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심리학의 비판적 재구성 - 분열에 대항하기 -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해줄지에 대해서 말이다.
다른 사회과학적 연구 입장들이 방법론적 이유로 놓쳐 버린 현대의 병리현상들의 정체를 규명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함에 있어서, 의사소통행위이론이 거두고 있는 성과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초기 비판이론이 상실했던 비판의 규범적 근거를 확보함으로써 초기 비판이론이 빠져들었던 이론적 비관주의를 극복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둘째,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새롭게 등장한 사회운동들을 현대의 병리 현상들로부터 탈주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설명하고 평가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하나는 재구성 방법을 통해 재구성적 과학(혹은 과학자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하는 이론적 역할이고, 다른 하나는 전문가 문화에 의해 사물화되지 않은 의사소통의 일상적 실천을 발굴하고 활성하여 생활세계의 식민지화에 대한 저항운동을 조직하는 실천적 역할이다. 이와 같은 역할들에 의거하여, 하버마스는 매체의 공론장들이 갖는 양면성을 통찰함으로써 의사소통 구조 자체에 내재하는 권위주의적 잠재력과 해방적 잠재력을 파악할 수 있었고, 새로운 갈등이 물질적인 재화의 분배 문제에서 점화되는 것이 아니라 생활 형식의 문법에 대한 질문에서 점화된다는 점을 통찰할 수 있었다. 나아가서 그는 생활세계의 유기적 기초를 침해하는 것에 저항하는 녹색당 문제, 생활세계에 강요되는 추상화로 인한 과잉복잡성 문제, 문화적으로 빈곤해지고 일면적으로 합리화된 일상적 실천의 박탈현상에서 겪어야 하는 고통을 해소하기 위한 의사소통 내부 구조의 과잉부담 문제 등을 둘러싸고 전개되는 새로운 사회 운동들의 해방적, 저항적, 후퇴적 잠재력을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8.11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30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