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의 경영마케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마트의 경영마케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마트 개발동기(도입)
2. 이마트의 시작
3. IMF와 외국 할인점의 국내 진출
4. 이마트의 전략(성공요인)
5. 이마트의 고객 서비스
6. 4P분석
7. SWOT 분석
8. 앞으로의 전략

본문내용

점을 열었다. 그리고 잇달아 상하이(上海)에 2호점과 3호점, 텐진(天津) 1,2,3호점까지 계획을 하고 있는 상태이다. 2012년까지 중국 전역에 총 50개 점포를 세우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한다. 이마트는 중국에서 1호점을 연 이래로 매출에 있어 매년 성장세를 거듭하였다. 개점 첫해에 2백96억원의 매출을 올린데 이어 그 다음 해에는 5백억원으로 69%이상 매출 증가를 하였다.
이마트가 중국시장에 진출하면서 내건 제1원칙은‘중국인의 특성에 맞는 마케팅 전략구사’이었다.
까르푸보다 1년2개월 늦게 상하이에 점포를 연 이마트는 개점 9개윌 뒤 우리돈으로 하루 평균 1억원 정도의 매출을 기록, 까르푸를 따라잡았다. 이마트는 상해진출전 6개월간 까르푸를 연구한 끝에, 승부처를 '먹을 것'에 두었다. 중국 고객들은 아직도 먹을 것에 강한 애착을 갖고 있다는 분석에 따라 매장에 식품을 쫙 깔아나갔다. 까르푸는 식품과 비식품 비율을 50:50으로 한 반면, 이마트는 식품비중을 60%로 늘렸다. 식품종류도 철저하게 상해 사람들 입맛에 맞췄다. 상해인들이 단 음식을 좋아한다는 점을 파악하고 과자를 많이 갖다놓아, 과자류 비중이 식품매출의 10%를 육박하고 결과를 가져왔다. 가장 인기있는 식품은 인삼맛을 가미한 전기구이 통닭. 하루에6백마리씩 팔리는데, 고객들이 1시간씩 줄을 서서 기다리다 새치기 때문에 싸움하는 일이 잦다고 한다. 까르푸의 서양식 프라이드 치킨과 정반대 전략을 구사해 적중한 셈이다. 우유도 상해인들의 식생활 습관을 꿰뚫어 성공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인들은 개방 전까지 우유를 매일 배급받아 먹었기 때문에 하루 지난 우유를 기피하는 성향이 남아 있었다. 그런데도 까르푸는 이 점을 간과하고 2∼3일 지난 우유도 팔고 있었다. 이마트는 개점 즉시 '당일 판매' 제도를 실시, 주부고객들을 확보해 나갔다.
중국인 관리나 거래처들을 자기편으로 만드는 지역 밀착형 마케팅도 성공비결이라고 할 수 있다. 까르푸는 점장을 비롯해 프랑스인 중견 간부들은 중국말이 서툰데 비해, 이마트는 점장과 한국인 직원들이 능숙한 중국말 솜씨로 직접 상해시 관리와 거래업자들을 접촉하는 공격성을 과시했다.
이마트는 3천8백여평에 달하는 대형 단층매장도 2개층(1천8백여평)을 운영하는 까르푸를 위축시키고 있다. 또 까르푸는 프랑스 본사의 원칙에 따라 광고전단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이마트는 중국인이 좋아하는 붉은색 광고전단을 십분활용, 고객들이 방벽에 걸어놓을 정도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이마트의 중국시장 진출은 단순히 여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내 기업의 중국 진출도 용이하게 한다. 특히 중소기업들의 활발한 진출통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중국 내 이마트 점포수가 늘수록 한국 상품 판매망이 열려 중소제조업체에 큰 도움이 되는 것이다. 유통업체 1개 점포가 해외로 나가면 중소제조업체 50개가 해외에 진출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따라서 중국 시장에서 이마트의 성공은 단순히 이마트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국가 전체 이익에도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이마트,   경영,   마케팅,   전략,   마트,   imf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8.09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8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