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공화국별
헌법 개정사, 주요내용
대통령
주요사건
헌법 개정사, 주요내용
대통령
주요사건
본문내용
0.9~’81.2)
-
12대 : 전두환
(‘81.2~’88.2)
- ‘83. 9. 1 : 소련전투기 KAL기 폭파
- ’83.10. 9 : 버마 아웅산 폭파사건
- ‘87. 4. 3 : 413 호헌조치(개헌 논의를 금지하는 조치)
- ’87. 6.10 : 6월 민주항쟁
- ‘87. 6.29 : 노태우 629선언
( 1.대통령 직선제 개헌, 2.정치범 전면적 사면과 복권,
3. 언론의 자유 보장, 4. 대학의 자율화 등)
제6공화국
□ 헌법
9차 개헌 (‘87.10.29)
- 언론출판의 허가검열 금지조항 부활
- 국정감사권 부활
- 국군의 정치적 중립성 최초 규정
- 국가의 평화통일정책 수립시행 의무 규정
- 국가의 의무규정(재외국민보호, 여자의 복지와 권익향상, 노인과 청소년의 복지향상을 위한 정책실시, 재해예방 의무와 재해 위험으로부터 국민 보호, 국민의 쾌적한 주거생활을 위한 주택개발 정책등의 실시, 모성 보호, 구속시 가족에 대한 고지의무) 신설
- 형사피해자의 공판정 진술권, 법률과 적법절차, 법죄피해자 구조청구권 신설
- 국회의 권한 강화
- 국회 : 국무총리와 국무위원에 대한 해임 건의권
- 대통령 : 직선제(임기5년, 중임불가)
- 대통령의 국회 해산권 철폐
- 헌법위원회 페지, 헌법재판소 설치(부활) 및 권한 확대
* 헌법소원제도,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간의 권한쟁의와 지방자치단체간 권한쟁의조정권 신설
- 대학의 자율성 규정
- 최저임금제 신설
- 구속적부심사제 및 형사보상권 범위 확대
- 국민경제자문위원회 신설
□ 대통령 및 주요 사건
대통령
주 요 사 건
13대:노태우
(‘88.2~’93.2)
-- ‘88. 7. 7 : 납북 77 공동성명
- ‘88. 9.17 ~ 10.2 : 24회 서울 올림픽 개최
- ’91. 9.17 : 남북한 UN 동시 가입
- ‘92. 2.19 : 납북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발표
14대:김영삼
(‘93.2~’98.2)
- ‘93. 3.12 : 북한 NPT(핵 확산 금지조약) 탈퇴 선언
- ‘93. 8.12 : 금융실명제 실시
- ‘94. 7. 8 : 김일성 사망
- ‘94.10.21 : 성수대교 붕괴 참사
- ’94.12 1 : 평시 작전통제권 환수
- ‘95 .6.29 :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
- ‘96.10.25 : OECD 가입형정 서명
- ‘97.11.21 : IMF에 구제금융 신청
대통령
주 요 사 건
15대 : 김대중
(‘98.2~’03.2)
- ‘99. 6.15 : 제1연평해전
- ‘00. 6.15 : 납북 정상회담(김대중-김정일/615 남북공동선언)
- ‘00. 8.15 ~ 8.18 : 제1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
- ‘00.12.10 : 김대중 대통령 노벨 평화상 수상
- ‘02. 5.31 ~ 6. 30 : 월드컵 개최
- ‘02. 6.29 : 제2연평해전
- ‘03. 2.18 : 대구지하철화재 참사
16대 : 노무현
(‘03.2~’08.2)
- ‘03. 6.30 : 개성공단 착공
- ‘04. 3.12 :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5.14.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심판 기각)
- ‘05. 3. 2 : 행정도시특별법 가결
- ‘06. 3.20 : 서울대학교, 줄기세포 논란관련 황우석 교수 파면
- ‘07.10. 4 : 남북정상회담(노무현-김정일/104 남북 공동성명)
17대:이명박
(‘08.2~’13.2)
- ‘09. 5.23 : 노무현 前 대통령 서거
- ‘10.11.23 : 연평도 포격사건
- ‘11.12.17 : 김정일 사망
18대:박근혜
(‘13.2~
- ‘13. 5. 3 : 개성공단 근로자 철수
- ‘13. 8.14 : 개성공단 재가동
- ‘13.12.12 : 북한 장성택 처형
-
12대 : 전두환
(‘81.2~’88.2)
- ‘83. 9. 1 : 소련전투기 KAL기 폭파
- ’83.10. 9 : 버마 아웅산 폭파사건
- ‘87. 4. 3 : 413 호헌조치(개헌 논의를 금지하는 조치)
- ’87. 6.10 : 6월 민주항쟁
- ‘87. 6.29 : 노태우 629선언
( 1.대통령 직선제 개헌, 2.정치범 전면적 사면과 복권,
3. 언론의 자유 보장, 4. 대학의 자율화 등)
제6공화국
□ 헌법
9차 개헌 (‘87.10.29)
- 언론출판의 허가검열 금지조항 부활
- 국정감사권 부활
- 국군의 정치적 중립성 최초 규정
- 국가의 평화통일정책 수립시행 의무 규정
- 국가의 의무규정(재외국민보호, 여자의 복지와 권익향상, 노인과 청소년의 복지향상을 위한 정책실시, 재해예방 의무와 재해 위험으로부터 국민 보호, 국민의 쾌적한 주거생활을 위한 주택개발 정책등의 실시, 모성 보호, 구속시 가족에 대한 고지의무) 신설
- 형사피해자의 공판정 진술권, 법률과 적법절차, 법죄피해자 구조청구권 신설
- 국회의 권한 강화
- 국회 : 국무총리와 국무위원에 대한 해임 건의권
- 대통령 : 직선제(임기5년, 중임불가)
- 대통령의 국회 해산권 철폐
- 헌법위원회 페지, 헌법재판소 설치(부활) 및 권한 확대
* 헌법소원제도,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간의 권한쟁의와 지방자치단체간 권한쟁의조정권 신설
- 대학의 자율성 규정
- 최저임금제 신설
- 구속적부심사제 및 형사보상권 범위 확대
- 국민경제자문위원회 신설
□ 대통령 및 주요 사건
대통령
주 요 사 건
13대:노태우
(‘88.2~’93.2)
-- ‘88. 7. 7 : 납북 77 공동성명
- ‘88. 9.17 ~ 10.2 : 24회 서울 올림픽 개최
- ’91. 9.17 : 남북한 UN 동시 가입
- ‘92. 2.19 : 납북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발표
14대:김영삼
(‘93.2~’98.2)
- ‘93. 3.12 : 북한 NPT(핵 확산 금지조약) 탈퇴 선언
- ‘93. 8.12 : 금융실명제 실시
- ‘94. 7. 8 : 김일성 사망
- ‘94.10.21 : 성수대교 붕괴 참사
- ’94.12 1 : 평시 작전통제권 환수
- ‘95 .6.29 :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
- ‘96.10.25 : OECD 가입형정 서명
- ‘97.11.21 : IMF에 구제금융 신청
대통령
주 요 사 건
15대 : 김대중
(‘98.2~’03.2)
- ‘99. 6.15 : 제1연평해전
- ‘00. 6.15 : 납북 정상회담(김대중-김정일/615 남북공동선언)
- ‘00. 8.15 ~ 8.18 : 제1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
- ‘00.12.10 : 김대중 대통령 노벨 평화상 수상
- ‘02. 5.31 ~ 6. 30 : 월드컵 개최
- ‘02. 6.29 : 제2연평해전
- ‘03. 2.18 : 대구지하철화재 참사
16대 : 노무현
(‘03.2~’08.2)
- ‘03. 6.30 : 개성공단 착공
- ‘04. 3.12 :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5.14. 헌법재판소에서 탄핵심판 기각)
- ‘05. 3. 2 : 행정도시특별법 가결
- ‘06. 3.20 : 서울대학교, 줄기세포 논란관련 황우석 교수 파면
- ‘07.10. 4 : 남북정상회담(노무현-김정일/104 남북 공동성명)
17대:이명박
(‘08.2~’13.2)
- ‘09. 5.23 : 노무현 前 대통령 서거
- ‘10.11.23 : 연평도 포격사건
- ‘11.12.17 : 김정일 사망
18대:박근혜
(‘13.2~
- ‘13. 5. 3 : 개성공단 근로자 철수
- ‘13. 8.14 : 개성공단 재가동
- ‘13.12.12 : 북한 장성택 처형
추천자료
[판례 연구] 청소년대상 성범죄자의 신상공개 사건 판례
주요국의 FTA추진전략과 그에 따른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천안한 사태] 천안함 침몰 사건과 담화문 발표 이후의 남북 관계
[천안함 사태]천안함 사태 완벽정리 및 합조단의 사건발표를 바라보는 신뢰와 부정입장 정리,...
[한국근현대사]한국근현대사와 운요호사건, 강화도조약, 한국근현대사와 임오군란, 개항기, ...
[이란-콘트라 스캔들] 이란-콘트라 사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미국 분석 레포트
[국제 분쟁 사례] EC-호르몬사건 보고서 : US, Canada vs. EC Hormone Case - PPT자료
중국의 이해 - 천안문 사건으로 보는 중국의 이해
[분쟁사례] EC-Measures Concerning Meat and Meat Products (EC-호르몬사건)
[법학개론] 언론·출판의 자유(표현의 자유) - 언론과 출판의 자유의 내용,허가나 검열의 명시...
사회권적 기본권의 법적 성격이 현재 우리나라 사회복지법 실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세월호 ...
(소비자법 공통) 가습기살균제 피해사건에 있어 소비자의 권리와 권리보장을 위한 법제방안(...
(소비자법 공통) 가습기살균제 피해사건에 있어 소비자의 권리와 권리보장을 위한 법제방안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