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의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Ⅱ-1. 예술이라는 말의 뜻

Ⅱ-2. 예술의 본질

Ⅱ-3. 예술적 태도

Ⅲ. 예술과 윤리

Ⅳ. 예술의 도덕성

Ⅴ. 인생에서의 예술

Ⅵ. 참고사설 '외설'의 기준

본문내용

따라 정반대의 의견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음란의 기준은 시대 상황에 따라 변하게 마련이다.
이 점에서 외설문제를 판단하는 사법부와 검찰의 고충을 충분히 헤아릴 수 있다. 성의 개방화 추세 등 사회 변화를 수용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공중도덕과 사회 윤리를 보호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음란물과 관련해 법원과 검찰이 내린 '결론'은 국민을 매우 혼란스럽게 만든다. 엊그제 서울지법은 만화 '천국의 신화'에 대해 음란성을 인정하는 판결을 내렸다. 이는 얼마 전 검찰이 외설 시비에 휘말려온 영화 '거짓말'을 무혐의 처리한 것과 상반되는 판결이다.
두 작품의 음란성 여부는 문화계 안팎의 핫 이슈였다. 결과적으로 같은 시기에 한 작품에 대해서는 엄중한 문책이, 다른 작품에는 관대한 처분이 내려 진 것이다.
물론 두 작품은 장르와 성격이 다르다. 하나는 청소년용 만화이고, 다른 하나는 성인영화다. 그러나 외설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무혐의 처분이 내려진 '거짓말'의 경우도 비판 여론이 만만치 않았다. 영화를 접한 상당수가 '외설'이라는 반응을 보였고 심지어 유엔에서도 '아동 포르노'라고 규정했다.
혼란스러운 것은 이뿐만이 아니다. 성인 비디오를 예로 든다면 도대체 외설인지 예술인지 구분하기 힘든 것들이 많다. 노골적으로 외설을 겨냥해 제작된 것도 있다. 이런 것들이 어떻게 영상물 등급 위원회를 통과할 수 있었는지 의문스러울 정도다. 국내법은 분명 포르노를 금지하고 있다.
성에 대한 인식이 바뀐 만큼 일반인들이 예술 속의 성(性) 표현을 수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졌으며 그에 따라 외설에 대한 기준이 달라지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문제는 그 틈을 헤치고 '예술'을 가장한 음란물들이 곳곳에서 활개를 치고 있다는 점이다.
이번 법원과 검찰의 엇갈린 결정은 이 같은 혼돈상을 반영하는 측면이 있다. 법의 잣대가 들쭉날쭉해질 정도로 사회적 기준이 크게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이를 바로잡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지만 우선 사회적 합의를 통해 현 시점에 맞는 음란물의 잣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선진국처럼 대규모 여론 조사를 통해 시민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외설의 한계가 어디까지인지 구체화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영상물 등급 위원회 같은 등급 결정 기구들도 일관성 있는 판단을 내려야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한 등급외 영화관 설치 문제도 다시 추진 돼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7.30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2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