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협동학습의 이론
1. 협동학습이란 무엇인가
(1)협동학습의 개념
(2)협동학습의 역사
(3)협동학습의 의의
2. 협동학습의 기본적 원리
3. 전통적 소집단 학습과 협동학습의 비교
4. 협동학습의 장단점과 개선처방
(1)협동학습의 장점
(2)협동학습의 단점
(3)단점 보완하기 위한 기본방안
5. 협동학습의 유형
6. 협동학습 기술의 훈련

II. 협동학습의 실제
1. 협동학습 절차와 수업기술
2. 협동학습의 예시
3. 협동학습의 실태

III. 결론

본문내용

활동)→③시에 대한 내용을 서로 묻고 대답하기(짝활동)→
④ 시를 읽고 일부를 바꾸어 표현한다면 무엇을 쓰고 싶은지 돌아가며 말하기→
⑤ 시의 일부를 바꾸어 쓰기, 서로 교환하여 읽고 점검하기
학습 자료
참고사이트
http://www.emstudy.net/menu2/4-1/korean/read2-2.htm
(시의 일부 바꾸어 표현하기)
단계
학습과정
교 수 학 습 활 동
시간
자료 및
유의점
도입
동기유발
학습문제
확 인
◈ ‘떡볶이’하면 떠오르는 생각 발표하기
‘떡볶이’를 모두 먹어본 경험이 있지요? ‘떡볶이’라는 낱말로 생각 지도를 만들어 보세요.
- ‘떡볶이’하면 눈물, 맵다, 친구, 맛있다 등이 생각납니다.
- ‘떡볶이’로 생각지도 만들기
◈ 학습 문제 찾기
읽기 책 46~47쪽을 보고 학습 문제를 발표해 보세요.
- 시를 읽고 느낌을 말할 것 같아요.
- 시의 일부를 바꾸어 표현해 보기를 할 것 같아요.
7′
※시 제재가 ‘떡볶이’이므로 다양한 경험을 위해 브레인스토밍을 권장하는 것도 좋다.
생각지도
학습지
시를 읽고 시의 일부를 바꾸어 표현해보자.
학습방법 안 내
모둠구성
◈ 학습 방법 익히기
교사가 시를 읽고, 시의 일부를 바꾸어 표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시범 보이기)
시를 소리내어 읽고 듣기(짝 활동)
읽은 시에 대한 내용을 서로 묻고 대답하기(짝 활동)
시를 읽고 일부를 바꾸어 표현한다면 무엇을 쓰고
싶은지 돌아가며 말하기
시의 일부를 바꾸어 쓰기, 서로 교환하여 읽고 점검하기
◈ 모둠 재구성
읽기 이해 수준에 따른 3개의 능력별 소집단 구성
- 읽기 집단 내에서 2명씩 짝 만들기
3′
단계
학습과정
교 수 학 습 활 동
시간
자료 및
유의점
전개

들려주기
짝 활 동
학 습 지
배 포
짝 점 검
◈ 시 ‘떡볶이’ 들려주기
시를 낭독하기
시의 일부를 바꾸어 표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 시를 읽고 듣기
시를 소리내어 읽고 듣기(짝 활동)
- 시를 읽으며 낭독이 잘 안 되는 부분을 지적해 준다.
시를 읽으면 어떤 장면이 떠올려지나요?
- 맛있게 떡볶이를 먹고 있는 장면
- 매워서 호호 불고 있는 장면이 떠올려집니다.
◈ ‘떡볶이’의 바꾸어 쓸 내용 생각하기
협동 학습지를 하면서 어떻게 내용을 바꾸어 쓸 수 있는지 짝과 함께 토의하기
떡볶이의 맛에 대해서 생각나는 대로 말해 보세요.
- 매콤하고 달콤하고 쫄깃쫄깃하다.
- 꿀떡 넘어간다. 부들부들하다. 쫀득쫀득하다. 등
누구와 함께 떡볶이를 먹고 싶습니까?
- 사랑하는 가족과 함께 먹고 싶어
- 짝궁과 함께, 내 동생과 마주 앉아, 가족끼리 둘러앉아, 친구들끼리 웃어가며 등
◈ ‘떡볶이’의 일부 바꾸어 쓰기
시의 일부 바꾸어 쓰기를 완성하세요.
◈ 짝에게 시의 내용 발표하기
일부를 바꾸어 쓴 시를 짝과 함께 읽고 들어보세요.
◈ 활동 확인 및 점검
짝이 바꾸어 쓴 시가 잘 쓰여져 있는지 점검해 주세요.
- 서로 바꾸어 읽고 재미있는 부분, 잘 표현된 부분, 고쳐야 할 부분 등을 점검한다.
10′
15′
녹음기
협동학습지
정리
내용정리
평 가
◈ 일부를 바꾸어 쓴 시 발표하기
고쳐 쓴 시를 발표하세요.(1, 2명 정도 발표하게 한다.)
◈ 평가하기
다른 시의 일부를 바꾸어 써 보고 짝과 교환하여 감상해 보세요.
5′
평 가 관 점
시의 일부를 바꾸어 표현할 수 있는가?
평 가 척 도
평 가 기 준
- 시의 일부를 바꾸어 표현할 수 있다.
- 바꾸어 쓴 시를 바르게 낭독할 수 있다.

모두 만족

한 가지 만족

만족 못함
평 가 방 법
협동학습지, 관찰
3. 협동학습 실태 (출처 : 2004 교수학습연구부 주관 사회과 교수학습모형공개보고회 - 인터넷과 함께하는 사회과 프로젝트 협동학습 모형 )
(1). 응답자 현황
구분
N=35
비율(%)
근무지역
강남교육청내
25
71%
강북교육청내
6
17%
농어촌
4
12%
교직경력
3년 이하
1
3%
4-10년 이하
10
29%
10-20년 이하
15
42%
20년 초과
9
26%

(2) 주요 내용 분석
문항 영역
강의식 일제수업
(%)
문답식 토의수업
(%)
문제해결
중심수업
(%)
ICT활용
수업
(%)
소집단 협력수업
(%)
평소 자주 하는
수업 형태는?
23(66%)
6(17%)

2(6%)
4(11%)

위 표의 결과를 분석해보면 교사들이 평소 자주하는 수업형태는 강의식 일제수업이 53%로 가장 많았으며, 문제해결 중심수업이나 ICT활용 수업, 소집단협력수업의 비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 영역
개인 포트 폴리오만들기
(%)
프로젝트 협동학습평가
(%)
태도 평가
(%)
기타
(%)
수행 평가시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은?
19(54%)
2(6%)
4(11%)
10(29%)

위 표의 결과를 분석해보면 수행평가시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으로 개인 보고서 만들기를 가장 많이 시행하고 있으며, 모둠별 평가 및 태도평가의 비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시사점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는 심화보충형 수준별수업을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 심화보충형 과제 해결에 유용한 소집단 협력수업의 비중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수행평가에서도 개인적인 과제해결이 높은 비중을 나타내고 있어 평소 소집단 협동학습에 대한 평가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소집단 협동학습이 수준별 수업에 도움을 주긴 하지만 준비과정 및 절차상의 번거로움, 평가에 있어 불이익 등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III. 결론
협동학습은 새로운 개념이나 수업방법은 아니다. 전통적인 소집단 학습에서 야기되는 부익부 현상, 무임승객효과 같은 단점을 보완하고 협력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집단보상과 협동기술을 추가한 것이다. 전통적인 소집단 학습과 달리 협동학습은 긍정적 상호의존성, 개별 책무성, 구성원의 이질성, 공유하는 지도력, 과제와 구성원과의 관계의 지속성, 사회적 기능, 교사의 관찰과 개입, 그리고 집단과정을 중시한다. 아직까지 협동학습이 수업에 완전히 정착 되지는 않았지만 여러 가지 협동학습 방법들이 우리 교실에서 성곡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전략 탐구를 위한 교사들의 창의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6.12.22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42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