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문자에 관해서
2.음성학과 음운론
3.형태론과 통사론
4.어휘관계
5.관용표현과 속담
6.기본 회화
7.동화<젊어지는 샘물>
8.주요 어휘
2.음성학과 음운론
3.형태론과 통사론
4.어휘관계
5.관용표현과 속담
6.기본 회화
7.동화<젊어지는 샘물>
8.주요 어휘
본문내용
nine pebe ok onferon tep pesifise]
"으앙, 으앙-"
[a , a ]
아기가 옹달샘 옆에서 울고 있었어요.
[ ento ontata eden dep pesifise tinik]
('울다'의 뜻을 가진 서술어 'ta eden'에 과저 시제 접두사 on-을 첨가하고 첫음절 ta를 반복하여 과거 진행을 나타내고 있다.)
나쁜 할아버지는 아기가 되어 버렸어요. 할아버지가 물을 너무 많이 마셨거든요.
[ruhustemi pepe ok ondo um ento. zome pepe ok onhefon wise waromo]
(do um은 명사만을 서술하는 dom에 변화나 정도의 심화를 나타내는 접요사 - u-가 결합된 것이다.)
"우리 이 아이를 가지고 가서 키웁시다."
[wajento voferon toi ento pa eti ]
('가지다' vom과 '가다' feron이 결합된 복합동사 voferon이 쓰였으며, 청유형의 연동문이 나타난다.)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아기를 기르면서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hustemi pepe ok nine pebe ok ompa eti ento o kisi ton saperino.
(n+p=m, n+k= 의 음성 규칙이 발견되며, 서술어인 '행복하다' saperin에 부사형 접미사 -o가 결합되어 '행복하게'의 뜻이 되었다.)
7
주요어휘
1. 대명사 (복수는 접두사 wa-)
나 jento
너 famu
그 사람 voreni
그 moreni
그녀 soreni
이것 toi
저것 koi
그것 voi
2. 시간
오늘 viet
어제 miet
내일 riet
아침 sero
오후 ero
저녁 vero
3. 성별, 가족
남자 mone
여자 sone
소년 monok
소녀 sonok
남편 dinev
아내 kinev
아기 ento
어린이 sento
아버지 pefok
어머니 befok
할아버지 pepefok
할머니 pebefok
형제 fo e
자매 so e
친구 dodo
4. 의문사
언제 i
어디서 ok
누가 u
무엇을, 무엇이 ot
어떻게 ue
왜 oa
5. 기본동사
가다 feron
오다 eron
뛰다 peferon
먹다, 마시다 hefon
보다 zuhon
쓰다 giron
원하다 ravom
기다리다 satong
알다 amen
좋아하다 sefong
사랑하다 refong
살다 vuzen
하다, 만들다 noden
할 수 있다 duvam
할 필요가 있다 monasi
생각하다 afiven
말하다 timenon
베다, 자르다 zikzin
돌다 esaiken
놀라다 sasimin
가지다 vom
울다 ta eden
기르다 pa eti
듣다 tibon
6. 형용사
훌륭하다, 좋다 hiben
깊다 fikem
착하다 hustem
나쁘다 ruhustem
자세하다 kuisum
젊다 kraizem
오래되다 gusim
목마르다 idin
행복하다 saperin
많다 warom
예쁘다 ponemo
7. 접속사
~와(and) nine
그렇다면, 그래서 (순접의 접속사) name
그러나, 하지만 (역접의 접속사) same
왜냐하면... (이니까) zome
그런데 kome
8. 전치사
~에(서) dep
~으로 tep
~으로부터 (시작점) mep
~를 위해서 rep
~에 대해서 vep
~에 의해 wep
9. 방향
전 onik
후 unik
좌 binik
우 ginik
옆 tinik
위 anik
아래 enik
10. 감탄사
아 ah
어 oh
11. 기타표현
선생님 node ama
모두 fikemano
이유, 원인 asteristo
질문 natemdal
숙제 kastanest
옛날 pesta e
사람, 인간 bines
옹달샘 pesifise
샘 fise
물 wise
산 sapinus
날 vaiz
나무 motasa
집 hosai
곳, 장소 badas
소문, 소식 lagepo
하늘 fi eko
땅 fi omo
천사 hibobano
어느, 어떤 sode
역시, ~도 또한 mada
~의 lilo
12. 관계사
단순의문 ka
수식 vu
추측 go
13. 숫자
1 ons
2 tez
3 wos
4 tiru
5 gosi
6 lova
7 seta
8 hedo
9 note
10 corodi
14. 교통
버스 jotif
기차 rudiaf
전차 botiru
택시 vopife
지하철 coitf
비행기 goif
배 dof
자전거 toref
오토바이 vodif
15. 시설물
학교 poniz
경찰서 popori
우체국 jotavi
소방서 rehoni
세탁소 iatu
호텔 bohene
16. 문구, 사무용품
교재 hohotu
노트 gobiru
사전 gogonita
필통 riot
연필 sisi
지우개 folbu
종이 lolori
자 boi
가위 fave
풀 zize
17. 의류
옷 afos
바지 fodise
치마 fonide
원피스 fofonido
상의 goris
블라우스 eige
넥타이 georei
손수건 roneve
장갑 dodare
목도리 boret
18. 색
빨강 sort
파랑 gort
노랑 nort
녹색 tort
검정 vort
흰색 wort
감색 gert
보라 boret
갈색 totoret
남색 art
금색 bort
은색 wawat
19. 신체관련 용어
신체 sife
얼굴 kaot
머리 atata
손 ta
귀 go
눈 mobi
볼 dotew
코 sefwa
입 dore
가슴 aser
팔 gita
다리 apert
어깨 arew
무릎 bowl
발 voisi
목 coret
이 sort
턱 kow
20. 요일
월요일 forere
화요일 morere
수요일 warere
목요일 gorere
금요일 borere
토요일 dorere
일요일 sarere
8
참고문헌
『An Introduction of Language』, Victoria Fromkin and Robert Rodman, 1981, Harcourt Barce & Company
『에스페란토의 언어학적 연구』, John C. Wells, 1991, 한신문화사
『언어학의 이해』, 김방한, 1992, 민음사
『개정증보판 세계주요언어』, 변광수(편), 2003, 도서출판 역락
「2003년 "세계의 언어 공동과제 보고서"」, 2003,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으앙, 으앙-"
[a , a ]
아기가 옹달샘 옆에서 울고 있었어요.
[ ento ontata eden dep pesifise tinik]
('울다'의 뜻을 가진 서술어 'ta eden'에 과저 시제 접두사 on-을 첨가하고 첫음절 ta를 반복하여 과거 진행을 나타내고 있다.)
나쁜 할아버지는 아기가 되어 버렸어요. 할아버지가 물을 너무 많이 마셨거든요.
[ruhustemi pepe ok ondo um ento. zome pepe ok onhefon wise waromo]
(do um은 명사만을 서술하는 dom에 변화나 정도의 심화를 나타내는 접요사 - u-가 결합된 것이다.)
"우리 이 아이를 가지고 가서 키웁시다."
[wajento voferon toi ento pa eti ]
('가지다' vom과 '가다' feron이 결합된 복합동사 voferon이 쓰였으며, 청유형의 연동문이 나타난다.)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아기를 기르면서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hustemi pepe ok nine pebe ok ompa eti ento o kisi ton saperino.
(n+p=m, n+k= 의 음성 규칙이 발견되며, 서술어인 '행복하다' saperin에 부사형 접미사 -o가 결합되어 '행복하게'의 뜻이 되었다.)
7
주요어휘
1. 대명사 (복수는 접두사 wa-)
나 jento
너 famu
그 사람 voreni
그 moreni
그녀 soreni
이것 toi
저것 koi
그것 voi
2. 시간
오늘 viet
어제 miet
내일 riet
아침 sero
오후 ero
저녁 vero
3. 성별, 가족
남자 mone
여자 sone
소년 monok
소녀 sonok
남편 dinev
아내 kinev
아기 ento
어린이 sento
아버지 pefok
어머니 befok
할아버지 pepefok
할머니 pebefok
형제 fo e
자매 so e
친구 dodo
4. 의문사
언제 i
어디서 ok
누가 u
무엇을, 무엇이 ot
어떻게 ue
왜 oa
5. 기본동사
가다 feron
오다 eron
뛰다 peferon
먹다, 마시다 hefon
보다 zuhon
쓰다 giron
원하다 ravom
기다리다 satong
알다 amen
좋아하다 sefong
사랑하다 refong
살다 vuzen
하다, 만들다 noden
할 수 있다 duvam
할 필요가 있다 monasi
생각하다 afiven
말하다 timenon
베다, 자르다 zikzin
돌다 esaiken
놀라다 sasimin
가지다 vom
울다 ta eden
기르다 pa eti
듣다 tibon
6. 형용사
훌륭하다, 좋다 hiben
깊다 fikem
착하다 hustem
나쁘다 ruhustem
자세하다 kuisum
젊다 kraizem
오래되다 gusim
목마르다 idin
행복하다 saperin
많다 warom
예쁘다 ponemo
7. 접속사
~와(and) nine
그렇다면, 그래서 (순접의 접속사) name
그러나, 하지만 (역접의 접속사) same
왜냐하면... (이니까) zome
그런데 kome
8. 전치사
~에(서) dep
~으로 tep
~으로부터 (시작점) mep
~를 위해서 rep
~에 대해서 vep
~에 의해 wep
9. 방향
전 onik
후 unik
좌 binik
우 ginik
옆 tinik
위 anik
아래 enik
10. 감탄사
아 ah
어 oh
11. 기타표현
선생님 node ama
모두 fikemano
이유, 원인 asteristo
질문 natemdal
숙제 kastanest
옛날 pesta e
사람, 인간 bines
옹달샘 pesifise
샘 fise
물 wise
산 sapinus
날 vaiz
나무 motasa
집 hosai
곳, 장소 badas
소문, 소식 lagepo
하늘 fi eko
땅 fi omo
천사 hibobano
어느, 어떤 sode
역시, ~도 또한 mada
~의 lilo
12. 관계사
단순의문 ka
수식 vu
추측 go
13. 숫자
1 ons
2 tez
3 wos
4 tiru
5 gosi
6 lova
7 seta
8 hedo
9 note
10 corodi
14. 교통
버스 jotif
기차 rudiaf
전차 botiru
택시 vopife
지하철 coitf
비행기 goif
배 dof
자전거 toref
오토바이 vodif
15. 시설물
학교 poniz
경찰서 popori
우체국 jotavi
소방서 rehoni
세탁소 iatu
호텔 bohene
16. 문구, 사무용품
교재 hohotu
노트 gobiru
사전 gogonita
필통 riot
연필 sisi
지우개 folbu
종이 lolori
자 boi
가위 fave
풀 zize
17. 의류
옷 afos
바지 fodise
치마 fonide
원피스 fofonido
상의 goris
블라우스 eige
넥타이 georei
손수건 roneve
장갑 dodare
목도리 boret
18. 색
빨강 sort
파랑 gort
노랑 nort
녹색 tort
검정 vort
흰색 wort
감색 gert
보라 boret
갈색 totoret
남색 art
금색 bort
은색 wawat
19. 신체관련 용어
신체 sife
얼굴 kaot
머리 atata
손 ta
귀 go
눈 mobi
볼 dotew
코 sefwa
입 dore
가슴 aser
팔 gita
다리 apert
어깨 arew
무릎 bowl
발 voisi
목 coret
이 sort
턱 kow
20. 요일
월요일 forere
화요일 morere
수요일 warere
목요일 gorere
금요일 borere
토요일 dorere
일요일 sarere
8
참고문헌
『An Introduction of Language』, Victoria Fromkin and Robert Rodman, 1981, Harcourt Barce & Company
『에스페란토의 언어학적 연구』, John C. Wells, 1991, 한신문화사
『언어학의 이해』, 김방한, 1992, 민음사
『개정증보판 세계주요언어』, 변광수(편), 2003, 도서출판 역락
「2003년 "세계의 언어 공동과제 보고서"」, 2003,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