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치관
2. 태도와 가치관의 차이
3. 가치관 조사
4. 가치관의 변동 - 가치의 갈등과 긴장
4.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 : 한국적 개인주의
⑴ 한국인의 전통적 가치관
⑵ 오늘날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
2. 태도와 가치관의 차이
3. 가치관 조사
4. 가치관의 변동 - 가치의 갈등과 긴장
4.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 : 한국적 개인주의
⑴ 한국인의 전통적 가치관
⑵ 오늘날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
본문내용
야 하며, 동양의 재래 문화풍토에서 진행되었던 근대화의 결과는 서구의 그것과는 다른 모양새를 띄게 되었다.
※한국 사회의 개인주의
: 전통적으로 집단주의적 성향이 강했던 한국 사회가 겪고 있는 다양한 변화중의 하나는 개인주의 사조의 만연 현상이다. 한국인들의 의식 속에는 집단주의와 개인주의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다양한 개인주의적 가치를 추구하면서도 내집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내집단에 대하여 의존하는 경향을 아울러 지니고 있는 것이다. 한국식 개인주의란, 시대변환에 따른 개인주의의 올바른 정착이라기보다는 집단주의적 사회에서의 개인의 발견에 대한 도취이며, 자신의 권익이 중요한 만큼 남의 권익도 존중되어야 하는 개인주의의 진면보다는 자기지상주의와 자기편의성의 추구에 관심을 쏟고 있다.
한국적 개인주의가 지닌 특성이 이기주의라는 것은 다른 연구들에서도 강하게 제시되고 있다.
ex) 두레성향과 홀로 성향
문화를 구분하는 집단/개인주의 이론을 문화권 내에서 사람들의 성향을 구분해주는 틀로 삼아 호남의 청소년들 가운데서 두레성향(집단주의적)과 홀로 성향(개인주의적)이 강한 아동들을 뽑아 두 집단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1) 중학생들이 다른 사람과 공동작업을 하였으나 자신이 상대보다 일을 덜한 경우에서 두 사람의 몫을 어떻게 나누는지를 각본을 통한 실험에서 비교하였다. 상대방과의 관계가 가깝건 멀건 홀로 성향의 학생들은 두레성향의 학생들보다 자기 몫을 많이 취하는 경향을 보였다.
2) 다른 연구는 아동을 홀로 성향과 두레성향으로 구분하여 이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타인과의 만남이 지니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화의 주제가 집안형편, 자기성격, 자기흉, 자기고민 등, 이야기가 꺼려지는 것일 때 홀로성향자는 훨씬 자기노출을 꺼렸다.
이와 같은 잠정적 가치조정은 ‘과도기’적인 면이 없는 바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와 같은 과도적 변화가 필연적으로 ‘서구적’인 가치로 귀결되리라고는 전망할 수 없다. 여기에서 ‘과도적’이라는 말은 ‘일련의 변화가 아직도 진행중’ 이라는 의미이고 변화의 결과로서의 새로운 가치체계는 오늘날 우리가 과도적 단계에서 발견하는 중요한 특성을 어느 정도 내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서 한국에서의 가치관의 변화는 한국의 전통적 가치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특성과 한국의 사회구조적 변동이 갖는 특성이 복합되어지는 새로운 가치체계의 형성으로 귀결될 것이라는 뜻이다.
※한국 사회의 개인주의
: 전통적으로 집단주의적 성향이 강했던 한국 사회가 겪고 있는 다양한 변화중의 하나는 개인주의 사조의 만연 현상이다. 한국인들의 의식 속에는 집단주의와 개인주의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다양한 개인주의적 가치를 추구하면서도 내집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내집단에 대하여 의존하는 경향을 아울러 지니고 있는 것이다. 한국식 개인주의란, 시대변환에 따른 개인주의의 올바른 정착이라기보다는 집단주의적 사회에서의 개인의 발견에 대한 도취이며, 자신의 권익이 중요한 만큼 남의 권익도 존중되어야 하는 개인주의의 진면보다는 자기지상주의와 자기편의성의 추구에 관심을 쏟고 있다.
한국적 개인주의가 지닌 특성이 이기주의라는 것은 다른 연구들에서도 강하게 제시되고 있다.
ex) 두레성향과 홀로 성향
문화를 구분하는 집단/개인주의 이론을 문화권 내에서 사람들의 성향을 구분해주는 틀로 삼아 호남의 청소년들 가운데서 두레성향(집단주의적)과 홀로 성향(개인주의적)이 강한 아동들을 뽑아 두 집단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1) 중학생들이 다른 사람과 공동작업을 하였으나 자신이 상대보다 일을 덜한 경우에서 두 사람의 몫을 어떻게 나누는지를 각본을 통한 실험에서 비교하였다. 상대방과의 관계가 가깝건 멀건 홀로 성향의 학생들은 두레성향의 학생들보다 자기 몫을 많이 취하는 경향을 보였다.
2) 다른 연구는 아동을 홀로 성향과 두레성향으로 구분하여 이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타인과의 만남이 지니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화의 주제가 집안형편, 자기성격, 자기흉, 자기고민 등, 이야기가 꺼려지는 것일 때 홀로성향자는 훨씬 자기노출을 꺼렸다.
이와 같은 잠정적 가치조정은 ‘과도기’적인 면이 없는 바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와 같은 과도적 변화가 필연적으로 ‘서구적’인 가치로 귀결되리라고는 전망할 수 없다. 여기에서 ‘과도적’이라는 말은 ‘일련의 변화가 아직도 진행중’ 이라는 의미이고 변화의 결과로서의 새로운 가치체계는 오늘날 우리가 과도적 단계에서 발견하는 중요한 특성을 어느 정도 내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해서 한국에서의 가치관의 변화는 한국의 전통적 가치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특성과 한국의 사회구조적 변동이 갖는 특성이 복합되어지는 새로운 가치체계의 형성으로 귀결될 것이라는 뜻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