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배경-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과 프랑스의 재침략
(1)종전과 베트남문제
(2)프랑스와 호찌민 정부
(3)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4) 미국의 프랑스 지원
(5)디엔 비엔 푸
2. 제네바 협정과 남북 분단
(1)제네바 협정
(2)하노이 정부
(3)사이공 정부
(4)지엠의 독재정치
3. 베트남 전쟁의 확대와 종전
(1)미국의 개입
(2)미국의 지상군 파병
(3)뗏 공세와 그 영향
(4) 파리 평화회담
(1)종전과 베트남문제
(2)프랑스와 호찌민 정부
(3)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4) 미국의 프랑스 지원
(5)디엔 비엔 푸
2. 제네바 협정과 남북 분단
(1)제네바 협정
(2)하노이 정부
(3)사이공 정부
(4)지엠의 독재정치
3. 베트남 전쟁의 확대와 종전
(1)미국의 개입
(2)미국의 지상군 파병
(3)뗏 공세와 그 영향
(4) 파리 평화회담
본문내용
께 언제 어디서고 평화협상에 응할 것임을 밝혔다. 아울러 그해 치뤄질 대통령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중대 발표를 했다.
1968년 5월 파리에서 하노이 정부와 미국의 예비접촉
이 무렵 하노이 정부는 당 서기장 레 주언, 수상 팜 반 동, 부총리 겸 국방장관 보 응우옌 지압 등의 집단체제로 운영되고 있었다. 호 찌 민은 건강악화로 이미 정치에서 손을 떼었고 그는 1969년 9월 2일 사망한다.
1968년 11월 대통령선거에서 공화당의 닉슨이 당선-미국의 베트남 정책은 재평가됨
명예로운 철수를 원함
1969년 6월 8일 닉슨은 남베트남 대통령 티에우를 태평양에 있는 미드웨이섬에서 만나 미군 2만 5천명을 8월 말까지 철수시키고 이어 연말까지 더 감축할 것임을 밝힘
전쟁을 베트남화하는 시발점으로 미군의 감축과 더불어 남베트남 정부군은 더욱 확대되고 더 많은 임무를 부여받게 되는 것. 문제는 사이공정부가 외부의 도움없이 스스로 지킬수 있는가 하는 것
1969년 3월초, 닉슨은 캄보디아에 주둔해 있는 하노이측의 병력과 물자공급로 및 탄약고 등에 대한 폭격을 단행하여 이후 14개월 동안 계속했다.
1970년 3월 중립적이던 시아누크 왕이 쿠데타에 의해 추방되고 친미적인 론 놀장군이 정권을 잡았다. 이에 사이공 정부군과 미군이 국경을 넘어 캄보디아로 진격해 들어감에 따라 전쟁은 확전의 양상을 띠었다.
캄보디아 침입은 미국측에 일시적 성공을 가져다 줌. 하노이 정부가 캄보디아에 주둔중이 군대에 관심을 가지는 동안 미국과 사이공 정부는 1971년 100만명까지 사이공정부군을 재정비하여 뗏 공세이후 쇠약해진 베트콩에 대한 공세를 취했다. 그러나 1971년 티에우의 란 썬 719작전
람 썬 719작전(Operation Lam Son 719)의 목적은 라오스내에 있는 호 찌 민 통로의 주요 거점을 파괴하는 것이었다.
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베트남화는 다시금 의문시되었다.
(4) 파리 평화회담
1972년에 들어서자 닉슨은 1월에 미군 7만명을 추가로 철수시켜 6만 4,500명까지 감축한다고 발표하고 파리회담의 성사에 관심을 가짐
-1968년 파리 예비회담이 실패한 후 1969년부터 닉슨의 안보담당 헨리 키신저와 하노이 정부의 정치국원인 레 득 토는 비밀리에 접촉을 계속해왔다.
-하노이측은 남베트남에서 모든 외국군의 철수 및 민족해방전선을 포함한 남베트남 임시혁명정부의 수립을 요구. 미국은 남베트남 정부군 외의 모든 군대의 철수와 남베트남 문제에 대한 북베트남 정부의 직·간접적인 개입 중단 그리고 독립된 국가로서 남베트남에서의 총선거를 주장
1972년 3월 말 지압 장군은 '부활절 공세'를 감행하여 12만 명의 하노이 정부군이 소련제 탱크와 대포의 지원을 받으며 휴전선을 넘었다. 미군은 곧 공습으로 맞서고 닉슨은 공식적으로 북베트남 폭격의 재개를 지시하고 하이 퐁 항구를 봉쇄하도록 명령했다. 한편 1972년 2월 베이징, 5월에는 소련을 방문하여 외교적으로 긴장을 완화시켜 나가자 미국의 하노이에 대한 공세에 대해 중국과 소련은 형식적인 비난을 하는 데 그쳤다.
1972년 7월 파리 협상이 재개
-오랜 논란 끝에 10월 8일 하노이측 대표인 레 득 토는 처음으로 휴전후 티에우 정부의 존속을 인정했다. 10월 21일 협상 초안이 작성되었으나 이번에는 티에우가 회담내용에 반발하고 나섰다.
-이에 닉슨은 그를 달래기위해 1월 대량의 무기를 사이공정부군에 넘겨주고 또 휴전후 재건을 위한 원조를 약속
-그러자 하노이측이 미국의 티에우 정부에 대한 태도에 불만을 품어 11월 재개된 협상은 12월에 결렬된다
-다시 미국은 '크리스마스 폭격'을 재개하여 하노이측을 회담장으로 끌어내고 1973년 1월 23일 마침내 키신저와 레 득 토는 잠정적인 협정에 합의하고, 1월 27일 미국, 사이공 정부, 하노이 정부, 그리고 남베트남 임시혁명정부
1969년 이후 민족해방전선의 명칭
의 대표가 공식적으로 평화조약에 각각 서명했다.
휴전후에도 전투는 계속
-파리 협정이 경쟁자들간의 경계를 확정짓지 않고 단순히 휴전시의 전투상황만으로 세력권을 규정한데 문제가 있었다.
-1973년 티에우 군대는 휴전 직전 베트콩에 잃었던 상당수의 촌락을 되찾았다.
하노이 정부는 1973년 10월에 개최된 노동당 21차 중앙위원회에서 혁명전쟁을 계속할 것을 천명하고 이듬해 4월, 중앙군사위원회는 전쟁의 확대를 두려워하지 않고 적이 공격하면 적극적으로 공세를 취한다는 방침을 결정
국내외 정세는 사이공정부에 불리
-동맹군의 철수로 사이공 정부군이 공격을 막아낼수 없을 것이라는 불안감이 조성
-동맹군의 철수는 그들의 소비에 적잖게 의존했던 가정경제에 영향을 끼쳐 사회적 불안감을 한층 증가시켰다
-1973년 11월 미국 의회는 미군의 해외파병에 대한 대통령의 권한을 대폭 축소하는 법안을 통과시켜 미국의 재개입은 사실상 불가능해짐
-1974년 워터게이트사건으로 닉슨은 8월 대통령직에서 사임
하노이 정부는 1975년 1월 사이공 정부군에 대한 전면전에 돌입
-제럴드 포드는 의회에 남베트남과 캄보디아에 대한 추가 원조를 요청하지만 거절당함
-사이공 정부 내에서는 반(反) 티에우 세력이 증가
하노이 정부의 남부군 사령관인 반 띠엔 중은 3월초 반 메 투옷에 대한 대대적 공격을 감행. 3월 19일에는 꽝 찌 시(市)가 함락되고, 25일에는 후에마저 무너짐. 3월 29일 남베트남 제2의 도시 다 낭도 함락
'호 찌 민 작전'
-3월 25일 하노이 정치국은 5월 중순 우기가 시작되기 전에 사이공을 함락시키기로 결정
-4월부터 사이공 점령을 위한 마지막이자 최대 공세인 '호 찌 민 작전'이 개시
-티에우는 4월 21일 대통령직을 사임하고 부통령인 쩐 반 흐엉이 물려받음. 흐엉은 북베트남과 협상을 시도하나 실패하고 다시 26일 온건파인 즈엉 반 민에게 대통령직을 위임. 민 역시 협상을 시도하지만 거절당함
-4월 30일 마침내 하노이 군대에 의해 사이공점령
『참 고 문 헌』
1. (새로 쓴)베트남의 역사 유인선
2. 한권으로 읽는 베트남사 오쿠라 사라오
3. 베트남 10,000일간의 전쟁 Micheal Maclear
4. 전쟁과 학살, 부끄러운 미국 홍윤서
1968년 5월 파리에서 하노이 정부와 미국의 예비접촉
이 무렵 하노이 정부는 당 서기장 레 주언, 수상 팜 반 동, 부총리 겸 국방장관 보 응우옌 지압 등의 집단체제로 운영되고 있었다. 호 찌 민은 건강악화로 이미 정치에서 손을 떼었고 그는 1969년 9월 2일 사망한다.
1968년 11월 대통령선거에서 공화당의 닉슨이 당선-미국의 베트남 정책은 재평가됨
명예로운 철수를 원함
1969년 6월 8일 닉슨은 남베트남 대통령 티에우를 태평양에 있는 미드웨이섬에서 만나 미군 2만 5천명을 8월 말까지 철수시키고 이어 연말까지 더 감축할 것임을 밝힘
전쟁을 베트남화하는 시발점으로 미군의 감축과 더불어 남베트남 정부군은 더욱 확대되고 더 많은 임무를 부여받게 되는 것. 문제는 사이공정부가 외부의 도움없이 스스로 지킬수 있는가 하는 것
1969년 3월초, 닉슨은 캄보디아에 주둔해 있는 하노이측의 병력과 물자공급로 및 탄약고 등에 대한 폭격을 단행하여 이후 14개월 동안 계속했다.
1970년 3월 중립적이던 시아누크 왕이 쿠데타에 의해 추방되고 친미적인 론 놀장군이 정권을 잡았다. 이에 사이공 정부군과 미군이 국경을 넘어 캄보디아로 진격해 들어감에 따라 전쟁은 확전의 양상을 띠었다.
캄보디아 침입은 미국측에 일시적 성공을 가져다 줌. 하노이 정부가 캄보디아에 주둔중이 군대에 관심을 가지는 동안 미국과 사이공 정부는 1971년 100만명까지 사이공정부군을 재정비하여 뗏 공세이후 쇠약해진 베트콩에 대한 공세를 취했다. 그러나 1971년 티에우의 란 썬 719작전
람 썬 719작전(Operation Lam Son 719)의 목적은 라오스내에 있는 호 찌 민 통로의 주요 거점을 파괴하는 것이었다.
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베트남화는 다시금 의문시되었다.
(4) 파리 평화회담
1972년에 들어서자 닉슨은 1월에 미군 7만명을 추가로 철수시켜 6만 4,500명까지 감축한다고 발표하고 파리회담의 성사에 관심을 가짐
-1968년 파리 예비회담이 실패한 후 1969년부터 닉슨의 안보담당 헨리 키신저와 하노이 정부의 정치국원인 레 득 토는 비밀리에 접촉을 계속해왔다.
-하노이측은 남베트남에서 모든 외국군의 철수 및 민족해방전선을 포함한 남베트남 임시혁명정부의 수립을 요구. 미국은 남베트남 정부군 외의 모든 군대의 철수와 남베트남 문제에 대한 북베트남 정부의 직·간접적인 개입 중단 그리고 독립된 국가로서 남베트남에서의 총선거를 주장
1972년 3월 말 지압 장군은 '부활절 공세'를 감행하여 12만 명의 하노이 정부군이 소련제 탱크와 대포의 지원을 받으며 휴전선을 넘었다. 미군은 곧 공습으로 맞서고 닉슨은 공식적으로 북베트남 폭격의 재개를 지시하고 하이 퐁 항구를 봉쇄하도록 명령했다. 한편 1972년 2월 베이징, 5월에는 소련을 방문하여 외교적으로 긴장을 완화시켜 나가자 미국의 하노이에 대한 공세에 대해 중국과 소련은 형식적인 비난을 하는 데 그쳤다.
1972년 7월 파리 협상이 재개
-오랜 논란 끝에 10월 8일 하노이측 대표인 레 득 토는 처음으로 휴전후 티에우 정부의 존속을 인정했다. 10월 21일 협상 초안이 작성되었으나 이번에는 티에우가 회담내용에 반발하고 나섰다.
-이에 닉슨은 그를 달래기위해 1월 대량의 무기를 사이공정부군에 넘겨주고 또 휴전후 재건을 위한 원조를 약속
-그러자 하노이측이 미국의 티에우 정부에 대한 태도에 불만을 품어 11월 재개된 협상은 12월에 결렬된다
-다시 미국은 '크리스마스 폭격'을 재개하여 하노이측을 회담장으로 끌어내고 1973년 1월 23일 마침내 키신저와 레 득 토는 잠정적인 협정에 합의하고, 1월 27일 미국, 사이공 정부, 하노이 정부, 그리고 남베트남 임시혁명정부
1969년 이후 민족해방전선의 명칭
의 대표가 공식적으로 평화조약에 각각 서명했다.
휴전후에도 전투는 계속
-파리 협정이 경쟁자들간의 경계를 확정짓지 않고 단순히 휴전시의 전투상황만으로 세력권을 규정한데 문제가 있었다.
-1973년 티에우 군대는 휴전 직전 베트콩에 잃었던 상당수의 촌락을 되찾았다.
하노이 정부는 1973년 10월에 개최된 노동당 21차 중앙위원회에서 혁명전쟁을 계속할 것을 천명하고 이듬해 4월, 중앙군사위원회는 전쟁의 확대를 두려워하지 않고 적이 공격하면 적극적으로 공세를 취한다는 방침을 결정
국내외 정세는 사이공정부에 불리
-동맹군의 철수로 사이공 정부군이 공격을 막아낼수 없을 것이라는 불안감이 조성
-동맹군의 철수는 그들의 소비에 적잖게 의존했던 가정경제에 영향을 끼쳐 사회적 불안감을 한층 증가시켰다
-1973년 11월 미국 의회는 미군의 해외파병에 대한 대통령의 권한을 대폭 축소하는 법안을 통과시켜 미국의 재개입은 사실상 불가능해짐
-1974년 워터게이트사건으로 닉슨은 8월 대통령직에서 사임
하노이 정부는 1975년 1월 사이공 정부군에 대한 전면전에 돌입
-제럴드 포드는 의회에 남베트남과 캄보디아에 대한 추가 원조를 요청하지만 거절당함
-사이공 정부 내에서는 반(反) 티에우 세력이 증가
하노이 정부의 남부군 사령관인 반 띠엔 중은 3월초 반 메 투옷에 대한 대대적 공격을 감행. 3월 19일에는 꽝 찌 시(市)가 함락되고, 25일에는 후에마저 무너짐. 3월 29일 남베트남 제2의 도시 다 낭도 함락
'호 찌 민 작전'
-3월 25일 하노이 정치국은 5월 중순 우기가 시작되기 전에 사이공을 함락시키기로 결정
-4월부터 사이공 점령을 위한 마지막이자 최대 공세인 '호 찌 민 작전'이 개시
-티에우는 4월 21일 대통령직을 사임하고 부통령인 쩐 반 흐엉이 물려받음. 흐엉은 북베트남과 협상을 시도하나 실패하고 다시 26일 온건파인 즈엉 반 민에게 대통령직을 위임. 민 역시 협상을 시도하지만 거절당함
-4월 30일 마침내 하노이 군대에 의해 사이공점령
『참 고 문 헌』
1. (새로 쓴)베트남의 역사 유인선
2. 한권으로 읽는 베트남사 오쿠라 사라오
3. 베트남 10,000일간의 전쟁 Micheal Maclear
4. 전쟁과 학살, 부끄러운 미국 홍윤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