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이승만대통령][이승만정권][부정선거][북진통일론][4 19혁명]이승만(이승만대통령)의 노선, 북진통일론, 미국과의 갈등과 이승만정권의 부정선거 및 4. 19혁명 분석(이승만, 이승만대통령)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승만][이승만대통령][이승만정권][부정선거][북진통일론][4 19혁명]이승만(이승만대통령)의 노선, 북진통일론, 미국과의 갈등과 이승만정권의 부정선거 및 4. 19혁명 분석(이승만, 이승만대통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이승만

Ⅱ. 이승만 노선의 전개

Ⅲ. 북진통일론(北進統一論)

Ⅳ. 북진통일론과 미국과의 갈등

Ⅴ. 이승만 정권의 부정 선거

Ⅵ. 4․19혁명과 버림받은 오만한 지도자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교수 300여 명이 \'학생들의 피에 보답하라\' 는 피켓을 들고 서울 시내를 행진하며 대통령의 사퇴를 촉구했고, 시위는 재개되었다.
미국도 사태를 수습하려면 이승만의 하야가 절대적이라고 권고하였고 결국 4월 26일 이승만은 3대 대통령의 임기도 다 마치지 못한 채 하야 성명을 발표하고 1960년 5월 29일, 세상물정과 국민정서를 외면한 채, 몰염치한 말을 남기고 이화장으로 갔다가 허정의 호위 하에 다시 하와이로 은밀히 떠났다.
“나는 항상 국민을 존경한다. 국민이 원한다면 대통령 자리를 물러나겠다.”
이승만이 하야하기 며칠 전에 외무부장관으로 임명된 허정이 수석 국무위원이 되어 과도정부를 조직했다. 허정은 이승만이 임명한 사람인만큼 그의 과도정부는 이승만정부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따라서 부정선거 관련자와 부정축재자 처벌 등 혁명의 뒷마무리를 제대로 할 수 없었다. 다만 내각책임제로 헌법을 개정하고 7월 29일에는 국회의원 선거를 실시하여 새 정부 구성의 발판을 마련했다. 한편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이 압승하여 윤보선을 대통령, 장면을 국무총리로 하는 장면내각이 들어섰다.
1965년 7월 19일, 그는 하와이 미육군 병원에서 고국을 그리며 유명을 달리 하였으니, 국민에게 버림받은 애국자이며 독재자의 최후는 쓸쓸하기만 한 것이었다.
이승만은 오랜 미국 생활에서 시민민주주의를 터득했으면서도 민주주의의 기초를 다지는 데는 자기 희생이라는 진리를 외면함으로써 실패하였다. 그는 국민의 신망과 탁월한 정치적 식견에 부합된 민주주의 원칙에 충실하여 정권 교체의 정도를 굳히고 정당 정치의 기반을 잡아 두었더라면, 오늘 우리의 정치 현실은 매우 달라졌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공과가 상반된 굴절된 지도자로 역사에 남게 되었다.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 자료 대한민국사
도진순(2001) / 분단의 내일 통일의 역사 / 당대
브루스 커밍스·김자동역(1986) / 한국전쟁의 기원上 / 청사
역사학연구소(2000) / 강좌 한국근현대사 / 풀빛
서중석 / 한국현대민족연구 / 역사비평사
유영익(2000) / 이승만 연구 / 연세대학교 출판부
안철현(1994) / 이승만체제의 권력기반과 성격 / 한국정치학회 / 한국정치학보
양동안(2001) / 대한민국 건국사 / 현음사 /
정병준(2005) / 우남 이승만 연구 / 역사비평사
정용욱(1996) / 1942~47년 미국의 대한정책과 과도정부형태론구상 / 서울대박사논문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5.2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0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