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사내용
2. 조사방법
(1) 조사대상
(2) 조사절차
(3) 설문응답자의 분포
3. 조사결과
(1) 왕따 시키는 학생들
(2) 왕따 당하는 학생들
(3) 왕따를 바라보는 학생들
4. 요약 및 정리
(1) 현황
(2) 경험
(3) 이유
(4) 방법
(5) 행동
(6) 해결
(7) 느낌
5. <참고자료> 설문지
2. 조사방법
(1) 조사대상
(2) 조사절차
(3) 설문응답자의 분포
3. 조사결과
(1) 왕따 시키는 학생들
(2) 왕따 당하는 학생들
(3) 왕따를 바라보는 학생들
4. 요약 및 정리
(1) 현황
(2) 경험
(3) 이유
(4) 방법
(5) 행동
(6) 해결
(7) 느낌
5. <참고자료> 설문지
본문내용
에 대해 어떤 느낌이 들었나요?
① 후회스럽다. ② 죄책감이 생긴다.
③ 재미있다. ④ 후련하다.
⑤ 속상하다. ⑥ 별 느낌이 없다.
7. 친구를 따돌리고 난 뒤, 왕따 시킨 학생에게서 어떤 느낌을 받았나요?
① 미안하다. ② 불쌍하다.
③ 또 왕따 시키고 싶다. ④ 한심하다.
⑤ 당연하다. ⑥ 특별한 느낌이 없다.
8. 왕따 시키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복수응답가능)
① 왕따 당할 행동을 했다.
② 내가 왕따 당한걸 복수하려고
③ 왕따 시킴으로 자신의 힘 과시
④ 친구들이 따돌리니까
⑤ 자신의 집단의 힘을 과시하려고
⑥ 공부만 시키는 사회에 대한 반항
9. 왕따 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은? (복수응답가능)
① 여러 사람 앞에서 무시하고 창피를 준다.
② 완전히 무시하고 말도 안 한다.
③ 사사건건 시비를 걸고 놀린다.
④ 별명을 부르고 놀린다.
⑤ 따로 불러서 집단으로 때린다.
⑥ 공책이나 펜 등을 빌려주지 않는다.
10. 왕따 당하는 학생을 봤을 때 어떤 기분이 드나요?
① 나도 왕따 당할까봐 불안하다.
② 불쌍한 마음이 든다.
③ 아무렇지도 않다.
④ 돕고 싶다.
⑤ 한심해 보인다.
11. 왕따를 시키는 학생을 볼 때의 느낌은 어떠한가요?
① 화가 난다.
② 나도 저렇게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③ 따돌리는 학생들이 무섭다.
④ 당연하다고 느껴진다.
⑤ 따돌리는 학생들을 경계하게 된다.
12. 본인이 왕따를 당해본 적이 있나요?
① 있다. ② 없다.
* ① 있다 → 13번
② 없다 → 21번
13. 왕따를 당한 후, 자신이 어떻게 느껴지나요?
① 바보 같다. ② 억울하다.
③ 슬프다. ④ 외롭다.
⑤ 서럽다. ⑥ 내가 못난 것 같다.
⑦ 왕따 당해서 마땅하다.
⑧ 특별한 느낌이 없다.
14. 왕따를 당한 후, 자신을 왕따 시킨 학생에게서 어떤 느낌이 들었나요?
① 밉다. ② 복수하고 싶다.
③ 혐오감 느낀다. ④ 피하고 싶다.
⑤ 무섭다. ⑥ 특별한 느낌이 없다.
15. 무엇 때문에 자신이 왕따 당했다고 생각하나요? (복수응답가능)
① 친구들 앞에서 잘난척하기 때문에
② 선생님이 나만 예뻐하기 때문에
③ 왕따 당할 때 도와줄 친구가 없어서
④ 내가 힘이 없게 생겨서
⑤ 왕따 시키는 게 나쁜 애들이다.
⑥ 내가 너무 눈에 띄게 생겨서
⑦ 내가 모범생이기 때문에
⑧ 왕따 당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16. 어떤 식으로 왕따 당했나요? (복수응답가능)
① 욕이나 별명을 부른다.
② 흉보듯이 뒤에서 수근거린다.
③ 함께 하는 일에 끼워주지 않는다.
④ 밀거나 꼬집는다.
⑤ 발로 차거나 손으로 때린다.
⑥ 쉬는 시간에 같이 놀지 않는다.
⑦ 다른 친구에게 내 욕을 한다.
⑧ 무시한다.
17. 왕따 당한 후 어떻게 행동했나요?
① 학교에 가지 않는다.
② 고개를 숙이고 다닌다.
③ 왕따 당할 곳을 피한다.
④ 아무하고도 말을 하지 않는다.
⑤ 가만히 있는다.
⑥ 공격적으로 말한다.
18. 왕따 당한 후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나요? (복수응답가능)
① 혼자 고민한다.
② 선생님을 찾아간다.
③ 경찰서에 신고한다.
④ 부모님과 상의한다.
⑤ 친구에게 잘 보이려고 노력한다.
⑥ 왕따를 피하려고 집단에 들어간다.
19. 왕따를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① 스스로 친구들과 어울리려고 노력한다.
② 친구들이 나를 잘 대해 주면 좋겠다.
③ 내가 먼저 친구들을 사랑해야겠다.
④ 부모님께서 관심을 더 보이셔야 한다.
⑤ 선생님께서 관심을 더 보이셔야 한다.
20. 왕따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나요?
① 나 때문에 ② 친구 때문에
③ 부모님 때문에 ④ 선생님 때문에
21. 왕따 당한 학생은 어떻게 행동하는 것으로 보여지나요? (복수응답가능)
① 학교에 가지 않는다.
② 고개를 숙이고 다닌다.
③ 왕따 당할 곳을 피한다.
④ 아무하고도 말을 하지 않는다.
⑤ 가만히 있는다.
⑥ 공격적으로 말한다.
22. 왕따 당한 학생은 그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려고 노력했나요? (복수응답가능)
① 혼자 고민한다.
② 선생님을 찾아간다.
③ 경찰서에 신고한다.
④ 부모님과 상의한다.
⑤ 친구에게 잘 보이려고 노력한다.
⑥ 왕따를 피하려고 집단에 들어간다.
23. 왕따 시키는 학생들의 주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되나요?
① 왕따 당할 행동을 했다.
② 내가 왕따 당한걸 복수하려고
③ 왕따 시킴으로 자신의 힘 과시
④ 친구들이 따돌리니까
⑤ 자신의 집단의 힘을 과시하려고
⑥ 공부만 시키는 사회에 대한 반항
24. 왕따 시키는 학생들의 구체적인 방법은? (복수응답가능)
① 여러 사람 앞에서 무시하고 창피를 준다.
② 완전히 무시하고 말도 안 한다.
③ 사사건건 시비를 걸고 놀린다.
④ 별명을 부르고 놀린다.
⑤ 따로 불러서 집단으로 때린다.
⑥ 공책이나 펜 등을 빌려주지 않는다.
25. 왕따 당하는 친구에 대해 본인은 어떻게 반응했나요?
① 불쌍하기는 하지만 보복 당할까봐 가만히 있는다.
② 부모님, 선생님과 의논한다.
③ 왕따 당하는 아이에게 가서 친구가 되어주려고 노력한다.
④ 집단의 압력이 무서워 나도 왕따 시킨다.
⑤ 무시한다.
-----------------------------------
* 질문에 답하신 분은 ?
- 성별 : 男 / 女
- 성적 : 上 / 中 / 下
참고문헌 -----------------------------------------------------
1. 강진영, 유형근(2000). 집단 괴롭힘. 서울: 양서원.
2. (주)가우디(1999). 왕따 리포트. 서울: 우리교육.
3. 이기문, 김진희((1999). 혹시 우리 아이 왕따 아닐까. 서울: 국일 미디어.
4. 한준상(2002). 집단 따돌림과 교육해체. 서울: 집문당.
5. 구본용(1997). 청소년 집단 따돌림의 원인과 지도 방안. 청소년 상담문제 연구.
6. 박경숙(1998). 학생의 왕따(집단따돌림 및 괴롭힘)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 발원.
7. 홍기칠(2002). 교우관계증진프로그램이 집단 따돌림 예방에 미치는 효과.
8. 김용태, 박한샘(1997). 청소년 친구 따돌림의 실태 조사.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 대화의 광장
9. 신문자료(중앙일보, 주간동아, 조선일보).
① 후회스럽다. ② 죄책감이 생긴다.
③ 재미있다. ④ 후련하다.
⑤ 속상하다. ⑥ 별 느낌이 없다.
7. 친구를 따돌리고 난 뒤, 왕따 시킨 학생에게서 어떤 느낌을 받았나요?
① 미안하다. ② 불쌍하다.
③ 또 왕따 시키고 싶다. ④ 한심하다.
⑤ 당연하다. ⑥ 특별한 느낌이 없다.
8. 왕따 시키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복수응답가능)
① 왕따 당할 행동을 했다.
② 내가 왕따 당한걸 복수하려고
③ 왕따 시킴으로 자신의 힘 과시
④ 친구들이 따돌리니까
⑤ 자신의 집단의 힘을 과시하려고
⑥ 공부만 시키는 사회에 대한 반항
9. 왕따 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은? (복수응답가능)
① 여러 사람 앞에서 무시하고 창피를 준다.
② 완전히 무시하고 말도 안 한다.
③ 사사건건 시비를 걸고 놀린다.
④ 별명을 부르고 놀린다.
⑤ 따로 불러서 집단으로 때린다.
⑥ 공책이나 펜 등을 빌려주지 않는다.
10. 왕따 당하는 학생을 봤을 때 어떤 기분이 드나요?
① 나도 왕따 당할까봐 불안하다.
② 불쌍한 마음이 든다.
③ 아무렇지도 않다.
④ 돕고 싶다.
⑤ 한심해 보인다.
11. 왕따를 시키는 학생을 볼 때의 느낌은 어떠한가요?
① 화가 난다.
② 나도 저렇게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③ 따돌리는 학생들이 무섭다.
④ 당연하다고 느껴진다.
⑤ 따돌리는 학생들을 경계하게 된다.
12. 본인이 왕따를 당해본 적이 있나요?
① 있다. ② 없다.
* ① 있다 → 13번
② 없다 → 21번
13. 왕따를 당한 후, 자신이 어떻게 느껴지나요?
① 바보 같다. ② 억울하다.
③ 슬프다. ④ 외롭다.
⑤ 서럽다. ⑥ 내가 못난 것 같다.
⑦ 왕따 당해서 마땅하다.
⑧ 특별한 느낌이 없다.
14. 왕따를 당한 후, 자신을 왕따 시킨 학생에게서 어떤 느낌이 들었나요?
① 밉다. ② 복수하고 싶다.
③ 혐오감 느낀다. ④ 피하고 싶다.
⑤ 무섭다. ⑥ 특별한 느낌이 없다.
15. 무엇 때문에 자신이 왕따 당했다고 생각하나요? (복수응답가능)
① 친구들 앞에서 잘난척하기 때문에
② 선생님이 나만 예뻐하기 때문에
③ 왕따 당할 때 도와줄 친구가 없어서
④ 내가 힘이 없게 생겨서
⑤ 왕따 시키는 게 나쁜 애들이다.
⑥ 내가 너무 눈에 띄게 생겨서
⑦ 내가 모범생이기 때문에
⑧ 왕따 당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16. 어떤 식으로 왕따 당했나요? (복수응답가능)
① 욕이나 별명을 부른다.
② 흉보듯이 뒤에서 수근거린다.
③ 함께 하는 일에 끼워주지 않는다.
④ 밀거나 꼬집는다.
⑤ 발로 차거나 손으로 때린다.
⑥ 쉬는 시간에 같이 놀지 않는다.
⑦ 다른 친구에게 내 욕을 한다.
⑧ 무시한다.
17. 왕따 당한 후 어떻게 행동했나요?
① 학교에 가지 않는다.
② 고개를 숙이고 다닌다.
③ 왕따 당할 곳을 피한다.
④ 아무하고도 말을 하지 않는다.
⑤ 가만히 있는다.
⑥ 공격적으로 말한다.
18. 왕따 당한 후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나요? (복수응답가능)
① 혼자 고민한다.
② 선생님을 찾아간다.
③ 경찰서에 신고한다.
④ 부모님과 상의한다.
⑤ 친구에게 잘 보이려고 노력한다.
⑥ 왕따를 피하려고 집단에 들어간다.
19. 왕따를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① 스스로 친구들과 어울리려고 노력한다.
② 친구들이 나를 잘 대해 주면 좋겠다.
③ 내가 먼저 친구들을 사랑해야겠다.
④ 부모님께서 관심을 더 보이셔야 한다.
⑤ 선생님께서 관심을 더 보이셔야 한다.
20. 왕따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나요?
① 나 때문에 ② 친구 때문에
③ 부모님 때문에 ④ 선생님 때문에
21. 왕따 당한 학생은 어떻게 행동하는 것으로 보여지나요? (복수응답가능)
① 학교에 가지 않는다.
② 고개를 숙이고 다닌다.
③ 왕따 당할 곳을 피한다.
④ 아무하고도 말을 하지 않는다.
⑤ 가만히 있는다.
⑥ 공격적으로 말한다.
22. 왕따 당한 학생은 그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려고 노력했나요? (복수응답가능)
① 혼자 고민한다.
② 선생님을 찾아간다.
③ 경찰서에 신고한다.
④ 부모님과 상의한다.
⑤ 친구에게 잘 보이려고 노력한다.
⑥ 왕따를 피하려고 집단에 들어간다.
23. 왕따 시키는 학생들의 주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되나요?
① 왕따 당할 행동을 했다.
② 내가 왕따 당한걸 복수하려고
③ 왕따 시킴으로 자신의 힘 과시
④ 친구들이 따돌리니까
⑤ 자신의 집단의 힘을 과시하려고
⑥ 공부만 시키는 사회에 대한 반항
24. 왕따 시키는 학생들의 구체적인 방법은? (복수응답가능)
① 여러 사람 앞에서 무시하고 창피를 준다.
② 완전히 무시하고 말도 안 한다.
③ 사사건건 시비를 걸고 놀린다.
④ 별명을 부르고 놀린다.
⑤ 따로 불러서 집단으로 때린다.
⑥ 공책이나 펜 등을 빌려주지 않는다.
25. 왕따 당하는 친구에 대해 본인은 어떻게 반응했나요?
① 불쌍하기는 하지만 보복 당할까봐 가만히 있는다.
② 부모님, 선생님과 의논한다.
③ 왕따 당하는 아이에게 가서 친구가 되어주려고 노력한다.
④ 집단의 압력이 무서워 나도 왕따 시킨다.
⑤ 무시한다.
-----------------------------------
* 질문에 답하신 분은 ?
- 성별 : 男 / 女
- 성적 : 上 / 中 / 下
참고문헌 -----------------------------------------------------
1. 강진영, 유형근(2000). 집단 괴롭힘. 서울: 양서원.
2. (주)가우디(1999). 왕따 리포트. 서울: 우리교육.
3. 이기문, 김진희((1999). 혹시 우리 아이 왕따 아닐까. 서울: 국일 미디어.
4. 한준상(2002). 집단 따돌림과 교육해체. 서울: 집문당.
5. 구본용(1997). 청소년 집단 따돌림의 원인과 지도 방안. 청소년 상담문제 연구.
6. 박경숙(1998). 학생의 왕따(집단따돌림 및 괴롭힘)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 발원.
7. 홍기칠(2002). 교우관계증진프로그램이 집단 따돌림 예방에 미치는 효과.
8. 김용태, 박한샘(1997). 청소년 친구 따돌림의 실태 조사.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 대화의 광장
9. 신문자료(중앙일보, 주간동아, 조선일보).
추천자료
청소년 상담과 집단따돌림
[학교 폭력] 집단따돌림 예방 및 치유 방안 연구
학교폭력 및 집단따돌림 예방을 위한 상담역할에 관한 고찰
청소년 집단따돌림 그 현상과 대책에 대해
집단따돌림 연구보고서
집단따돌림
학교사회복지론(집단따돌림)
집단따돌림의 문제와 해결방안
청소년들의 집단따돌림의 정의, 원인, 유형을 정리하시고 집단 따돌림의 해결방안과 자신의 ...
집단따돌림 정의와 원인 및 유형과 해결방안
[PPT] 학교폭력과 집단따돌림.pptx
[집단따돌림의 심각성과 해결방안] 집단따돌림의 원인, 집단따돌림의 유형, 집단따돌림 사례,...
집단따돌림과 사회성,집단따돌림의 개념,집단따돌림의 유형,사회성이란,집단따돌림의 해결방안
청소년복지)청소년 집단따돌림의 해결방안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