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들어가며
2. 연구목적
3. 연구방법
Ⅱ. 식물생장호르몬 용어
1. 식물의 생장
2. 식물호르몬
Ⅲ. 식물생장호르몬 종류
1. 옥신
2.지베렐린
3. 시토키닌
4. 에틸렌
5. 엡시스산 (ABA)
6. 브라시노스시노스테로이드
7. 그 외 생장호르몬
Ⅳ. 마치며
1. 들어가며
2. 연구목적
3. 연구방법
Ⅱ. 식물생장호르몬 용어
1. 식물의 생장
2. 식물호르몬
Ⅲ. 식물생장호르몬 종류
1. 옥신
2.지베렐린
3. 시토키닌
4. 에틸렌
5. 엡시스산 (ABA)
6. 브라시노스시노스테로이드
7. 그 외 생장호르몬
Ⅳ. 마치며
본문내용
전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2) 브라시노스시노스테로이드의 특징
(1) 브라시노스시노스테로이드의 구조
스테로이드 구조를 갖고 있다.
(2) 브라시노스시노스테로이드의 역할
① 브라시노스테로이드가 줄기의 생장을 조절하기 때문에 `Pra2'나 `DDWF1'의 단백질 유전자를 이용하면 농작물의 키를 줄이거나 신장시키는 유전자조작이 가능하다
② 브라시노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효소 유전자를 잔디 등의 농작물에 도입, 생장이 촉진되거나 억제된 유전자조작을 할 수 있다.
7. 그 외 생장호르몬
1) 쟈스몬산 류
-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는 cyclopentanone 화합물로서 Jasmonic acid와 연관된 일련의 물질을 총칭하는 것이다. 쟈스몬산은 linolenic acid로부터 합성되며, 고등식물과 조류 및 미생물에서 발견되고 있다. 유식물의 생장억제, 세포신장과 증식억제, 세포신장 촉진, 발근 유도, 괴경형성 촉진, 노화 촉진, 종자 및 화분발아 억제,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2) 살리실릭산 - 도처에 존재하는 고등식물에서 발견되는 식물 페놀릭(phenolic)으로 식물에 적용하면 개화, 식물병원균 저항성 증가 등을 유도한다.
3) 터고린 류 - 주변환경에 따른 식물의 자발적인 운동에 관련된 물질로 1981년 아카시아(Acacia karoo)에서 최초로 분리되었다. 터고린은 10-5-10-7M 농도에서 잎의 운동을 촉진한다.
4) 스트리골 - 씨앗의 발아를 촉진하는 물질로 목화뿌리의 삼출물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Ⅳ. 마치며
이번 과제물을 처음 받았을 때는 식물생장을 돕는 호르몬에 대해 내가 알고 있는 것들이 적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그래서 으레 겁부터 질렀던 것이 생각난다. 처음에는 집에서 키우는 식물들에게 주는 조그만 병에 들어있는 노란주사약 같은 것을 떠올렸는데 그 것이 식물생장호르몬의 전부인양 생각하던 나에게 여러 호르몬은 정말 신기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런 호르몬들은 우리가 몸이 튼튼해 질 때 영양주사를 맞듯이 호르몬주사도 그렇기 때문에 맞는 건줄 알았다. 하지만 이런 호르몬들은 튼튼하기 위해서라는 이유보다는 생장 발달을 조절하고 자신이 뻗어가야 할 방향을 정해주며 자라지 말아야 할 부분은 억제도 시켜주는 그런 역할을 하는 것을 보고 또한번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였다. 이런 호르몬의 발견은 일상생활을 무심코 지나치는 나에게 다시 한번 주위를 살펴야 한다는 교훈을 주었는데 일상속의 변화를 주의깊게 관찰한 생물학자들이 존경스러웠다. 식물의 생장을 지켜보고 식물 호르몬의 역할을 보다 효과적으로 알기 위해 무균상태를 이용하거나 인공배양기에 호르몬을 첨가시키는 조직배양법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하여 호르몬의 종류나 농도에 따라 뿌리나 줄기를 유도할 수 있었고, 식물조직에서 기관으로 분화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런 방법을 이용해 더 많은 호르몬이 발견되어 앞서 연구목적에서 밝혔듯이 식물의 생육을 인위적으로 조정하여 그 생장현상을 농업적인 측면에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물론 자연의 순리대로 나두는 것이 가장 몸에 좋은 식물을 생장시키겠지만 이런 호르몬이 발견된 이상, 이들을 이용하여 유용하게 쓴다면 더 나은 인류를 위함일 것이다.
이상 이런 연구를 통해 식물생장호르몬을 알게 해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생활 속의 변화를 살피는 좋은 기회였다라고 말하고 싶다.
< 참고문헌 >
식물생화학 조절제 / 신광문화사 / Harold W.Gausman 저 / 이정명외 3인 공역 / 1998
http://bric.postech.ac.kr
http://urizip.x-y.net
http://gaia.busanedu.net
그 외 인터넷 웹문서
2) 브라시노스시노스테로이드의 특징
(1) 브라시노스시노스테로이드의 구조
스테로이드 구조를 갖고 있다.
(2) 브라시노스시노스테로이드의 역할
① 브라시노스테로이드가 줄기의 생장을 조절하기 때문에 `Pra2'나 `DDWF1'의 단백질 유전자를 이용하면 농작물의 키를 줄이거나 신장시키는 유전자조작이 가능하다
② 브라시노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효소 유전자를 잔디 등의 농작물에 도입, 생장이 촉진되거나 억제된 유전자조작을 할 수 있다.
7. 그 외 생장호르몬
1) 쟈스몬산 류
-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는 cyclopentanone 화합물로서 Jasmonic acid와 연관된 일련의 물질을 총칭하는 것이다. 쟈스몬산은 linolenic acid로부터 합성되며, 고등식물과 조류 및 미생물에서 발견되고 있다. 유식물의 생장억제, 세포신장과 증식억제, 세포신장 촉진, 발근 유도, 괴경형성 촉진, 노화 촉진, 종자 및 화분발아 억제,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2) 살리실릭산 - 도처에 존재하는 고등식물에서 발견되는 식물 페놀릭(phenolic)으로 식물에 적용하면 개화, 식물병원균 저항성 증가 등을 유도한다.
3) 터고린 류 - 주변환경에 따른 식물의 자발적인 운동에 관련된 물질로 1981년 아카시아(Acacia karoo)에서 최초로 분리되었다. 터고린은 10-5-10-7M 농도에서 잎의 운동을 촉진한다.
4) 스트리골 - 씨앗의 발아를 촉진하는 물질로 목화뿌리의 삼출물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Ⅳ. 마치며
이번 과제물을 처음 받았을 때는 식물생장을 돕는 호르몬에 대해 내가 알고 있는 것들이 적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그래서 으레 겁부터 질렀던 것이 생각난다. 처음에는 집에서 키우는 식물들에게 주는 조그만 병에 들어있는 노란주사약 같은 것을 떠올렸는데 그 것이 식물생장호르몬의 전부인양 생각하던 나에게 여러 호르몬은 정말 신기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런 호르몬들은 우리가 몸이 튼튼해 질 때 영양주사를 맞듯이 호르몬주사도 그렇기 때문에 맞는 건줄 알았다. 하지만 이런 호르몬들은 튼튼하기 위해서라는 이유보다는 생장 발달을 조절하고 자신이 뻗어가야 할 방향을 정해주며 자라지 말아야 할 부분은 억제도 시켜주는 그런 역할을 하는 것을 보고 또한번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였다. 이런 호르몬의 발견은 일상생활을 무심코 지나치는 나에게 다시 한번 주위를 살펴야 한다는 교훈을 주었는데 일상속의 변화를 주의깊게 관찰한 생물학자들이 존경스러웠다. 식물의 생장을 지켜보고 식물 호르몬의 역할을 보다 효과적으로 알기 위해 무균상태를 이용하거나 인공배양기에 호르몬을 첨가시키는 조직배양법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하여 호르몬의 종류나 농도에 따라 뿌리나 줄기를 유도할 수 있었고, 식물조직에서 기관으로 분화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런 방법을 이용해 더 많은 호르몬이 발견되어 앞서 연구목적에서 밝혔듯이 식물의 생육을 인위적으로 조정하여 그 생장현상을 농업적인 측면에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물론 자연의 순리대로 나두는 것이 가장 몸에 좋은 식물을 생장시키겠지만 이런 호르몬이 발견된 이상, 이들을 이용하여 유용하게 쓴다면 더 나은 인류를 위함일 것이다.
이상 이런 연구를 통해 식물생장호르몬을 알게 해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생활 속의 변화를 살피는 좋은 기회였다라고 말하고 싶다.
< 참고문헌 >
식물생화학 조절제 / 신광문화사 / Harold W.Gausman 저 / 이정명외 3인 공역 / 1998
http://bric.postech.ac.kr
http://urizip.x-y.net
http://gaia.busanedu.net
그 외 인터넷 웹문서
추천자료
cytokinin
게놈프로젝트는 무엇인가? / 게놈프로젝트의 빛과 어둠
유전자변형식물(GMO)의 유형과 우려되는 생물재해(Biohazard)를 조사하라
[과외]중학 과학 2-1학기 중간 03 식물의 구조와 기능
[과외]중학 과학 2-1학기 기말 04 식물의 구조와 기능(교사용)
[과외]중학 과학 2-1학기 기말 04 식물의 구조와 기능
[과외]중학 과학 2-1학기 중간 03 식물의 구조와 기능(교사용)
[과외]중학 가정 중2-03 식물의 구조와 기능 03
식물성 색소성분의 기능성에 대해 조사하시오
[중2과학뿌리]식물의구조와기능단원뿌리부분PPT자료입니다
생물학 - 기내배양을 이용한 고등식물의 응용
식물 종자학 -발아 종자의 호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모과나무의 식물학적 형태 및 특징과 활용(모과)
[레포트] 일반 생물학 및 실험2 식물의 구조(잎) 3주차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