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의 물음은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2. 세계의미의 열쇠 - 현존재
3. 세계-내-존재
3-1. 내-존재
3-2. 더불어 있음과 빠져있음
3-3. 주위세계 - 도구
4. 세계 형성
4-1. 동물의 세계빈곤으로 있음과 돌의 세계 없이 있음
4-2. 인간의 세계를 형성하며 있음
5. 하늘-사람-땅의 관계맺음으로서의 세계
2. 세계의미의 열쇠 - 현존재
3. 세계-내-존재
3-1. 내-존재
3-2. 더불어 있음과 빠져있음
3-3. 주위세계 - 도구
4. 세계 형성
4-1. 동물의 세계빈곤으로 있음과 돌의 세계 없이 있음
4-2. 인간의 세계를 형성하며 있음
5. 하늘-사람-땅의 관계맺음으로서의 세계
본문내용
해체시켜 놓았으며, 어찌보면 혼란스럽게 하였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세계'를 애초부터 개념으로 파악하려고 하지도 않았으며, 세계를 해체해 세계를 들여다보고자 했다. 그렇다면 우리는 '세계'에 어떤 개념을 제공해 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물음의 길을 제공해 주어야 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세계 의미 물음'으로 길을 잡았으며, 그 길은 각기 그때마다의 우리의 세계가 우리의 물음이 닿아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 현재 우리가 이고 있는 하늘과 발붙이고 있는 땅과 우리 자신, 인간, 현존재의 모습을 반성해야 하는 것이 우리의 남은 과제가 될 것이다.
하이데거가 <<진리의 본질>>
) M.Heidegger, Vom Wesen der Wahrheit, (Frankfurt a.M. 1988).
에서 동굴의 비유로 암시하고 있음이 그것이다. 동굴 안의 사람들이 동굴 밖의 빛에 의해 형성된 그림자만을 보고, 그 그림자를 있게 하는 빛을 알지 못할 때, 그리고 그 그림자를 있게 하는 그것을 보지 못할 때, 빛을 알았던, 그림자를 있게 하는 바로 그것을 보았던 선각자는 동굴 밖의 빛에 대해 동굴안 사람들에게 목숨을 걸고 알려준다. 동굴안 사람들에게 세계는 그림자의 세계라면 그 선각자에게서의 세계는 빛의 세계인 것이다. 우리가 지금 여기서 세계의 의미를 새로이 묻는 것은 세계를 빛의 세계에서 우리의 세계를 열어 밝혀야 하기 때문이다. 이데올로기나 자본의 눈에 의한, 혹은 기계의 눈에 의한 세계가 아니라 세계를 비추이는 그 빛에 의해, 오히려 빛나고 있는 그 세계를 빛나고 있는 데로 보기 위한 것이다.
이제 우리의 숙제는 세계를 빛 가운데 자리 매김하는 데 있다. 자리 매김한다는 것은 세계를 형성한다는 것의 또 다른 말이다. 따라서 우리는 세계를 빛 가운데 드러나도록 형성해야 한다. 그것은 우리의 존재가능을 그 빛에 따라 내던지는 것이다.y
참 고 문 헌
1. 하이데거의 글
Sein und Zeit, (Frankfurt a.M., 1975). 이기상 옮김, <<존재와 시간>>, (까치, 1998).
Die Grundproblems der Phanomenologie, (Frankfurt a.M. 1975). 이기상 옮김, <<현상학의 근본문제들>>, (문예출판사, 1994).
Die Grundbegriffe der Metaphysik(현상학의 근본개념들), (Frankfurt a.M. 1983).
Die Zeit der Weltbildes, Holzwege(숲길), (Frankfurt a,M. 1977). 최상욱 옮김, <<세 계상의 시대>>, (서광사, 1995).
Was ist Metaphysik?, (Frankfurt a.M., 1969), 이기상 옮김,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서광사, 1994).
Einfuhrung in die Metaphysik, (Frankfurt a.M., 1983). 박휘근 옮김, <<형이상학 입문>>, (문예출판사, 1994).
Vom Wesen des Warheit, Wegmarken(진리의 본질에 관하여), (Frankfurt a.M. 1929).
2. 다른 저자의 글
2-1. 외국 저자의 글
F.A. Elliston, Heidegger's Existential Analytic, (Mouton Publishers, 1978).
M. Gelven, <<존재와 시간 입문서>>, 김성룡 옮김, (시간과 공간사, 1991).
J. Hirschberger, Geschichte der Philosophie: Neuzeit und Gegenwart, 강성위 옮김, <<서양철학사 下>>, (이문출판사, 1991).
Erwin Hufnagel, Einfuhrung in die Hermeneutik, (W. Kohlhammer, 1976). 강학순 옮김, <<해석학의 이해>>, (서광사, 1994).
I. Kant, Kritik der reinen Vernunft, (Frix Meiner Verlag, 1956). 최재희 옮김, <<순수이성비판>>, (박영사, 1990).
J.J. Kockelmans, Heidegger's "Being and Time", (America University Press, 1989).
O. F. 볼노오, <<인식의 해석학; 인식의 철학I>>, 백승균 옮김, (서광사, 1993).
쾨스터스, <칸트>, 황경선 옮김, <<인문학 연구 제 2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1997).
페겔러, <<하이데거 사유의 길>>, 이기상, 이말숙 옮김, (문예출판사, 1993).
2-2. 국내 저자의 글
권의섭, <하이데거의 일상성 분석의 존재론적 의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 1991).
김종욱, <하이데거의 데카르트 해석의 의도>, <<철학 제 39집>>, (철학연구회 1993).
유제기,, (서울대학교, 석사, 1986).
이기상, <<하이데거의 실존과 언어>>, (문예출판사, 1991).
이기상, <<하이데거의 존재와 현상>>, (문예출판사, 1992).
이기상, <<하이데거 철학에의 안내>>, (서광사, 1993).
이기상, 구연상, <<존재와 시간 용어 해설>>, (까치, 1998).
이기상, <새로운 보편 문화논리의 모색 - 해석학, 화용론 그리고 사건론>, <<인문학연구 제 1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6).
이기상, <형이상학에 대한 현대적 접근, 하이데거의 존재사건학 - 형이상에 대한 동서양의 철학적 접근>,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이병철, <하이데거의 해석학과 세계-내-존재>, (고려대학교, 석사, 1990).
최신한, <칸트의 연역에서 헤겔의 서술에로>, <<철학 제 42집>>, (한국철학회, 1994, 가을).
최재희, <<칸트의 생애와 철학>>, (명문당, 1990)
하석룡,, (고려대학교, 석사, 1988).
한자경,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존재이해>, 계명대 철학연구소, <<해석학과 현대철학>>, (철학과 현실사, 1996).
하이데거가 <<진리의 본질>>
) M.Heidegger, Vom Wesen der Wahrheit, (Frankfurt a.M. 1988).
에서 동굴의 비유로 암시하고 있음이 그것이다. 동굴 안의 사람들이 동굴 밖의 빛에 의해 형성된 그림자만을 보고, 그 그림자를 있게 하는 빛을 알지 못할 때, 그리고 그 그림자를 있게 하는 그것을 보지 못할 때, 빛을 알았던, 그림자를 있게 하는 바로 그것을 보았던 선각자는 동굴 밖의 빛에 대해 동굴안 사람들에게 목숨을 걸고 알려준다. 동굴안 사람들에게 세계는 그림자의 세계라면 그 선각자에게서의 세계는 빛의 세계인 것이다. 우리가 지금 여기서 세계의 의미를 새로이 묻는 것은 세계를 빛의 세계에서 우리의 세계를 열어 밝혀야 하기 때문이다. 이데올로기나 자본의 눈에 의한, 혹은 기계의 눈에 의한 세계가 아니라 세계를 비추이는 그 빛에 의해, 오히려 빛나고 있는 그 세계를 빛나고 있는 데로 보기 위한 것이다.
이제 우리의 숙제는 세계를 빛 가운데 자리 매김하는 데 있다. 자리 매김한다는 것은 세계를 형성한다는 것의 또 다른 말이다. 따라서 우리는 세계를 빛 가운데 드러나도록 형성해야 한다. 그것은 우리의 존재가능을 그 빛에 따라 내던지는 것이다.y
참 고 문 헌
1. 하이데거의 글
Sein und Zeit, (Frankfurt a.M., 1975). 이기상 옮김, <<존재와 시간>>, (까치, 1998).
Die Grundproblems der Phanomenologie, (Frankfurt a.M. 1975). 이기상 옮김, <<현상학의 근본문제들>>, (문예출판사, 1994).
Die Grundbegriffe der Metaphysik(현상학의 근본개념들), (Frankfurt a.M. 1983).
Die Zeit der Weltbildes, Holzwege(숲길), (Frankfurt a,M. 1977). 최상욱 옮김, <<세 계상의 시대>>, (서광사, 1995).
Was ist Metaphysik?, (Frankfurt a.M., 1969), 이기상 옮김,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서광사, 1994).
Einfuhrung in die Metaphysik, (Frankfurt a.M., 1983). 박휘근 옮김, <<형이상학 입문>>, (문예출판사, 1994).
Vom Wesen des Warheit, Wegmarken(진리의 본질에 관하여), (Frankfurt a.M. 1929).
2. 다른 저자의 글
2-1. 외국 저자의 글
F.A. Elliston, Heidegger's Existential Analytic, (Mouton Publishers, 1978).
M. Gelven, <<존재와 시간 입문서>>, 김성룡 옮김, (시간과 공간사, 1991).
J. Hirschberger, Geschichte der Philosophie: Neuzeit und Gegenwart, 강성위 옮김, <<서양철학사 下>>, (이문출판사, 1991).
Erwin Hufnagel, Einfuhrung in die Hermeneutik, (W. Kohlhammer, 1976). 강학순 옮김, <<해석학의 이해>>, (서광사, 1994).
I. Kant, Kritik der reinen Vernunft, (Frix Meiner Verlag, 1956). 최재희 옮김, <<순수이성비판>>, (박영사, 1990).
J.J. Kockelmans, Heidegger's "Being and Time", (America University Press, 1989).
O. F. 볼노오, <<인식의 해석학; 인식의 철학I>>, 백승균 옮김, (서광사, 1993).
쾨스터스, <칸트>, 황경선 옮김, <<인문학 연구 제 2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 1997).
페겔러, <<하이데거 사유의 길>>, 이기상, 이말숙 옮김, (문예출판사, 1993).
2-2. 국내 저자의 글
권의섭, <하이데거의 일상성 분석의 존재론적 의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 1991).
김종욱, <하이데거의 데카르트 해석의 의도>, <<철학 제 39집>>, (철학연구회 1993).
유제기,
이기상, <<하이데거의 실존과 언어>>, (문예출판사, 1991).
이기상, <<하이데거의 존재와 현상>>, (문예출판사, 1992).
이기상, <<하이데거 철학에의 안내>>, (서광사, 1993).
이기상, 구연상, <<존재와 시간 용어 해설>>, (까치, 1998).
이기상, <새로운 보편 문화논리의 모색 - 해석학, 화용론 그리고 사건론>, <<인문학연구 제 1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6).
이기상, <형이상학에 대한 현대적 접근, 하이데거의 존재사건학 - 형이상에 대한 동서양의 철학적 접근>,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이병철, <하이데거의 해석학과 세계-내-존재>, (고려대학교, 석사, 1990).
최신한, <칸트의 연역에서 헤겔의 서술에로>, <<철학 제 42집>>, (한국철학회, 1994, 가을).
최재희, <<칸트의 생애와 철학>>, (명문당, 1990)
하석룡,
한자경,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존재이해>, 계명대 철학연구소, <<해석학과 현대철학>>, (철학과 현실사,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