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호르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호르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환경호르몬이란?
2. 환경 호르몬의 발견
3. 어떤 성분인가?
4.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
5. 환경호르몬의 피혜 사례
6. 각 국의 대책
7. 일상생활 속에서의 실천 지침

본문내용

학자들은 이러한 기형이 PCB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했다. 짐 루드비히라는 과학자는 부리가 비뚤어진 가마우지 한마리를 데리고 다니며 오염에 항의하는 켐페인을 벌였다.
(4) 합성호르몬의 발암피해
66년 미국 매사추세츠의 한 의사가 10대 여자 아이에게서 질암을 발견하고 경악했다. 질암은 50대 이후라야 나타나는 병이었다. 비슷한 사례가 잇따라 발견되었고, 환자들의 어머니가 임신 중 유산방지제인 DES를 복용한 사실이 확인됐다. 그 뒤 합성호르몬 제제인 DES로 인한 발암 피해자가 300명이 넘게 확인됐다. 주로 19세를 전후한 여성들이 암에 걸렸고, 남자들에게서는 소정자증이 나타났다.
6. 각 국의 대책
(1) 유엔
* 창설이래 산아제한을 주창해왔던 유엔이 사상최초로 정자수 감소 문제를 논의하기위한 국제회의를 1997년 1월 미국에서 개최
(2) 일본
* 1997년 말, 일본환경청, 연구반 설치, 어류를 대상으로 환경호르몬의 영향을 조사
* 1998년 4월 9일, 과학기술청이 학계.산업계와 공동으로 실태조사에 착수.
* 통산성, 업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독자적인 검사방법 개발중
* 노동성, 유해 화학물질 제조업체의 노동환경을 재조사중
* 자민당 등 연립여당은 정부 부처의 연구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1998년 추경예산에 1백 억엔 규모의 예산을 편성하기로 결정
* 도쿄, 환경호르몬 조사를 위한‘환경회의기획조사부회’를 설치하는 등 각 지방자치단체도 활발한 움직임
* 통산성, 기업이 공장과 사업소에서 나오는 각종 화학물질의 배출량을 보고하도록 의무화 하는 ‘화학물질배출·이동등록제도’를 오는 2000년부터 도입
(3) 미국
* 1997년 1월, 백악관 주최로 워크숍
* 1998년, 환경보호청이 독자적인 시험법을 개발하고1만5천여종의 화학물질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계획.환경보호청은 세포를 이용하는 시험관내 시험과 동물실험을 통해 태아에 대한 영향도 분석하기로 결정
(4)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 1998년 3월, 회의를 갖고 환경호르몬 검사방법 개발에 착수
(5) 우리나라
* 기초적인 연구 자료가 없음.
* 1회 정액 배출시 정자수가 최소한 1억개는 돼야 하지만, 6천만개 이하이며 정자의 운동성 감퇴가 심각한 약정자증 환자가 늘고 있다.
* 1998년부터 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 등에서 내분비 교란물질에 대한 기초 자료 준비하고 있음.
* 1999년,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할 계획
7. 일상생활 속에서의 실천 지침
* 컵라면과 같은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먹지 않는다.
* 캔음료나 캔에 담긴 음식물을 삼간다. 특히 캔에 열을 가한 제품에 주의해야 한다.
* 집에서 음식물을 보관할 경우 플라스틱 용기나 랩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전자레인지로 음식을 데울 때에는 특히 주의한다.
* 과다하게 농약을 사용하는 과일이나 채소는 먹지 않는다.
* 염소계(염화--, 클로로--라고 성분표시에 명시된)표백제와 세정제, 염소표백된 종이 등의 사용을 사용하지 않는다.
* 아이들이 플라스틱 장난감을 입에 넣지 않도록 주의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08.31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45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