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학사 교육에 관하여
교수-학습지도안
유학사
1. 고대왕국의 유학
2. 통일 신라시대의 유학
3. 고려시대의 유학
**성리학의 개요**
4. 조선 초기(15세기)
5.조선중기(16세기)
6. 조선후기
교수-학습지도안
유학사
1. 고대왕국의 유학
2. 통일 신라시대의 유학
3. 고려시대의 유학
**성리학의 개요**
4. 조선 초기(15세기)
5.조선중기(16세기)
6. 조선후기
본문내용
는 학풍으로 우주에는 어떤 보편적 원리가 있고, 이에 따라 우주 만물이 움직여지는 것이 아니며, 기(물질, 힘)자체의 능동적인 움직임이 현세계이며 기(氣)자체의 움직임에서 어떤 보편적인 법칙성을 발견할 때 그것을 이(理)라고 봄. 따라서 세계에는 절대적 진리나 도덕의 존재가 있을 수 없으며, 그것은 늘 기의 움직임에 따라 가변적임.
)
주 리 론
주 기 론
경 향
1.우주만물의 생성과 운행의 근본적 원리인 리가 우선하며, 기(氣)는 우주 만물을 형성하는 물질이며 힘이지만 이것은 리(理)에 종속되는 것으로 봄.
2.도덕적 원리에 대한 인식과 그 실천을 중요시 함.(이기이원론)
3.신분질서를 유지하는 도덕 규범의 확립에 기여
1.우주에는 선험적인 원리가 없으며 기(氣)자체의 움직임에서 어떤 보편적인 법칙성을 발견할때 그것을 이(理)라고 봄.
2.경험적 세계의 현실 문제에 관심(일원론적 이원론)
선구자
이언적
서경덕
대표학자
이황-<주자서절요>, <성학십도>
이이 - <성학집요>, <동호문답>
학 파
영남학파
기호학파 - 조헌, 김장생
영 향
위정척사사상, 일본 성리학에 영향
북학파 실학사상, 개화사상
*이율곡의 성리학적 위치
주기론적 입장에서 주리론을 통합함.
이(理)의 존재를 인정하면서 그러나 주리론에서의 기(氣)가 이(理)로부터 나온다는 설을 부인하고 이(理)와 기(氣)는 본래부터 있었던 것이고 이와 기는 별개의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며 한 사물(동전)의 앞과 뒤같은 일체라고 주장. <성학집요>, <동호문답>저술 → 이기일원론적 이원론
6. 조선후기
(1)주리론은 이일원론(理一元論) 이일원론 - 지금까지의 주리론이 움직이는 것은 지요, 기가 움직여지도록 하는 것은 理로 보았으나 기정진 이진상 등은 움직이는 것은 理요, 기는 움직이는 것의 껍질이라고 인식. 기를 동정이 없는 존재로 파악
으로 발전(기정진, 이진상)→위정척사사상에 영향
(2)주기론은 실학자(특히 북학파)들에 영향을 끼쳤고 유기론 유기론(唯氣論) - 우주에는 오직 생의로 충만한 氣하나뿐이고, 기의 능동적 움직임에 의해 우주 만물이 생성되고 움직여질뿐 사물의 배후에 보편적 법칙은 없다고 봄.
으로 발전→최한기의 개화 철학에 영향
(3)성리학을 비판하고 새로운 경전해석을 시도 → 윤휴, 박세당, 정약용
父生我身 母鞠我身 恩高如天 德厚如地
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 揚名於後世 以顯父母 孝之終也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
)
주 리 론
주 기 론
경 향
1.우주만물의 생성과 운행의 근본적 원리인 리가 우선하며, 기(氣)는 우주 만물을 형성하는 물질이며 힘이지만 이것은 리(理)에 종속되는 것으로 봄.
2.도덕적 원리에 대한 인식과 그 실천을 중요시 함.(이기이원론)
3.신분질서를 유지하는 도덕 규범의 확립에 기여
1.우주에는 선험적인 원리가 없으며 기(氣)자체의 움직임에서 어떤 보편적인 법칙성을 발견할때 그것을 이(理)라고 봄.
2.경험적 세계의 현실 문제에 관심(일원론적 이원론)
선구자
이언적
서경덕
대표학자
이황-<주자서절요>, <성학십도>
이이 - <성학집요>, <동호문답>
학 파
영남학파
기호학파 - 조헌, 김장생
영 향
위정척사사상, 일본 성리학에 영향
북학파 실학사상, 개화사상
*이율곡의 성리학적 위치
주기론적 입장에서 주리론을 통합함.
이(理)의 존재를 인정하면서 그러나 주리론에서의 기(氣)가 이(理)로부터 나온다는 설을 부인하고 이(理)와 기(氣)는 본래부터 있었던 것이고 이와 기는 별개의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며 한 사물(동전)의 앞과 뒤같은 일체라고 주장. <성학집요>, <동호문답>저술 → 이기일원론적 이원론
6. 조선후기
(1)주리론은 이일원론(理一元論) 이일원론 - 지금까지의 주리론이 움직이는 것은 지요, 기가 움직여지도록 하는 것은 理로 보았으나 기정진 이진상 등은 움직이는 것은 理요, 기는 움직이는 것의 껍질이라고 인식. 기를 동정이 없는 존재로 파악
으로 발전(기정진, 이진상)→위정척사사상에 영향
(2)주기론은 실학자(특히 북학파)들에 영향을 끼쳤고 유기론 유기론(唯氣論) - 우주에는 오직 생의로 충만한 氣하나뿐이고, 기의 능동적 움직임에 의해 우주 만물이 생성되고 움직여질뿐 사물의 배후에 보편적 법칙은 없다고 봄.
으로 발전→최한기의 개화 철학에 영향
(3)성리학을 비판하고 새로운 경전해석을 시도 → 윤휴, 박세당, 정약용
父生我身 母鞠我身 恩高如天 德厚如地
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 揚名於後世 以顯父母 孝之終也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
추천자료
[부모교육]부모교육(부모지도)의 개념, 부모교육(부모지도)의 중요성과 부모교육(부모지도)의...
[영재교육]영재교육과 영재성의 정의, 영재교육의 필요성, 영재교육에 있어 교사와 부모의 역...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노자와 공자,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묵자와 맹자, 중국 ...
[유아교육]유아교육의 본질, 유아교육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이론적 배경, 유아교육 철학적 탐...
고려시대 교육기관 국자감과 향교, 고려시대 교육기관 서당과 12공도, 고려시대 교육제도 과...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단계형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단계별학...
실과교과(실과교육, 실과수업)의 목표와 성격, 실과교과(실과교육, 실과수업)의 인터넷활용수...
[한국교육사][고구려][백제][신라][조선][실학][근대]한국교육사 고구려시대교육, 한국교육사...
[한국문화정체성교육]한국문화정체성교육의 의의, 한국문화정체성교육의 목적, 한국문화정체...
[유아 과학교육]유아 과학교육의 변화, 유아 과학교육의 목적, 유아 과학교육의 중요성, 유아...
[러시아교육][교육과정][교육개혁][유아교육]러시아교육의 교육제도, 러시아교육의 교육과정,...
미술과(미술교육, 미술수업)의 특징과 내용구성, 미술과(미술교육, 미술수업) 목적과 ICT(정...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현황과 다문화가정 자녀(학생) 교육지원방안 (다문화가정의 개념과 다...
[유아교육사와 보육] 근대사회의 유아교육 - 계몽사상기, 로크, 루소, 오베르랑(인간관, 아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