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간이 그리는 작업 - 기획, 극본, 배역
(1) 드라마 현실
(2) 드라마의 출발
(3) 드라마의 발생
2. 영상 언어로 말하기
(1) CUT/ SHOT
(2) 샷의 구분
(3) 카메라 앵글(Camera angle)
(4) 촬영 - 야외, 스튜디오
3. 영상 표현의 방법론- 컷 나누기, 조합
4. 드라마의 탄생 -편집, 음향, 더빙
(1) 드라마 현실
(2) 드라마의 출발
(3) 드라마의 발생
2. 영상 언어로 말하기
(1) CUT/ SHOT
(2) 샷의 구분
(3) 카메라 앵글(Camera angle)
(4) 촬영 - 야외, 스튜디오
3. 영상 표현의 방법론- 컷 나누기, 조합
4. 드라마의 탄생 -편집, 음향, 더빙
본문내용
밝기
- Gobo : 조명으로 특수효가를 낼 때 사용
- back light : 인물의 윤곽을 확실하게 하고 입체감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조명이다. Key Light와는 반대 방향에서 인물의 45° 각도 높이에서 비치게 된다.
- key light : 주광. 인물을 비치는 주 조명이다. 피사체 눈 위치에서 30°∼40°각도의 높이로 비치며 순광이다.
- Fill Light : 보조광. 주광이 비치지 않은곳을 비춰 부드럽게 한다.
Key Light로 생성된 暗部를 보충하기 위한 조명이다. Fill Light는 카메라의 양측 위치에서 순광 또는 측광으로 다소 낮게 비치는 것이다.
▶ 컷 나누기의 원칙
1) 피사체의 공간 변화
2) 피사체의 시간적 환경 변화
3) 등장 인물의 환경 변화
4) 인물이 존재하는 시간 변화
5) 다른 각도의 그림
6) 분석적인 표현
4. 드라마의 탄생 -편집, 음향, 더빙
(1) 편집 - 제 2의 창조
모든 촬영은 편집을 염두해야 한다
▶ 더블액션 촬영- 편집을 위해 한씬은 두번세번 반복해서 찍는 것을 말한다. 그이유는 편집시 컷을 나누기 위한 것이다.
→ 연결부위의 액션이 맞아야 한다
→ 매치컷을 조합하는것-편집의 기본 달려오는 인물이 역동적으로 보임
→ 맞지않는것- 점프컷
동일한 포지션 동일한 앵글로 장면을 찍으면 좋지 않다 점프컷이 생긴다
줌인 다음에 줌인.. 풀샷다음에 풀샷 (x)
▶ 컷어웨이 기법: 매치되지 않는 컷을 연결하기 위해 다른 인서트컷을 삽입하는것
▶ 몽따쥬 기법: 쿨레슈프-에이젠슈타인
화면의 반전등을 위해 일부러 점프컷 사용
가. 편집기법
→ 액션 편집: 컷과컷 사이에 신체 동작의 연속성을 삽입
스크린 포지션 편집, 방향 편집, 동작 편집
여러가지 기법을 함께 사용
컨셉편집, 아이디어 편집: 표면적인 관련은 없지만 연결해서 보여주는것
나. 편집 유형
① 연속편집
화면내에서 시간, 장소, 내용적인 연속성이 중요시되는 편집방법이다. 매 shot은 독립적으로 의미를 가지게 되므로 하나하나 연속될 때마다 의미가 추가된다. 예를 들면 Full shot에서 보여진 사람의 행동이 다음 shot에서도 연결성을 갖도록 편집하는 것이다. 앉아있는 모습이 shot에서 바로 걸어가는 모습을 보여줄 때 시청자는 시간적 연속성을 침해받고 내용이 심하게 생략된 느낌을 받게 된다. 이 때에는 cut away기법을 쓰거나 shot size를 크게 변화시켜 주어야 연속 편집이 된다. 연속편집은 나레이션 없이도 Natural Sound를 매개로 영상구성을 가능케 한다. 주의할 점은, 예를 든 것과 같이 점프 컷트가 생기는 것을 막아주어야 하며 화면속의 인물이나 상황을 설명할 때 이미지라인의 혼동이 있어서는 의미가 제대로 연결될 수 없으므로 시선이나 움직임의 방향을 맞추어 주어야 한다.
또 cutting의 시점을 잘 결정해 주여야 한다. 피사체가 움직이는 것을 cut했을 때나 방향이 바뀔 때 의미의 연결과 함께 동작의 연결을 부드럽게 해 주어야 한다.
② 교차 편집
두가지 이상의 사건을 서로 엇갈리게 편집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서로 다른 것을 대조시키고 긴박감을 조성하며 동시적인 상활을 교차적으로 연결시킴으로서 시청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게 한다. 하나의 상황이 진행되고 있을 때 시청자는 예고된 다른쪽의 반작용을 궁금하게 여긴다. 예를 들어 데모대와 진압부대의 엇갈린 상황은 관심이 대상이 된다. 이 때 양쪽의 상황을 교대로 한 cut씩 편집하게 되면 사건의 동시성과 극적 긴장감이 살아나게 된다.
③ 편성 편집
보통 나레이션을 매개로 화면을 연결해가는 방법이다. 화면의 영상은 구성적 연속성이 없이 편집되기 때문에 나레이션 없이는 충분한 의미 전달이 어렵다. 일부 보도 영상은 편성 편집의 방법을 쓰기도 하나 시각적 흐름이 단절되기 쉬우므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전달하는데 문제가 있다. 편성 편집은 나레이션에 크게 의존하게 되므로 특별한 기술적 편집 원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 편집의 실제
편집은
* 언제 어떻게 어떤 shot에서 다른 shot로 바꾸는가.
* shot을 어떻게 나누고 어디를 생략하는가.
* shot순서와 지속시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 알맞는 화면의 연결과 음성의 연결 기법은 무엇인가.
와 같은 장면 전환의 기술적 문제를 올바로 인식하고 해결하는 것이다. 이것은 촬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각적 오류를 극복하는 것은 물론 영상 언어를 효과적으로 성립시키고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2) 음향
▶ 오디오 작업
- 드라마의 기본은 동시녹음이다.
- 음악은 드라마와 함께 처음 부터 설계되어야 한다. 음악은 드라마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다. 요즘 드라마의 음악 비중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특히 유행하고 있는 트랜디 드라마는 각 주인공의 테마 음악을 설정하여 각 인물의 성격을 좀더 잘 반영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음악은 영상이나 언어로써 표현할수 없는 심리적인것을 표현하므로써 배경음악 이외에는 감정을 고조시키는 역할 담당하고 있다.
ex> 이브의 모든 것 중에서
진선미 Theme : 지금처럼만
형철 사랑의 Theme : 사랑을 전하는 마음으로
허영미 Theme : Road Runner
진선미 to 우진 Theme : Falling in Love
진선미 to 형철 Theme : 두고봐
진선미 to 형철 Theme : Watching you
▶ 프로그램중의 음악 사용
①장면의 전환
②다른 장면과의 동질성 확보를 위한 연결
③장면에 대한 작자의 의식을 표시
④등장인물의 심리상태 묘사
* 프로그램의 종료부분에 사용하면 기분을 마무리 짓고 여운을 남기게 하는 효과가 있다.
▶ 음악의 기능
- 음악은 내용자체를 보다 깊고 강하게 표현하는 기능을 갖고있다.
음악은 1)지적인 프로그램에서 정화작용을 한다.
2)작품의 주제를 강조한다.
3)계속성이 필요한 부분에서 음악은 유도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4)변화가 필요한 경우 음악은 전조작용을 한다.
5)음악의 율동에 의해 밸런스와 조화성을 확보한다.
☆ 드라마는 제 3의 현실이라고 할만큼 실제 우리의 모습을 제작하는 것이다. 한편의 드라마를 만드는 것은 많은 사람들의 꿈을 만드는 것이다☆
- Gobo : 조명으로 특수효가를 낼 때 사용
- back light : 인물의 윤곽을 확실하게 하고 입체감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조명이다. Key Light와는 반대 방향에서 인물의 45° 각도 높이에서 비치게 된다.
- key light : 주광. 인물을 비치는 주 조명이다. 피사체 눈 위치에서 30°∼40°각도의 높이로 비치며 순광이다.
- Fill Light : 보조광. 주광이 비치지 않은곳을 비춰 부드럽게 한다.
Key Light로 생성된 暗部를 보충하기 위한 조명이다. Fill Light는 카메라의 양측 위치에서 순광 또는 측광으로 다소 낮게 비치는 것이다.
▶ 컷 나누기의 원칙
1) 피사체의 공간 변화
2) 피사체의 시간적 환경 변화
3) 등장 인물의 환경 변화
4) 인물이 존재하는 시간 변화
5) 다른 각도의 그림
6) 분석적인 표현
4. 드라마의 탄생 -편집, 음향, 더빙
(1) 편집 - 제 2의 창조
모든 촬영은 편집을 염두해야 한다
▶ 더블액션 촬영- 편집을 위해 한씬은 두번세번 반복해서 찍는 것을 말한다. 그이유는 편집시 컷을 나누기 위한 것이다.
→ 연결부위의 액션이 맞아야 한다
→ 매치컷을 조합하는것-편집의 기본 달려오는 인물이 역동적으로 보임
→ 맞지않는것- 점프컷
동일한 포지션 동일한 앵글로 장면을 찍으면 좋지 않다 점프컷이 생긴다
줌인 다음에 줌인.. 풀샷다음에 풀샷 (x)
▶ 컷어웨이 기법: 매치되지 않는 컷을 연결하기 위해 다른 인서트컷을 삽입하는것
▶ 몽따쥬 기법: 쿨레슈프-에이젠슈타인
화면의 반전등을 위해 일부러 점프컷 사용
가. 편집기법
→ 액션 편집: 컷과컷 사이에 신체 동작의 연속성을 삽입
스크린 포지션 편집, 방향 편집, 동작 편집
여러가지 기법을 함께 사용
컨셉편집, 아이디어 편집: 표면적인 관련은 없지만 연결해서 보여주는것
나. 편집 유형
① 연속편집
화면내에서 시간, 장소, 내용적인 연속성이 중요시되는 편집방법이다. 매 shot은 독립적으로 의미를 가지게 되므로 하나하나 연속될 때마다 의미가 추가된다. 예를 들면 Full shot에서 보여진 사람의 행동이 다음 shot에서도 연결성을 갖도록 편집하는 것이다. 앉아있는 모습이 shot에서 바로 걸어가는 모습을 보여줄 때 시청자는 시간적 연속성을 침해받고 내용이 심하게 생략된 느낌을 받게 된다. 이 때에는 cut away기법을 쓰거나 shot size를 크게 변화시켜 주어야 연속 편집이 된다. 연속편집은 나레이션 없이도 Natural Sound를 매개로 영상구성을 가능케 한다. 주의할 점은, 예를 든 것과 같이 점프 컷트가 생기는 것을 막아주어야 하며 화면속의 인물이나 상황을 설명할 때 이미지라인의 혼동이 있어서는 의미가 제대로 연결될 수 없으므로 시선이나 움직임의 방향을 맞추어 주어야 한다.
또 cutting의 시점을 잘 결정해 주여야 한다. 피사체가 움직이는 것을 cut했을 때나 방향이 바뀔 때 의미의 연결과 함께 동작의 연결을 부드럽게 해 주어야 한다.
② 교차 편집
두가지 이상의 사건을 서로 엇갈리게 편집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서로 다른 것을 대조시키고 긴박감을 조성하며 동시적인 상활을 교차적으로 연결시킴으로서 시청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게 한다. 하나의 상황이 진행되고 있을 때 시청자는 예고된 다른쪽의 반작용을 궁금하게 여긴다. 예를 들어 데모대와 진압부대의 엇갈린 상황은 관심이 대상이 된다. 이 때 양쪽의 상황을 교대로 한 cut씩 편집하게 되면 사건의 동시성과 극적 긴장감이 살아나게 된다.
③ 편성 편집
보통 나레이션을 매개로 화면을 연결해가는 방법이다. 화면의 영상은 구성적 연속성이 없이 편집되기 때문에 나레이션 없이는 충분한 의미 전달이 어렵다. 일부 보도 영상은 편성 편집의 방법을 쓰기도 하나 시각적 흐름이 단절되기 쉬우므로 내용을 체계적으로 전달하는데 문제가 있다. 편성 편집은 나레이션에 크게 의존하게 되므로 특별한 기술적 편집 원칙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다. 편집의 실제
편집은
* 언제 어떻게 어떤 shot에서 다른 shot로 바꾸는가.
* shot을 어떻게 나누고 어디를 생략하는가.
* shot순서와 지속시간은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 알맞는 화면의 연결과 음성의 연결 기법은 무엇인가.
와 같은 장면 전환의 기술적 문제를 올바로 인식하고 해결하는 것이다. 이것은 촬영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각적 오류를 극복하는 것은 물론 영상 언어를 효과적으로 성립시키고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2) 음향
▶ 오디오 작업
- 드라마의 기본은 동시녹음이다.
- 음악은 드라마와 함께 처음 부터 설계되어야 한다. 음악은 드라마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다. 요즘 드라마의 음악 비중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특히 유행하고 있는 트랜디 드라마는 각 주인공의 테마 음악을 설정하여 각 인물의 성격을 좀더 잘 반영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음악은 영상이나 언어로써 표현할수 없는 심리적인것을 표현하므로써 배경음악 이외에는 감정을 고조시키는 역할 담당하고 있다.
ex> 이브의 모든 것 중에서
진선미 Theme : 지금처럼만
형철 사랑의 Theme : 사랑을 전하는 마음으로
허영미 Theme : Road Runner
진선미 to 우진 Theme : Falling in Love
진선미 to 형철 Theme : 두고봐
진선미 to 형철 Theme : Watching you
▶ 프로그램중의 음악 사용
①장면의 전환
②다른 장면과의 동질성 확보를 위한 연결
③장면에 대한 작자의 의식을 표시
④등장인물의 심리상태 묘사
* 프로그램의 종료부분에 사용하면 기분을 마무리 짓고 여운을 남기게 하는 효과가 있다.
▶ 음악의 기능
- 음악은 내용자체를 보다 깊고 강하게 표현하는 기능을 갖고있다.
음악은 1)지적인 프로그램에서 정화작용을 한다.
2)작품의 주제를 강조한다.
3)계속성이 필요한 부분에서 음악은 유도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4)변화가 필요한 경우 음악은 전조작용을 한다.
5)음악의 율동에 의해 밸런스와 조화성을 확보한다.
☆ 드라마는 제 3의 현실이라고 할만큼 실제 우리의 모습을 제작하는 것이다. 한편의 드라마를 만드는 것은 많은 사람들의 꿈을 만드는 것이다☆
추천자료
TV 프로그램 비평
마케팅전략-TV광고를 이용한 삼양 감자라면의 매체 전략
인터렉트TV 실현가능성과 미래상분석(뉴미디어)
[가학성][선정성][폭력성][TV프로그램]가학성, 선정성, 폭력성 TV프로그램의 유형과 가학성, ...
[TV뉴스][텔레비전뉴스][뉴스][언론][뉴스보도][취재][기사]TV뉴스의 유형, TV뉴스의 구조, T...
좋아하는 TV 프로그램에 대하여 (영작)
TV문학관 소나기 연구
[문학과 이야기][TV와 이야기][텔레비전][인터넷과 이야기][이야기의 전승방향][이야기][문학...
방송교육(TV방송의 교육적 활용)의 정의와 특성, 방송교육(TV방송의 교육적 활용)의 필요성과...
[소셜TV]소셜티비(social tv) 열풍, 왜? - 소셜TV의 등장 배경, 정의 및 특징, 영향, 주요 서...
[케이블티비, 케이블TV, 요금정책, 편성정책]케이블티비(케이블TV)의 개념, 태동, 케이블티비...
[HD TV]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의 의의, 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와 디지털방...
HD TV(고화질, 고선명 텔레비전) 정의, 특징, HD TV(고화질, 고선명 텔레비전) 의의, 동향, H...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