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부 영화사 읽기와 조사작업 그리고 쓰기
제 1장 역사로서의 영화사
제 2장 영화사 조사 작업
제 3장 영화사 읽기
제 2부 영화사의 전통적인 접근방식들
제 4장 미학적인 영화사
제 5장 기술적인 영화사
제 6장 경제적인 영화사
제 7장 사회적인 영화사
제 8장 영화사 쓰기
제 9장 통합적인 관점에서 본 영화사
제 1장 역사로서의 영화사
제 2장 영화사 조사 작업
제 3장 영화사 읽기
제 2부 영화사의 전통적인 접근방식들
제 4장 미학적인 영화사
제 5장 기술적인 영화사
제 6장 경제적인 영화사
제 7장 사회적인 영화사
제 8장 영화사 쓰기
제 9장 통합적인 관점에서 본 영화사
본문내용
것을 보는 관객 사이의 장벽을 없애려고 한다. 『시네마 베리테는』조작되지 않은 현실에 대한 믿음, 다시 말해서 인생 그대로를 속임수 없이 보여주겠다는 현실적 방법이다.
시네마 베리테는 1960년대 초에 본격적인 아방가르드 예술 운동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시네마 베리테는 공통적인 양식상의 특징을 지닌 일군의 작품들뿐만 아니라 데이비드 보드웰이 말했듯이, “내적으로는 일관성이 있는 입장을 유지하면서 외적으로는 기존의 양식에 도전하는 논증, 이론 또는 모든 활동들”을 가리킨다.
시네마 베리테의 양식상의 특징들--예를 들면, 음악과 보이스-오버나레이션을 피하고, 통제되지 않은 현상을 가능하면 충실하게 기록하는 것-- 때문에, 시네마 베리테가 정치와는 거의 무관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넓은 의미에서 볼 때 모든 영화는 정치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그것은 “객관적”이라는 시네마 베리테조차 예외가 아니다. 게다가 영화사에서 모든 양식상의 변화는 구체적인 정치적, 사회적 배경을 깔고 있다. “클로즈-업”시리즈에 포함된 영화들이나 전반적인 시네마 베리테의 철학적인 전제들은 소위 “미국 자유주의”라 불리는 정치적 양상과 무관하지 않다.
아방가르드 운동으로 본 시네마 베리테의 목표는 영화를 가능한 한 투명한 매체로 만들고, 제작자의 조작 가능성에 상당한 제한을 두면서 세상의 진실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시네마 베리테 감독은 중립적인 관찰자이지 논쟁자가 아니다. 그러나 시네마 베리테가 희망하는 것이 가치 중립적이라고는 볼 수 없다. 철학적으로 볼 때, 시네마 베리테는 암묵적으로 경험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시네마 베리테는 어떤 주어진 상황의 “진실”은 편견과 이기심이 없는 관찰자가 관찰하고 기록할 때 정해진다는 경험주의적 개념을 전제로 한다.
경험주의 관찰은 우리에게 이데올로기를 통해서 어떻게 세상이 잘 돌아가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지를 가르쳐준다.
시네마 베리테 양식은 영화를 통해서 현실을 관찰함으로써 모든 사회 불평등의 문제가 밝혀지고, 그 문제들은 사회제도를 수정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전제하는 점에서 철학적이고 자유주의적인 관점과 일치한다.
미국의 시네마 베리테의 초기 역사는 여러 가지 메커니즘들이 상호 작용한 결과이다.
기술의 발명과 개발은 다큐멘타리 제작을 위해서보다는 제 2차 세계대전 중의 군사적 필요에 의해서, 또한 방송 기업 및 우주 개발 계획의 필요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시네마 베리테는 1960년대 초에 본격적인 아방가르드 예술 운동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시네마 베리테는 공통적인 양식상의 특징을 지닌 일군의 작품들뿐만 아니라 데이비드 보드웰이 말했듯이, “내적으로는 일관성이 있는 입장을 유지하면서 외적으로는 기존의 양식에 도전하는 논증, 이론 또는 모든 활동들”을 가리킨다.
시네마 베리테의 양식상의 특징들--예를 들면, 음악과 보이스-오버나레이션을 피하고, 통제되지 않은 현상을 가능하면 충실하게 기록하는 것-- 때문에, 시네마 베리테가 정치와는 거의 무관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넓은 의미에서 볼 때 모든 영화는 정치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그것은 “객관적”이라는 시네마 베리테조차 예외가 아니다. 게다가 영화사에서 모든 양식상의 변화는 구체적인 정치적, 사회적 배경을 깔고 있다. “클로즈-업”시리즈에 포함된 영화들이나 전반적인 시네마 베리테의 철학적인 전제들은 소위 “미국 자유주의”라 불리는 정치적 양상과 무관하지 않다.
아방가르드 운동으로 본 시네마 베리테의 목표는 영화를 가능한 한 투명한 매체로 만들고, 제작자의 조작 가능성에 상당한 제한을 두면서 세상의 진실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시네마 베리테 감독은 중립적인 관찰자이지 논쟁자가 아니다. 그러나 시네마 베리테가 희망하는 것이 가치 중립적이라고는 볼 수 없다. 철학적으로 볼 때, 시네마 베리테는 암묵적으로 경험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시네마 베리테는 어떤 주어진 상황의 “진실”은 편견과 이기심이 없는 관찰자가 관찰하고 기록할 때 정해진다는 경험주의적 개념을 전제로 한다.
경험주의 관찰은 우리에게 이데올로기를 통해서 어떻게 세상이 잘 돌아가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지를 가르쳐준다.
시네마 베리테 양식은 영화를 통해서 현실을 관찰함으로써 모든 사회 불평등의 문제가 밝혀지고, 그 문제들은 사회제도를 수정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전제하는 점에서 철학적이고 자유주의적인 관점과 일치한다.
미국의 시네마 베리테의 초기 역사는 여러 가지 메커니즘들이 상호 작용한 결과이다.
기술의 발명과 개발은 다큐멘타리 제작을 위해서보다는 제 2차 세계대전 중의 군사적 필요에 의해서, 또한 방송 기업 및 우주 개발 계획의 필요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