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발해사 연구와 국가주의
1) 패전 전의 일본
2) 중국
3) 구소련
2. 발해사와 한국사체계
1) 긍정론
2) 부정론
3) 남한의 ‘남북국시대론’의 고민.
3. 발해사 인식에 비판적 검토
1) 발해사는 한국사인가?
2) 비판
3) '남북국시대론’의 민족 국가관
1) 패전 전의 일본
2) 중국
3) 구소련
2. 발해사와 한국사체계
1) 긍정론
2) 부정론
3) 남한의 ‘남북국시대론’의 고민.
3. 발해사 인식에 비판적 검토
1) 발해사는 한국사인가?
2) 비판
3) '남북국시대론’의 민족 국가관
본문내용
자적인 문화를 어느 특정 문화의 영향으로 파악하려는 태도는 곤란.
3) ‘남북국시대론’의 민족국가관
- ‘민족적 귀속’ ‘국적귀속’ ‘원적’ 등 최근 발해연구에 보이는 용어는 발해의 민족종족문제를 근대의 역사적 산물로서 근대국민국가 성립 이후에 생긴 ‘민족’이라는 개념을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여 역사적으로 더 거슬러 올라간 시대의 그것에 투영시킨 결과.
- ‘남북국시대론’은 분단극복을 위한 치열한 문제의식에도 불구하고, 역사인식에는 문제. 즉, 통일신라와 발해의 대립이 하나의 국가가 둘로 나누어졌다는 시각은 곤란. 양국의 대립이 비판받을 어떤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님.
- 발해와 신라의 외교관계를 근대 국민국가간의 국제관계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곤란
- 중앙아시아 몽골 북아시아 및 중국 동북부에서 유목수렵민족의 국가들의 흥망이 있는데, 이들 국가들의 민족구성은 복잡해서 오늘날 왕실을 중심으로 한 지배자 집단의 민족을 따져서 그 국가들에 대해 특정 민족의 역사에 속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 요체는 발해의 문화의 독자성과 구성 대다수를 차지한 말갈족에 대한 관심이 없음.
- 그런 가운데 발해사를 한국사에 편입. 발해의 강역은 한민족의 주요 활동 무대.
3) ‘남북국시대론’의 민족국가관
- ‘민족적 귀속’ ‘국적귀속’ ‘원적’ 등 최근 발해연구에 보이는 용어는 발해의 민족종족문제를 근대의 역사적 산물로서 근대국민국가 성립 이후에 생긴 ‘민족’이라는 개념을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여 역사적으로 더 거슬러 올라간 시대의 그것에 투영시킨 결과.
- ‘남북국시대론’은 분단극복을 위한 치열한 문제의식에도 불구하고, 역사인식에는 문제. 즉, 통일신라와 발해의 대립이 하나의 국가가 둘로 나누어졌다는 시각은 곤란. 양국의 대립이 비판받을 어떤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님.
- 발해와 신라의 외교관계를 근대 국민국가간의 국제관계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곤란
- 중앙아시아 몽골 북아시아 및 중국 동북부에서 유목수렵민족의 국가들의 흥망이 있는데, 이들 국가들의 민족구성은 복잡해서 오늘날 왕실을 중심으로 한 지배자 집단의 민족을 따져서 그 국가들에 대해 특정 민족의 역사에 속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 요체는 발해의 문화의 독자성과 구성 대다수를 차지한 말갈족에 대한 관심이 없음.
- 그런 가운데 발해사를 한국사에 편입. 발해의 강역은 한민족의 주요 활동 무대.
추천자료
2010년 동계계절시험 한국사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2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동계계절시험 한국사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4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동계계절시험 한국사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동계계절시험 한국사의이해 시험범위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