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Free Trade Agreement)와 한국의 자동차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 WTO 환경

본론
1. FTA(Free Trade Agreement)
1-1. 세계적인 지역주의의 확산
1-2. FTA의 의의
1-3. FTA 체결현황
1-4. FTA와 WTO의 차이점
1-5. FTA와 WTO의 공통점
1-6. FTA체결로 인한 경제효과
1-7. FTA의 허용조건과 기준
2.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의 한국 자동차
2-1. 자동차 전쟁의 시작
2-2. 세계 시장에서 한국 자동차의 약진
2-3. 국내 자동차 시장의 불안
3. 한국 자동차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방안
3-1. 한국 자동차 산업의 문제점
3-2. 경쟁력 제고 방안
4. 타켓시장 선정 및 분석
4-1. 왜 중국인가
4-2. 중국의 자동차 공급 현황
4-3. 중국 자동차 시장의 수요
5. 대 중국 승용차 시장 진출 강화 방안
5-1. 협력 형태와 파트너 선택
5-2. 부품생산 네트워크 구축 및 산업 내 분업체계 구축
5-3. 공동기술개발체계 구축
5-4. 정부의 역할 증진

결론

본문내용

비교우위를 갖고 있다. 또한 연구개발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연구인력 인건비가 낮아 연구개발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반면, 한국은 중국이 개발하고자하는 보통급 승용차에 대한 개발 경험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실험설비와 축적자료를 많이 보유하고 있어 연구 실험비를 크게 절감 시킬 수 있다. 양국은 공동기술개발 협력 대상을 완성차뿐만 아니라 부품산업전체에 대해 적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기술협력 기반을 바탕으로 양국은 협력 범위를 자본, 생산, 수출로 확대시켜 성공적인 완성차업체 합작을 도모할 수 있다.
5-4. 정부의 역할 증진
한■중 양국의 승용차산업 제반 협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양국 정부의 긴밀한 협조가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한■중 양국은 네 차례의 한중산업협력위원회 자동차부품분과위를 통해 양국간 투자확대도모, 인력 교류와 자료 교환 등을 위해 노력하였지만 유감스럽게도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한■중 자동차부품분과위의 성과가 미흡했던 배경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우리 측이 반성해야 할 부분도 많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것 중의 하나는 우리 측 대표들의 전문성 결여와 단절성이다. 우리 측 대표들이 주로 자동차 업계를 중심으로 구성되다 보니 자동차에 대해서는 박식할 줄 모르나 중국의 제반 경제 환경을 비롯하여 , 경제체제, 승용차산업과 관련된 산업 정보에 대해서는 이해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따라서 중국 측의 의사와 입장을 파악하기가 힘들었고, 한■중 양국의 실질적 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돌파구를 마련하기도 어려웠다. 또한 상당수의 우리 측 대표들이 회의 때마다 변경되어 회의의 연속성과 발전성을 도모할 수 없었고 매번 비슷한 주제가 되풀이되는 한계도 나타냈다.
앞으로 새로 구성되는 한■중 자동차산업 협력분과위원회에서는 이러한 현상들을 시정하는 것을 전제로 승용차산업에서의 양국간 협력 필요성에 대해 우선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한■중 승용차산업 협력체제 구축이 중국 승용차산업 발전에 얼마나 유익한 가를 중국 정부에 충분히 설득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중국 승용차산업 전문가를 국가적 차원에서 충분히 양성■확보하여야 하며 중국 내에서 우리의 진출을 지원할 내부 협조 세력도 아울러 구축하여야한다. 중국 내에서 관료, 전문가 등을 중심으로 한■중 승용차산업 협력이 중국의 승용차산업 발전을 위해 효율적이라는 주장들이 자발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이들의 논리 개발에 충분한 지원을 해주어야한다. 양국간 협력 공감대가 형성되고 관계자들간 우호적 분위기가 조성되면 양국은 부품산업 협력체제 구축, 공동기술개발체제 구축, 인적■자료 교류제제 구축 등 보다 구체적인 협력 단계로 이행할 수 있다.
결론
한국의 자동차 산업은 2002년도에 구조조정을 마치고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과거에 정부와 국내 내수 시장의 큰 힘을 발편으로 현대와 기아, 그리고 대우, 삼성까지 자동차 사업에 뛰어들었으며 이로 인한 산업 구조조정의 재편은 2~3년 동안이나 한국 자동차 장의 부정적인 악재로 등장하곤 하였다. 하지만 현재 자동차 산업의 구조조정이 마무리 되었고 앞으로는 한국의 수출 주력 상품으로서의 자동차 제품이 다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할 뿐 아니라 중국과 더불어 후발 도상국에 대한 견제를 위해서도 한국 자동차 산업에서의 국제 경쟁력 제고 방안은 반드시 풀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앞서 언급한 한국의 타켓시장은 본 보고서를 작성한 이들의 주관적인 생각에 의해 결정되어졌다. 본 보고서에서 타켓시장으로 삼은 중국자동차시장외에도 세계에는 더 많은 시장이 존재한다. 현재 세계의 모든 자동차 업계들이 모든 노력을 기울여 그 돌파구를 찾으려 하는 미국시장에서부터 아프리카를 비롯한 규모가 비교적 작은 시장까지 그 시장의 수는 무한하다. 본론에 언급한 국제경쟁력제고방안을 토대로 세계의 어느 기업과 견주어도 뒤지지 않는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앞으로 다가올 무한경쟁시대에서 한국 자동차 산업이 생존하는 유일한 전략이 될 것임에는 틀림이 없다.
세계 시장에서의 자동차산업 경쟁력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가 올 FTA시장에서의 국내 자동차 시장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것도 필요하다. 더 이상 소비자들의 애국심에 호소하여 자국 상품을 구매해 달라고 요구하는 것이 한계가 있는 것이다.
연구를 하는 과정에서 자동차 시장의 무한한 잠재력을 느낄 수 있었다. 부디 "Made in KOREA"라는 상표를 가진 자동차가 세계 곳곳에서 선전하기를 바라면서 이 보고서를 마치고자 한다. 대한민국 화이팅! 한국자동차 파이팅!
참고문헌
이문형, [중국 승용차산업 발전 현황과 한 중 협력증진 방안], 김용준 편,
{중국 산업별 현황과 전망}, 성균관대학교 현대중국연구소, 2000.
[주요국의 FTA 체결현황 및 교역비중], 무역협회, 2004.04, http://www.kita.net/tri/tri_fta_main.jsp
[아시아 주요국의 FTA 추진 동향]. 무역협회. 2003.09, http://www.kita.net/tri/tri_fta_main.jsp
이문형, [고도성장하에서 구조조정 겪고 있는 중국 자동차산업], 무역협회, 2002.11.
金容善, [중국 자동차시장의 공급현황과 수요전망], {中國學論叢}, 2003.
채영석, 자동차전쟁 : 한국차 살아남을 수 있을까?, 기한재, 2003.
서정욱 외, 세계가 놀란 한국 핵심산업기술, 김영사, 2002.
홍순현 ■ 황인성 외, SERI 전망 2004, 삼성경제연구소, 2003.
산업자원부, 산업자원백서, 2002
자동차 상반기 수출 62.6억불 추정, 2001
한국자동차공업협회, 자동차 산업, 2002.
참고 인터넷 사이트
http://autoway.kia.co.kr/storage/kiaworld/kw198/pdf
http://www.iloveshipping.com/ishipping/isdata/sample/research.pdf
http://segero.hufs.ac.kr/scripts/article_view.asp
조선일보 홈페이지
네이버 지식 검색 지식IN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4.08.24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41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