수조에 의해서 중단되고 그곳에서 부수로가 좌우 정원으로 흘러간다. 사당이 정원의 중앙에 없는 것은 아마도 샤 자한의 의도였을 것이다. 주수로의 테를 두르고 있는 별 모양의 장식은 이슬람 문화의 그것과 동일하다.
6. 결 론
위에서 지속적으로 살펴보았듯 이슬람 문화 권 정원은 그들의 종교적 신념과 낙원을 표현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발달하였다. 이는 역사적으로 페르시아의 문화의 계보를 이은 것이다. 주변의 척박한 환경 또한 정원 양식의 많은 영향을 주었다. 광대한 영토를 지배하였던 이슬람 세력은 세계 각지에서 각기 다른 양식의 정원을 발달시켰다. 이는 이(異)문화를 배척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수용, 재해석하는 그들의 문화적 관용에서 비롯되었다. 문화적 다양성은 이슬람 교리라는 커다란 규율 아래 혼재되어 세련된 조합을 나타낸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3.05.12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50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