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기
2.예술이란 무엇인가?
3.올드보이는 예술인가?
4.올드보이는 좋은 영화인가?
5.결론
6.참고자료
2.예술이란 무엇인가?
3.올드보이는 예술인가?
4.올드보이는 좋은 영화인가?
5.결론
6.참고자료
본문내용
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영화의 특성상 한 인물의 과거, 현제를 이런 편집 없이 보여줄 수는 없고, 또한 바쟁의 이론은 오늘날 영화와는 어울리지 않는다. 올드보이에서 편집은 시간의 흐름을 잘 배열해 주고 있다. 처음 일상부분의 오대수와 강금후 오대수의 모습은 편집을 통해 시간의 흐름과 성격의 변화를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오대수와 이우진의 학창시절 회상부분이 적절한 편집을 통해 영화의 흐름상 꼭 필요한 부분에 들어갔다. 마지막 장면에서 눈 속의 오대수 모습은 흰머리가 보이는 중후반의 모습이다. 이런 편집을 통해 관객은 최면을 걸러 간 이후 시간이 상당히 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서사적 측면
이 영화가 좋은 평가를 받는 가장 큰 이유는 탄탄한 스토리 구조 때문이다. 누구나 쉽게 생각 하듯 왜 강금을 했느냐가 아니라 왜 강금에서 풀어줬는가를 문제 삼는 내용, 이우진의 잔인하고 치밀한 복수 계획, 근친상간이라는 파격적인 반전은 이 영화를 좋은 영화라고 칭찬할 만한 스토리이다.
위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이 영화를 평가 해 보면 우선 영화적 요소는 보다시피 완전하게 짜여 있다. 이 밖에 생각해 봐야할 중요한 요소가 바로 감독이 전하고자 하는 이면적인 내용이다.
올드보이는 관객들이 생각하기에 과거에 영화에서 보여주는 식상한 감동이 있지 않다. 또한 상투적인 도덕성을 강조하지도 않는다. 흔해빠진 오락영화가 보여주는 해피엔딩이나, 권선징악, 뻔한 사랑이야기가 아닌 파격적인 내용이다. 이것은 반사회적인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단지 상투적인 내용에 식상한 관객들에서 다른 시각을 부여했을 뿐이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도덕적 가치보다 나에게 필요한 가치를 원할 때가 있다. 감독은 바로 이런 관객의 내면을 끄집어 낸 것이다. 평화와 용서가 아름답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의 속 마음에는 복수라는 단어가 더 먼저 떠오르게 될 것이다. 따라서 감독은 그 단어를 바탕으로 영화를 꾸며 관객의 가려운 부분을 긁어주는 역할을 하였다.
<결론>
처음 살펴본 예술이라는 정의를 바탕으로 영화 올드보이는 예술적 가치를 가지고 있고, 감정의 반응을 불러 일으켰으며 감상의 대상이 되는 인공적 종합 예술이라는 설명을 통해 예술로 인정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각종 기법과 탄탄한 스토리구성, 새로운 가치의 창출이라는 면에서 좋은 영화로 평가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2004년 최고의 작품으로 꼽히는 올드보이는 예술적이고 좋은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①유홍준, 예술개론(서울:청년사), 1990.
②임정택, 세계영화사 강의(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1.
③Betton Gerard, 유지나역, 영화의 역사(서울:한길사),1999.
④Giannetti Louis, 김진해역, 영화의 이해/이론과 실제(서울:현암 사), 1993.
⑤http://www.cine21.co.kr/Db-104/sbject_search03.c21?id=7392
⑥http://www.movist.com/movies/etc.asp?mid=7413
4)서사적 측면
이 영화가 좋은 평가를 받는 가장 큰 이유는 탄탄한 스토리 구조 때문이다. 누구나 쉽게 생각 하듯 왜 강금을 했느냐가 아니라 왜 강금에서 풀어줬는가를 문제 삼는 내용, 이우진의 잔인하고 치밀한 복수 계획, 근친상간이라는 파격적인 반전은 이 영화를 좋은 영화라고 칭찬할 만한 스토리이다.
위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이 영화를 평가 해 보면 우선 영화적 요소는 보다시피 완전하게 짜여 있다. 이 밖에 생각해 봐야할 중요한 요소가 바로 감독이 전하고자 하는 이면적인 내용이다.
올드보이는 관객들이 생각하기에 과거에 영화에서 보여주는 식상한 감동이 있지 않다. 또한 상투적인 도덕성을 강조하지도 않는다. 흔해빠진 오락영화가 보여주는 해피엔딩이나, 권선징악, 뻔한 사랑이야기가 아닌 파격적인 내용이다. 이것은 반사회적인 내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단지 상투적인 내용에 식상한 관객들에서 다른 시각을 부여했을 뿐이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도덕적 가치보다 나에게 필요한 가치를 원할 때가 있다. 감독은 바로 이런 관객의 내면을 끄집어 낸 것이다. 평화와 용서가 아름답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의 속 마음에는 복수라는 단어가 더 먼저 떠오르게 될 것이다. 따라서 감독은 그 단어를 바탕으로 영화를 꾸며 관객의 가려운 부분을 긁어주는 역할을 하였다.
<결론>
처음 살펴본 예술이라는 정의를 바탕으로 영화 올드보이는 예술적 가치를 가지고 있고, 감정의 반응을 불러 일으켰으며 감상의 대상이 되는 인공적 종합 예술이라는 설명을 통해 예술로 인정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각종 기법과 탄탄한 스토리구성, 새로운 가치의 창출이라는 면에서 좋은 영화로 평가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2004년 최고의 작품으로 꼽히는 올드보이는 예술적이고 좋은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①유홍준, 예술개론(서울:청년사), 1990.
②임정택, 세계영화사 강의(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1.
③Betton Gerard, 유지나역, 영화의 역사(서울:한길사),1999.
④Giannetti Louis, 김진해역, 영화의 이해/이론과 실제(서울:현암 사), 1993.
⑤http://www.cine21.co.kr/Db-104/sbject_search03.c21?id=7392
⑥http://www.movist.com/movies/etc.asp?mid=7413
추천자료
포르노 VS 에로B급 VS 예술영화
[영상문화]영화 속 PPL과 상품구매효과 연구
[영상문화]영화속 여성연대-바그다드까페와 개같은 날의 오후를 중심으로
[문학텍스트][영상문화][상호연관성]문학텍스트와 영상문화의 상호연관성(문학텍스트, 다의적...
요재지이 속의 “화피(畵皮/Painted Skin)”와 현대 영화로 제작된 “화피” 그리고 고전소설을 ...
[방송영상작가작품론] 영화 <헤어스프레이 (Hairspray)>
영상광고 제작 실습 (영상광고, 영상제작, 영화구성, 삼성카드, 캐논익서스카메라)
문화, 예술에 있어서의 표현의 자유 ‘그때 그 사람들(영화)를 중심으로’
영상기초 - 영화 ‘가족의 탄생’을 보여주기 방식으로 분석
[취미趣味와 예술 D형] 교재 12장 [취미로서의 음악 감상]의 내용을 참조하시면서 영화, 문학...
방송통신대학 (취미와예술 D) A+ 받은 "시네마천국 "영화 독후감입니다.
(중국공연예술 B형) 교재 348-377쪽에 제목이 나와 있는 중국영화 가운데 한 편을 각자 선택...
영상미학슬럼독밀리어네어 분석슬럼독 밀리어네어영화감상영화줄거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