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의 정의
2.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의 보전이유
3. 지역별 희귀식물 보전계획 수립시 고려사항
4.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 현황 보존현황
5. 멸종위기 식물 지정현황(환경부)
6. 복원계획의 중요성 및 국내외 사례
2.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의 보전이유
3. 지역별 희귀식물 보전계획 수립시 고려사항
4.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 현황 보존현황
5. 멸종위기 식물 지정현황(환경부)
6. 복원계획의 중요성 및 국내외 사례
본문내용
물 수출·입 승인 등
CITES 관련 수출·입시 인·허가 대상품목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 (환경부 해당품목)
CITES품목중 조류, 포유류(고래목 제외)를 제외한 품목 (환경부고시 제1995-127호, '95.11.23)
8.복원계획의 중요성 및 국내외 사례
(1)복원계획 수립의 중요성
최근 우리 나라에서도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 종과 그 서식처의 보전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일부 종을 대상으로 하여 실제적인 복원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업의 수행시 우리가 현실적으로 직면하는 문제는 대개 두 가지로 요약되는 데, 첫째 훼손된 종의 유전적인 측면까지를 포함하여 원래의 종과 동일한 개체나 집단을 어느 정도까지 찾아낼 수 있을까 하는 것과, 둘째 어떻게 하는 것이 이미 훼손된 서식처를 원래 모습대로 복원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하는 문제이다. 그러나 보다 심각한 문제는 우리가 복원하고자 하는 식물종과 서식처에 대하여 축적된 정보가 너무 빈약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복원계힉을 수립, 사업을 실시하기 전에 대상종의 형태학적, 생태학적 및 생물학적인 개념을 포괄한 의미에서의 종생물학적, 집단 생물학적인 특성을 규명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복원계획은 야생상의 종이나 군집의 회복을 위해 필요로 하는 세부계획, 일정 및 연구의 수행을 위한 소요경비 등에 관한 일련의 계획서이가. 특히 중요한 것은 복원계획은 하나의 종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작성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복원계획이란 현재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로 규종된 식물종 및 집단을 대상으로 적절한 관리를 통하여 이들이 앞으로 더 이상 위협상태에 놓이지 않게 하거나 궁극적으로는 멸종을 방지하고자 하는 적극적이고 종합적인 종 및 서식처 관리기술의 일종이다. 또한 복원계획은 자생지의
파괴뿐만 아니라 앞으로 자생지의 규모가 점차 감소하는 경우에 새로운 집단을 도입시켜서 보다 활력있는 집단으로 유지, 관리할 경우에도 필요하다. 따라서 복원계획은 인간본위의 자생지 복원이 아니라 식물 자체로서의 관점에서 우리들이 알아낼 수 있는 모든 점들을 파악하여 실제로 이들 식물들이 보다 활력있는 집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지금까지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의 자생지 복원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식물종의 분류학 및 생태학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식물종을 이용하여 이식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식물이란 서식처 환경의 절대적인 지배를 받으며 살아간다는 사실을 미루어 본다면 동일종에 있어서도 이들의 산지를 포함한 생물학적, 분류학적 및 생태학적인 제반문제를 충분히 검토한 후 복원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2)국내 멸종위기 생물 복원사업 현황
①산림청 임업연구원: 임업연구원내 흥릉수목원은 이래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수목원의 하나로 많은 수종들이 식재되어 온 곳이다. 따라서 몇 가지 수종들의 경우 현재 자생지에서는 사라졌지만 수목원의 현지외 보존으로 살아 남았다. 소규모이기는 하지만 사라진 식물을 복원시킨 매우 의미있는 여어 복원사업이 이루어진 바 있다.
②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협회는 보존사업에 있어서는 가장 전통있는 기관의 하나이다. 지난 수십년간 전국의 주요 산, 도서 지방 등 우리나라 동식물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학술조사를 꾸준히 실시해 왔다. 이에 따라 멸종, 희귀식물, 위기식물의 형황과 분포지역을 표시한 책자를 발간하므로써 복원사업이 실시될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고, 제주도 섭섬의 파초일엽 복원사업에 참여 하였다.
③한국기자협회: 한국기자협회에서는 1994년 복원 사업본부를 마련하고 을릉도 고추냉이 및 설악산 솜다리 복원사업을 실시한 바 있으며 앞으로 꾸준히 본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는 자연보존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영향력 있는 민간 단체의 자발적인 발의와 활동으로 시작된 사업이므로 더욱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④기타: 우리 나라 희귀, 멸종 위기식물이 집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제주도 에서는
도에서 주관하여 혹난, 풍난, 차걸이난 등의 난초류를 비롯한 멸종위기 종 또는 이미 자생지에서 멸종된 종을 증식, 복원을 시도한 바 있다. 또 백서향, 문주란, 파초일엽 등은 많은 증식 및 보급에 따라 더 이상 자생지에서의 파괴 위협이 사라진 종이다. 그 밖에 한국난협회가 1978년 나도풍란과 풍란을 제주도의 상록 활엽수림지에 복원하였으며, 이 밖에도 자생난초 동우회에서도 부분적으로나마
이러한 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현재 정확한 집계는 되지 않고 있다.
CITES 관련 수출·입시 인·허가 대상품목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 (환경부 해당품목)
CITES품목중 조류, 포유류(고래목 제외)를 제외한 품목 (환경부고시 제1995-127호, '95.11.23)
8.복원계획의 중요성 및 국내외 사례
(1)복원계획 수립의 중요성
최근 우리 나라에서도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 종과 그 서식처의 보전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일부 종을 대상으로 하여 실제적인 복원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업의 수행시 우리가 현실적으로 직면하는 문제는 대개 두 가지로 요약되는 데, 첫째 훼손된 종의 유전적인 측면까지를 포함하여 원래의 종과 동일한 개체나 집단을 어느 정도까지 찾아낼 수 있을까 하는 것과, 둘째 어떻게 하는 것이 이미 훼손된 서식처를 원래 모습대로 복원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하는 문제이다. 그러나 보다 심각한 문제는 우리가 복원하고자 하는 식물종과 서식처에 대하여 축적된 정보가 너무 빈약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복원계힉을 수립, 사업을 실시하기 전에 대상종의 형태학적, 생태학적 및 생물학적인 개념을 포괄한 의미에서의 종생물학적, 집단 생물학적인 특성을 규명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복원계획은 야생상의 종이나 군집의 회복을 위해 필요로 하는 세부계획, 일정 및 연구의 수행을 위한 소요경비 등에 관한 일련의 계획서이가. 특히 중요한 것은 복원계획은 하나의 종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작성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복원계획이란 현재 희귀 및 멸종 위기식물로 규종된 식물종 및 집단을 대상으로 적절한 관리를 통하여 이들이 앞으로 더 이상 위협상태에 놓이지 않게 하거나 궁극적으로는 멸종을 방지하고자 하는 적극적이고 종합적인 종 및 서식처 관리기술의 일종이다. 또한 복원계획은 자생지의
파괴뿐만 아니라 앞으로 자생지의 규모가 점차 감소하는 경우에 새로운 집단을 도입시켜서 보다 활력있는 집단으로 유지, 관리할 경우에도 필요하다. 따라서 복원계획은 인간본위의 자생지 복원이 아니라 식물 자체로서의 관점에서 우리들이 알아낼 수 있는 모든 점들을 파악하여 실제로 이들 식물들이 보다 활력있는 집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지금까지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의 자생지 복원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식물종의 분류학 및 생태학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식물종을 이용하여 이식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식물이란 서식처 환경의 절대적인 지배를 받으며 살아간다는 사실을 미루어 본다면 동일종에 있어서도 이들의 산지를 포함한 생물학적, 분류학적 및 생태학적인 제반문제를 충분히 검토한 후 복원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2)국내 멸종위기 생물 복원사업 현황
①산림청 임업연구원: 임업연구원내 흥릉수목원은 이래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수목원의 하나로 많은 수종들이 식재되어 온 곳이다. 따라서 몇 가지 수종들의 경우 현재 자생지에서는 사라졌지만 수목원의 현지외 보존으로 살아 남았다. 소규모이기는 하지만 사라진 식물을 복원시킨 매우 의미있는 여어 복원사업이 이루어진 바 있다.
②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협회는 보존사업에 있어서는 가장 전통있는 기관의 하나이다. 지난 수십년간 전국의 주요 산, 도서 지방 등 우리나라 동식물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학술조사를 꾸준히 실시해 왔다. 이에 따라 멸종, 희귀식물, 위기식물의 형황과 분포지역을 표시한 책자를 발간하므로써 복원사업이 실시될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고, 제주도 섭섬의 파초일엽 복원사업에 참여 하였다.
③한국기자협회: 한국기자협회에서는 1994년 복원 사업본부를 마련하고 을릉도 고추냉이 및 설악산 솜다리 복원사업을 실시한 바 있으며 앞으로 꾸준히 본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는 자연보존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영향력 있는 민간 단체의 자발적인 발의와 활동으로 시작된 사업이므로 더욱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④기타: 우리 나라 희귀, 멸종 위기식물이 집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제주도 에서는
도에서 주관하여 혹난, 풍난, 차걸이난 등의 난초류를 비롯한 멸종위기 종 또는 이미 자생지에서 멸종된 종을 증식, 복원을 시도한 바 있다. 또 백서향, 문주란, 파초일엽 등은 많은 증식 및 보급에 따라 더 이상 자생지에서의 파괴 위협이 사라진 종이다. 그 밖에 한국난협회가 1978년 나도풍란과 풍란을 제주도의 상록 활엽수림지에 복원하였으며, 이 밖에도 자생난초 동우회에서도 부분적으로나마
이러한 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현재 정확한 집계는 되지 않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