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매체와 여성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 매체와 여성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문화적 책임까지 묻는 발상의 전환이 없고선 대중문화의 개혁은 불가능할 것이다. 광고는 곧 대중문화를 조성하는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바로 그런 이유로 해서 광고시장 개방과 그에 따른 문제들이 보다 더 심각한 사회적 논의의 주제로 다루어 져야 할 것이다. 강준만 , 우리 대중문화 길 찾기, 개마고원 ,p.100
대중매체를 장악하고 있는 사람의 거의 전부가 남성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남성만을 대변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현재 대중매체에 종사하는 여성들의 비율이 25%를 넘지 못하며, 그중에서도 중요한 위치에는 10%미만이라고 한다. 참고로 1996년 언론 3사의 여성 비율은 15.4%이며 신문사는 16.5% 방송사는 14.3 통신사는 11.6%이다. 곽삼근 외, 일상의 여성학, 서울 박영사,1998, p.152
대중문화의 여러 각도에서 여성의 위치를 살펴보았는데 무엇 보다 사회적 제도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여성들 하나하나가 저마다의 중요한 자기 존재의식과 주체의식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들 스스로가 저속한 상업주의에 휩쓸리지 말아야 하고 그것들을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강준만 ,우리 대중문화 길 찾기, 개마고원, 1998
2. 김원홍 외3 ,오늘의 여성학,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9
3. 김창남 ,대중문화 이해, 한울, 1998
4. 윤근석 외3 , 여성과 현대 사회 , 문음사, 1999
5. 원용진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서울 한나래, 1996
6. 장미경 편저 ,오늘의 페미니즘 세계여성 운동, 문음사, 1996
7. 장진철 , 남성이 쓴 여성학, 학문사, 2000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8.23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39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