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사이버 문학의 개념
3. 사이버 문학의 전개 및 특성
4. 인터넷 소설 「그놈은 멋있었다」
4.1. 내용적 특징
4.2. 형식적 특징
5. 귀여니류 소설의 청소년 소설로서의 가능성
2. 사이버 문학의 개념
3. 사이버 문학의 전개 및 특성
4. 인터넷 소설 「그놈은 멋있었다」
4.1. 내용적 특징
4.2. 형식적 특징
5. 귀여니류 소설의 청소년 소설로서의 가능성
본문내용
터넷 소설을 바라봐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면서 인터넷 소설이 기존 문학과는 전혀 다른 장르임을 강조한다. 또한 '청소년들 사이에서 공감대를 불러일으키고 내용이 재미있으면 그만이지, 굳이 기존 문학 장르와 비교할 이유가 없다'고 말한다. 이에 반해 인터넷 소설의 안티 네티즌들은 '인터넷 소설은 특별한 노력을 들이지 않아도 누구나 쓸 수 있는 얘기'라고 폄하하면서 '소설로 불릴 가치가 없는 10대들의 팬터치에 상업주의가 결부한 현상'이며 '귀여니 소설은 단순히 사춘기 소녀의 환상일 뿐 문학적 깊이는 없으며 잦은 이모티콘과 통신어의 남발로 언어 파괴를 조장하고 있다'라고 비판한다.
우리는 지금까지의 강의에서 청소년문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해 왔다. 청소년문학은 그것을 받아들이는 주체인 청소년들이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어야 하며, 현실에서 그들의 삶과 고민, 갈등이 담겨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읽기 쉽고, 재미있다고 그것만 읽게 내버려 두는 것은 교육적 차원이라고 할 수 없다. 교육은 미성숙자를 대상으로 하여 좀더 나은 단계로 끌어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귀여니류의 인터넷 소설은 진정한 청소년문학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귀여니류의 인터넷 소설에는 기존의 장르와는 다른 인터넷 소설의 경박함과 소재주의가 여실히 드러나며 이는 성장기의 청소년들에게 잘못된 고정관념이나 사고방식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 또한 10대들에게 문학이 이제 더 이상 삶을 진지하게 바라보게 해주지도, 자기를 돌아보게 하는 성찰의 시간을 제공해 주지도 못하고 단지 재미라는 말초적 감각만을 충족시켜주는 문화상품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분명 귀여니류의 인터넷 소설은 사이버 문학으로서의 긍정성을 갖고 있다. 인터넷에서 10대들은 문학의 수동적인 독자에서 능동적인 독자로, 그리고 창작의 주체로 나아갔으며, 인터넷 소설은 인터넷이라는 창작의 현장에서 쓰는 이와 읽는 이가 상호소통하면서 만들어지는 새로운 문학 유형의 실험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청소년들의 글쓰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줄이고 '나도 글을 쓸 수 있다'는 자신감을 안겨주기도 한다.
이처럼 문학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통신체, 이모티콘, 구어체, 독자와 계속 대화하는 화자 등 인터넷 소설의 요소들이 소설에 새로운 자극을 주고 있고, 이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귀여니류의 인터넷 소설들이 10대 소녀들을 위한 하위 장르로 자리잡고 있는 것은 기정 사실로 보여진다. 인터넷 소설의 천박함에 대한 비난과 새로운 감수성에 대한 찬양이라는 틀에 박힌 양쪽 길을 벗어나, 인터넷 소설이 우리 사회의 어떤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지, 어떤 위험과 가능성을 안고 있는지 관심을 갖고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參考文獻
1. 귀여니, 「그놈은 멋있었다」, 황매, 2003
2. 민족문학작가회의 정보문화센터 편, 『문학, 인터넷을 만나다』, 북하우스, 2003
3. 박인기, 「사이버 문학과 문학교육」, 〈문학과 교육〉봄호, 2001
4. 송경아, 「소녀들의 감수성, 시장으로 진출하다」, <당대비평> 23, 2003
5. 이용욱, 『사이버문학의 도전』, 토마토, 1996
6. 최병우 외, 『다매체문화와 사이버 소설』, 푸른 사상, 2002
7. 최병우, 『다매체 시대의 한국문학 연구』, 푸른 사상, 2003
8. 귀여니 홈페이지 www.guiyeoni.com
9. 귀여니 안티카페 cafe.daum.net/crazycafeda
10. 이용욱 교수의 홈페이지 www.cyberism.com
우리는 지금까지의 강의에서 청소년문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해 왔다. 청소년문학은 그것을 받아들이는 주체인 청소년들이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어야 하며, 현실에서 그들의 삶과 고민, 갈등이 담겨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읽기 쉽고, 재미있다고 그것만 읽게 내버려 두는 것은 교육적 차원이라고 할 수 없다. 교육은 미성숙자를 대상으로 하여 좀더 나은 단계로 끌어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귀여니류의 인터넷 소설은 진정한 청소년문학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귀여니류의 인터넷 소설에는 기존의 장르와는 다른 인터넷 소설의 경박함과 소재주의가 여실히 드러나며 이는 성장기의 청소년들에게 잘못된 고정관념이나 사고방식을 심어줄 우려가 있다. 또한 10대들에게 문학이 이제 더 이상 삶을 진지하게 바라보게 해주지도, 자기를 돌아보게 하는 성찰의 시간을 제공해 주지도 못하고 단지 재미라는 말초적 감각만을 충족시켜주는 문화상품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분명 귀여니류의 인터넷 소설은 사이버 문학으로서의 긍정성을 갖고 있다. 인터넷에서 10대들은 문학의 수동적인 독자에서 능동적인 독자로, 그리고 창작의 주체로 나아갔으며, 인터넷 소설은 인터넷이라는 창작의 현장에서 쓰는 이와 읽는 이가 상호소통하면서 만들어지는 새로운 문학 유형의 실험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청소년들의 글쓰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줄이고 '나도 글을 쓸 수 있다'는 자신감을 안겨주기도 한다.
이처럼 문학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은 급변하고 있다. 통신체, 이모티콘, 구어체, 독자와 계속 대화하는 화자 등 인터넷 소설의 요소들이 소설에 새로운 자극을 주고 있고, 이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귀여니류의 인터넷 소설들이 10대 소녀들을 위한 하위 장르로 자리잡고 있는 것은 기정 사실로 보여진다. 인터넷 소설의 천박함에 대한 비난과 새로운 감수성에 대한 찬양이라는 틀에 박힌 양쪽 길을 벗어나, 인터넷 소설이 우리 사회의 어떤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지, 어떤 위험과 가능성을 안고 있는지 관심을 갖고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參考文獻
1. 귀여니, 「그놈은 멋있었다」, 황매, 2003
2. 민족문학작가회의 정보문화센터 편, 『문학, 인터넷을 만나다』, 북하우스, 2003
3. 박인기, 「사이버 문학과 문학교육」, 〈문학과 교육〉봄호, 2001
4. 송경아, 「소녀들의 감수성, 시장으로 진출하다」, <당대비평> 23, 2003
5. 이용욱, 『사이버문학의 도전』, 토마토, 1996
6. 최병우 외, 『다매체문화와 사이버 소설』, 푸른 사상, 2002
7. 최병우, 『다매체 시대의 한국문학 연구』, 푸른 사상, 2003
8. 귀여니 홈페이지 www.guiyeoni.com
9. 귀여니 안티카페 cafe.daum.net/crazycafeda
10. 이용욱 교수의 홈페이지 www.cyberism.com
추천자료
[청소년 인터넷문화]][인터넷중독][음란물접촉][인터넷문화][청소년 인터넷사용][음란물][야...
[청소년 인터넷중독][인터넷중독][청소년 인터넷문화][인터넷사용][인터넷]청소년의 인터넷 ...
인터넷 보급 및 확산이 창작소설 출판시장에 미친 영향
미디어 IT 인터넷과 청소년
[게임중독] 청소년 인터넷게임중독의 실태와 예방 및 해결방안-게임중독치료, 게임중독대책-
[소설][단편소설][장편소설][영웅소설]소설과 단편소설, 소설과 장편소설, 소설과 영웅소설, ...
구매자(소비자)와 강박구매자, 아동구매자, 구매자(소비자)와 청소년구매자, 대학생구매자, ...
[정신건강, 불교, 피로, 성역할]정신건강과 불교, 정신건강과 피로, 정신건강과 인터넷중독, ...
미디어 교육을 통한 청소년들의 미디어 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 - 인터넷을 중심으로 -
[사회문제] 청소년 중독(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에 관해서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문제점과 대책 {인터넷 중독의 정의와 특징, 청소년시기와 인터넷 중독...
소설미디어서비스(SNS)를 통한 인터넷 마케팅에 관하여 알아보자
청소년 중독 중 약물중독과 인터넷 중독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각각의 예방방법에 대...
[청소년 중독 중 약물중독과 인터넷 중독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각각의 예방방법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