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첫째마당
★둘째마당
1. 개인적 요인
(1)John. F. Kennedy
(2)Lyndon Baines Johnson
2. 대내적 요인
1)정치적 요인
2)경제적 요인
3)역사? 문화적 요인
3. 대외적 요인
1)중국의 봉쇄
2)소련의 원폭실험 성공
★셋째마당
★둘째마당
1. 개인적 요인
(1)John. F. Kennedy
(2)Lyndon Baines Johnson
2. 대내적 요인
1)정치적 요인
2)경제적 요인
3)역사? 문화적 요인
3. 대외적 요인
1)중국의 봉쇄
2)소련의 원폭실험 성공
★셋째마당
본문내용
데 미국의 도움에 의존하거나 의존할지 모르는 다른 국가들의 미국에 대한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점점 더 전쟁에 깊이 개입해 들어갔다.
★셋째마당
지금까지 보아 온 요인들로 인해 미국의 베트남전 개입은 필연적인 것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이 베트남전에 참전한 요인들은 많이 있지만 미국을 직접 움직이게 만든 요인은 ‘미국의 패권 유지와 동남아의 공산화 방지’였다. 최고의 자리에 있고 싶고 또한 그 자리를 선뜻 내어주고 싶지 않은 마음은 누구나 같다. 미국은 2차대전이라는 행운으로 인해 세계 패권국의 자리에 앉을 수 있게 되었고 그런 만큼 그것을 유지해야 했다. 유지책은 군사적 강대국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것도 있겠으나 미국의 상징인 민주주의와 자유주의를 고수하고 선전함으로써 세계 여러 나라에게 미국이 평화를 사랑하고 자유와 민주주의를 사랑하는 국가이게끔 보여주는 것이다. 그들이 패권국으로 있고 싶은 속사정을 그것으로 미화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을 실천하는데 있어 중국과 소련의 공산화정책이 걸림돌이 되었고 미국은 베트남전에 참전함으로써 중국과 소련의 팽창정책을 저지하려 하였다. 하지만 모두가 알 듯이 그것은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북베트남군에 비해 월등한 무기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12년 동안 전쟁을 치렀으며 또 그사이 미국 내의 여론이 반전으로 기움으로 인해 베트남전을 수습할 수 있는 닉슨 대통령으로 대체되었던 것이다.
미국인들은 미국 역사에서 처음으로 ‘제국의 충격’을 느꼈다. 얼마 전 미국 테러 사건도 그와 유사한 사건일 것이리라. 베트남에서의 패배로 인해 미국의 신뢰성과 국가 위신은 땅에 떨어지고 적들인 공산주의자들이 유리한 기회를 가졌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들은 ‘베트남 증후군’ 즉, 해외 문제에 개입하는데 대한 불신감이 높아짐에 따라 미국은 그의 힘을 사용하는 데 주저하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닉슨은 과거의 실패를 수습하기 위해 그 동안 미국이 기치로 내걸고 있던 과도한 패권주의를 지양하고, 실제 미국의 힘에 맞게끔 대외 개입을 조정하고 현실적인 세력균형을 적절히 이용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외교가 주는 정치적 부담을 줄이는 ‘조정’을 지향하는 ‘데탕트 정책’을 도입한 것이었다.
※참고문헌
?제임스 E. 도거티, 로버트 L. 팔츠그라프 지음, 이수형 옮김, 「미국 외교정책사」, 한울 아카데미
?정찬위 편역, 「미국 외교정책」
?http://cyber.ewha.ac.kr/~american/culture1/5060/viet.htm
?http://cyber.ewha.ac.kr/~american/lee/chap_11-1.htm#7
?http://cyber.ewha.ac.kr/~american/po-team/1-3-33-a.htm
?http://cyber.ewha.ac.kr/~american/po-team/1-3-33-b.htm
?http://www.kccs.pe.kr/xianch77.htm
?http://cyber.ewha.ac.kr/~american/soeco/린든존슨의 정책.htm
★셋째마당
지금까지 보아 온 요인들로 인해 미국의 베트남전 개입은 필연적인 것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국이 베트남전에 참전한 요인들은 많이 있지만 미국을 직접 움직이게 만든 요인은 ‘미국의 패권 유지와 동남아의 공산화 방지’였다. 최고의 자리에 있고 싶고 또한 그 자리를 선뜻 내어주고 싶지 않은 마음은 누구나 같다. 미국은 2차대전이라는 행운으로 인해 세계 패권국의 자리에 앉을 수 있게 되었고 그런 만큼 그것을 유지해야 했다. 유지책은 군사적 강대국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것도 있겠으나 미국의 상징인 민주주의와 자유주의를 고수하고 선전함으로써 세계 여러 나라에게 미국이 평화를 사랑하고 자유와 민주주의를 사랑하는 국가이게끔 보여주는 것이다. 그들이 패권국으로 있고 싶은 속사정을 그것으로 미화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을 실천하는데 있어 중국과 소련의 공산화정책이 걸림돌이 되었고 미국은 베트남전에 참전함으로써 중국과 소련의 팽창정책을 저지하려 하였다. 하지만 모두가 알 듯이 그것은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북베트남군에 비해 월등한 무기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12년 동안 전쟁을 치렀으며 또 그사이 미국 내의 여론이 반전으로 기움으로 인해 베트남전을 수습할 수 있는 닉슨 대통령으로 대체되었던 것이다.
미국인들은 미국 역사에서 처음으로 ‘제국의 충격’을 느꼈다. 얼마 전 미국 테러 사건도 그와 유사한 사건일 것이리라. 베트남에서의 패배로 인해 미국의 신뢰성과 국가 위신은 땅에 떨어지고 적들인 공산주의자들이 유리한 기회를 가졌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들은 ‘베트남 증후군’ 즉, 해외 문제에 개입하는데 대한 불신감이 높아짐에 따라 미국은 그의 힘을 사용하는 데 주저하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닉슨은 과거의 실패를 수습하기 위해 그 동안 미국이 기치로 내걸고 있던 과도한 패권주의를 지양하고, 실제 미국의 힘에 맞게끔 대외 개입을 조정하고 현실적인 세력균형을 적절히 이용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외교가 주는 정치적 부담을 줄이는 ‘조정’을 지향하는 ‘데탕트 정책’을 도입한 것이었다.
※참고문헌
?제임스 E. 도거티, 로버트 L. 팔츠그라프 지음, 이수형 옮김, 「미국 외교정책사」, 한울 아카데미
?정찬위 편역, 「미국 외교정책」
?http://cyber.ewha.ac.kr/~american/culture1/5060/viet.htm
?http://cyber.ewha.ac.kr/~american/lee/chap_11-1.htm#7
?http://cyber.ewha.ac.kr/~american/po-team/1-3-33-a.htm
?http://cyber.ewha.ac.kr/~american/po-team/1-3-33-b.htm
?http://www.kccs.pe.kr/xianch77.htm
?http://cyber.ewha.ac.kr/~american/soeco/린든존슨의 정책.htm
추천자료
김영삼대통령과 김대중대통령의 리더쉽의 비교
대통령선거와 나 : 진정한 경제대통령을 찾아서
[이승만][이승만대통령][이승만정권][부정선거][북진통일론][4 19혁명]이승만(이승만대통령)...
[권력][미디어][권력과 미디어][농민의 권력][대통령의 권력][북한의 권력체제][농민][대통령...
대통령기록물의 관리 및 공개와 대통령의 정보공개거부특권
대통령덕목과 리더십, 대통령비교
대통령제의 정부형태, 성격, 의회구성과 권한 그리고 대통령제를 선택한 다른국가 유사점과 ...
[2016]최신A+자료][전두환대통령의업적과과오&인물평가][전두환대통령의일대기와리더십][...
리더십(리더쉽)의 개념, 리더십(리더쉽)의 유형, 리더십(리더쉽)의 본질, 이승만 대통령의 리...
민주주의의 개념, 민주주의의 역사, 정치성, 민주주의와 리처드 닉슨 대통령 독트린, 헤리 트...
한국의 역대 대통령의 리더십 유형과 그 특성 (대통령 리더십의 중요성, 역대 한국 대통령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