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flexible display의 이용의 예
본론 - 1. flexible display의 정의
- 2. flexible display의 종류
① 유기 EL
② 전자 종이
③ 플라스틱 디스플레이
- 3. 유기 EL
① 유기 EL의 정의
② 유기 EL의 구조 및 작동원리
③ 유기 EL film display
④ 유기 EL film display의 응용 및 국내의 동향
- 4. 전자종이
결론 - 1. flexible display의 발전 방향
2. flexible display의 미래 전망 및 과제
본론 - 1. flexible display의 정의
- 2. flexible display의 종류
① 유기 EL
② 전자 종이
③ 플라스틱 디스플레이
- 3. 유기 EL
① 유기 EL의 정의
② 유기 EL의 구조 및 작동원리
③ 유기 EL film display
④ 유기 EL film display의 응용 및 국내의 동향
- 4. 전자종이
결론 - 1. flexible display의 발전 방향
2. flexible display의 미래 전망 및 과제
본문내용
로 Micro Capsule형 쪽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자통신연구소 및 일부 대학부설 연구소 중심으로 진행 중이다.
-전망 및 과제
2005년 11억달러의 시장 형성될 전망
현재 e-Paper는 시제품 생산과 함께 옥외간판/대형 백화점 등에서 옥외 광고용으로 일부 시 범적인 테스트를 거치는 단계이다.
2004년에는 전자종이 상용화 제품이 PDA등 이동통신기기를 중심으로 이용되기 시작하고, 전 자책(e-Book)의 시제품도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조사기관인 Gartner는 e-Paper 산업의 2005년 시장규모를 11억달러로 전망하였으며, 일본 Nikkei전자는 e-Papertks업의 잠재시장 규모를 약 3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기 도 하다. 현재 0.3mm까지 진행 된 두께의 Slim화는 2005년이면 실제 종이와 두께까지 진전될 것으로 예상하며, 2010년에는 잡지나 책을 전자종이가 대체해 나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주요 수요산업군은 전자책, 전자신문, PDA, Hand-Held PC, 광고판, Show WindowDisplay 등으로 다양할 전망이다.
향후 종이를 대체 하는 정보 기록/전달 매체로 부상할 전망
1.가격, 표시 지속시간, 신뢰성 문제, 컬러화
2.읽기 편해야 하며 표시와 소거가 용이해야 함.
3.동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빠른 응답속도
4.낮은 에너지 소비(LCD의 1000분의 1 수준까지 도달 전망)
5.Killer Application의 발굴
향후 e-Paper는 기술 발전 및 보편화는 현재의 CRT에서 FPD(평판 디스플레이) 흐름에서 일 어나고 있는 변화와는 달리 디스플레이 산업 전반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수천 년간 정 보의 기록/전달을 맡아 온 종이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책, 신문, 잡지 등 출판업의 유통이 Off-line에서 On-line으로 이동하며, 동화상 구현도 가능해져 방송 산업과 융합이 진행될 것이 기대된다.
LCD, PDP 등 기존 디스플레이를 대체할 새로운 형태의 얇고 간편한 모바일 기기 등장
옷과 같이 유연한 제품에 부착하여 정보나 광고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져 유통 및 광고업계의 신 비즈니스 모델 등장할 전망이다.
3. flexible display의 발전 방향
-해외
당분간 Pioneer, Seiko-Epson, Sanyo, Toshiba, Sony등이 시장 주도할 전망이다.
Pioneer는 1999년 세계 최초 유기EL 상용화하였고 자동차 오디오 분야의 선두주자로써 이동전 화단말기용 유기EL 양산 하여 Motorola에 공급하고 있다.
Sanyo는 SK Display (2001. 12 Eastman Kodak)를 만들었고 유기회로 기판 생산기술을 보유 하고 있다. Kodak역시 유기EL 기본 특허 보유하고 있다. 특히 Sanyo2″ 유기 EL Display 생 Full-color 유기EL Display 를 장착한 모바일 폰 생산 계획하고 있다.
TM Display (TMD)를 Tosiba, Mataushita 합자기업이 생산하고 있으며 STN-LCD 생산포기하였 다. LTPS와 유기EL 양산에 주력하고 있으며 PDA, 노트북용 유기 띠 생산 계획 이다. SONY는 13″ Full-Color 유기EL 개발하였으며 저분자방식의 유기EL 분야의 선두주자이다. 지 금은 PDA, 노트북용 유기EL 개발 계획에 있다.
-국내
1990년 중반부터 유기EL 개발 연구 / 현재 유기EL 패널의 본격 생산하고 있다. SDI는 SNMD (2001, NEC) 개발하였고 국내최초 수동형 Full-color 유기EL 양산에 힘쓰고 있다. 1″ 256 color 수동형 유기EL 에서 2″ 생산 계획을 추진 중이며 대형화에 유리한 능동형 유기EL 연구하고 있다.
현대는 LCD Mobile용 Display, 전장용 유기EL이동전화, IMT2000, PDA, 카 오디오용 유기EL을 개발하고 있다.
LG전자, 오리온 전기, 네스디스플레이 등도 일본, 한국, 대만이 동시에 사업 추진, 경쟁하고 있 다.
4. flexible display 미래전망 및 과제
디스플레이 서치에 의하면 2005년까지 디스플레이 성장률이 2000년 1억1300만 달
(약 1300억원)에서 2005년 12억2100만 달러
(약 1조4600억원) →연평균 107.8% 성장률
예상하고 있다.
앞으로의 과제는 제품의 다변화와 기술력 향상, 비용절감, 생산성 향상에서 대화면 Display로의 시장 확대가 남은 과제이다.
5. 참고문헌
http://www.ktsk.co.kr
http://203.235.31.3:8091/Epublic/attachfile/유기EL디스플레이, 유기EL 디스플레이(OLED)의 현황과 전망 http://www.kisdi.re.kr/imagedata/pdf/20/2020030108.pdf , 유기EL http://imt.chungbuk.ac.kr/pds_file/2002070160209.hwp , 유기EL 산업 및 기술개발 동향 http://www.prosys87.co.kr/news/oled39.htm , 유기EL http://my.dreamwiz.com/g9820204/el_intro.htm, 유기 EL (Organic Electroluminescence) http://www.vacuum.or.kr/pds-a-2002/updata/유기EL 소자제작.hwp
http://physics.hanyang.ac.kr/~boss/wiki/moin.cgi/유기EL http://isdnt.chungbuk.ac.kr/research/el.htm
http://www.studybusiness.com
http://www.samsungsdi.co.kr/삼성 SDI
http://displaybank.co.kr/디지플레이 뱅크
http://dt.co.kr/디지털 타임즈
전자부품 연구원, “유기 LCD 기술의 등장, 현황 그리고 발전방향” 2001.4
월간 display, “Plastic film 액정 표시 장치의 향후 전망” 2000.8
전자부품 연구원, “디스플레이 재료 기술 동향” 2003.7
-전망 및 과제
2005년 11억달러의 시장 형성될 전망
현재 e-Paper는 시제품 생산과 함께 옥외간판/대형 백화점 등에서 옥외 광고용으로 일부 시 범적인 테스트를 거치는 단계이다.
2004년에는 전자종이 상용화 제품이 PDA등 이동통신기기를 중심으로 이용되기 시작하고, 전 자책(e-Book)의 시제품도 개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조사기관인 Gartner는 e-Paper 산업의 2005년 시장규모를 11억달러로 전망하였으며, 일본 Nikkei전자는 e-Papertks업의 잠재시장 규모를 약 3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기 도 하다. 현재 0.3mm까지 진행 된 두께의 Slim화는 2005년이면 실제 종이와 두께까지 진전될 것으로 예상하며, 2010년에는 잡지나 책을 전자종이가 대체해 나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주요 수요산업군은 전자책, 전자신문, PDA, Hand-Held PC, 광고판, Show WindowDisplay 등으로 다양할 전망이다.
향후 종이를 대체 하는 정보 기록/전달 매체로 부상할 전망
1.가격, 표시 지속시간, 신뢰성 문제, 컬러화
2.읽기 편해야 하며 표시와 소거가 용이해야 함.
3.동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빠른 응답속도
4.낮은 에너지 소비(LCD의 1000분의 1 수준까지 도달 전망)
5.Killer Application의 발굴
향후 e-Paper는 기술 발전 및 보편화는 현재의 CRT에서 FPD(평판 디스플레이) 흐름에서 일 어나고 있는 변화와는 달리 디스플레이 산업 전반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수천 년간 정 보의 기록/전달을 맡아 온 종이를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책, 신문, 잡지 등 출판업의 유통이 Off-line에서 On-line으로 이동하며, 동화상 구현도 가능해져 방송 산업과 융합이 진행될 것이 기대된다.
LCD, PDP 등 기존 디스플레이를 대체할 새로운 형태의 얇고 간편한 모바일 기기 등장
옷과 같이 유연한 제품에 부착하여 정보나 광고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져 유통 및 광고업계의 신 비즈니스 모델 등장할 전망이다.
3. flexible display의 발전 방향
-해외
당분간 Pioneer, Seiko-Epson, Sanyo, Toshiba, Sony등이 시장 주도할 전망이다.
Pioneer는 1999년 세계 최초 유기EL 상용화하였고 자동차 오디오 분야의 선두주자로써 이동전 화단말기용 유기EL 양산 하여 Motorola에 공급하고 있다.
Sanyo는 SK Display (2001. 12 Eastman Kodak)를 만들었고 유기회로 기판 생산기술을 보유 하고 있다. Kodak역시 유기EL 기본 특허 보유하고 있다. 특히 Sanyo2″ 유기 EL Display 생 Full-color 유기EL Display 를 장착한 모바일 폰 생산 계획하고 있다.
TM Display (TMD)를 Tosiba, Mataushita 합자기업이 생산하고 있으며 STN-LCD 생산포기하였 다. LTPS와 유기EL 양산에 주력하고 있으며 PDA, 노트북용 유기 띠 생산 계획 이다. SONY는 13″ Full-Color 유기EL 개발하였으며 저분자방식의 유기EL 분야의 선두주자이다. 지 금은 PDA, 노트북용 유기EL 개발 계획에 있다.
-국내
1990년 중반부터 유기EL 개발 연구 / 현재 유기EL 패널의 본격 생산하고 있다. SDI는 SNMD (2001, NEC) 개발하였고 국내최초 수동형 Full-color 유기EL 양산에 힘쓰고 있다. 1″ 256 color 수동형 유기EL 에서 2″ 생산 계획을 추진 중이며 대형화에 유리한 능동형 유기EL 연구하고 있다.
현대는 LCD Mobile용 Display, 전장용 유기EL이동전화, IMT2000, PDA, 카 오디오용 유기EL을 개발하고 있다.
LG전자, 오리온 전기, 네스디스플레이 등도 일본, 한국, 대만이 동시에 사업 추진, 경쟁하고 있 다.
4. flexible display 미래전망 및 과제
디스플레이 서치에 의하면 2005년까지 디스플레이 성장률이 2000년 1억1300만 달
(약 1300억원)에서 2005년 12억2100만 달러
(약 1조4600억원) →연평균 107.8% 성장률
예상하고 있다.
앞으로의 과제는 제품의 다변화와 기술력 향상, 비용절감, 생산성 향상에서 대화면 Display로의 시장 확대가 남은 과제이다.
5. 참고문헌
http://www.ktsk.co.kr
http://203.235.31.3:8091/Epublic/attachfile/유기EL디스플레이, 유기EL 디스플레이(OLED)의 현황과 전망 http://www.kisdi.re.kr/imagedata/pdf/20/2020030108.pdf , 유기EL http://imt.chungbuk.ac.kr/pds_file/2002070160209.hwp , 유기EL 산업 및 기술개발 동향 http://www.prosys87.co.kr/news/oled39.htm , 유기EL http://my.dreamwiz.com/g9820204/el_intro.htm, 유기 EL (Organic Electroluminescence) http://www.vacuum.or.kr/pds-a-2002/updata/유기EL 소자제작.hwp
http://physics.hanyang.ac.kr/~boss/wiki/moin.cgi/유기EL http://isdnt.chungbuk.ac.kr/research/el.htm
http://www.studybusiness.com
http://www.samsungsdi.co.kr/삼성 SDI
http://displaybank.co.kr/디지플레이 뱅크
http://dt.co.kr/디지털 타임즈
전자부품 연구원, “유기 LCD 기술의 등장, 현황 그리고 발전방향” 2001.4
월간 display, “Plastic film 액정 표시 장치의 향후 전망” 2000.8
전자부품 연구원, “디스플레이 재료 기술 동향” 20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