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환경호르몬이란
2. 환경호르몬의 성질
3. 환경호르몬 유발물질
4. 환경호르몬이 주는 피해
5. 환경호르몬의 실태 - 국내, 국외
6. 환경호르몬의 해결방안 - 정책적, 교육적
Ⅲ. 결론
Ⅱ. 본론
1. 환경호르몬이란
2. 환경호르몬의 성질
3. 환경호르몬 유발물질
4. 환경호르몬이 주는 피해
5. 환경호르몬의 실태 - 국내, 국외
6. 환경호르몬의 해결방안 - 정책적, 교육적
Ⅲ. 결론
본문내용
있다.
6. 환경호르몬의 해결방안
(1) 정책적
① TRI (유해화학물질 환경 배출량 보고제도)
유해화학물질 환경배출량 보고제도는 기업, 지방정부 등이 환경(대기, 수계, 토양, 폐기물)중으로 배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의 양을 파악하여 정부에 보고하고 정부는 보고결과를 정부, 민간, 기업이 공유하게 함으로써 기업들의 자발적 오염감소를 유도하는 정책으로, OECD에서는 PRTR(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미국에서는 TRI(Toxic Release Inventory)로 알려져 있다
② 유해 화학물질 관련법
이 법은 화학물질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고 유해화학물질을 적정하게 관리함으로써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③ 환경 위해성 WEB GIS 서비스 시스템 운영
화학물질 유통실태 조사는 국내의 화학 물질을 사용하는 업체에 대해 지방정부(시도 및 지방 환경 관리청)가 업소별 화학물질의 종류, 사용량 및 사용형태를 파악하여 정부에 보고하고 그 결과에 따라 우선관리대상 화학 물질을 선정하는 등 화학물질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고 시 방제체계 수립하는 등 화학물질의 총체적 관리를 위한 필수자료조사 사업임
화학물질 사용업소
화학물질을 제조 수입, 사용업체
(대기, 수질배출업소)
↓
정부기관
물질별, 업체별, 지역(수계)별, 유통(량) 현황 DB화
지역별 방제약품 장비현황 비치
↓
기대효과
우선관리대상물질 선정
기존물질의 안정성평가대상물질 선정
주요공단, 수계, 상수원 보호구역 사고예방 활동에 활용
OECD「기존화학물질의 유통실태조사」규정 국제협약 이행
국제협력 공동사업(SIDS)의 기초자료로 활용
(2) 교육적
① 일상생활 속에서의 실천 지침 등을 캠패인 활동을 벌여본다.
<캠패인 활동>
- 컵라면과 같은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먹지 않는다. 캔 음료나 캔에 담긴 음식물을 삼간다. 특히 캔에 열을 가한 제품에 주의해야 한다.
- 집에서 음식물을 보관할 경우 플라스틱 용기나 랩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전자레인지로 음식을 데울 때에는 특히 주의한다.
- 과다하게 농약을 사용하는 과일이나 채소는 먹지 않는다.
- 염소계(염화-, 클로로-라고 성분표시에 명시된)표백제와 세정제, 염소표백 된 종이 등의 사용을 사용하지 않는다.
② 환경호르몬 해결 방안들에 대해서 알아본다.
- 집안 곳곳의 환경 호르몬 없애기 (첨부자료 1)
Ⅲ. 결론
지금까지 환경호르몬 전반에 대해 살펴보았다. 평소에 자주 접하는 플라스틱 일회용품들이나 인스턴트식품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생활의 편리들이 가져오는 인류에 경고를 무시해서는 안 될 것이다.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예전의 모습의 본질을 잊지 말았으면 한다.
모든 환경문제가 그러하듯이 환경호르몬의 심각성도 현 시점보다는 한 대를 거친 후에야 나타난다. 피부로 느껴지지 않은 다음에야 행동하기 보다는 예비교사로서 심각성을 깨닫고 미래에 만날 학생들을 생각하며 실천적 모습들을 비추길 부탁한다.
< 참고자료 >
* 국립환경 연구원 -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http://ccsms.nier.go.kr/
* 국립환경연구원 - 내분비계 장애물질
http://www.nier.go.kr/nierdepart/eds/
* 환경부
http://www.me.go.kr/
* 환경오염의 실태와 대책
http://psypsy42.with.co.kr/main.htm
* 환경운동연합
http://www.kfem.or.kr
* 환경위해성 시스템
http://riskmap.nier.go.kr/
* http://prtr.nier.go.kr/
6. 환경호르몬의 해결방안
(1) 정책적
① TRI (유해화학물질 환경 배출량 보고제도)
유해화학물질 환경배출량 보고제도는 기업, 지방정부 등이 환경(대기, 수계, 토양, 폐기물)중으로 배출되는 유해화학물질의 양을 파악하여 정부에 보고하고 정부는 보고결과를 정부, 민간, 기업이 공유하게 함으로써 기업들의 자발적 오염감소를 유도하는 정책으로, OECD에서는 PRTR(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미국에서는 TRI(Toxic Release Inventory)로 알려져 있다
② 유해 화학물질 관련법
이 법은 화학물질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고 유해화학물질을 적정하게 관리함으로써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③ 환경 위해성 WEB GIS 서비스 시스템 운영
화학물질 유통실태 조사는 국내의 화학 물질을 사용하는 업체에 대해 지방정부(시도 및 지방 환경 관리청)가 업소별 화학물질의 종류, 사용량 및 사용형태를 파악하여 정부에 보고하고 그 결과에 따라 우선관리대상 화학 물질을 선정하는 등 화학물질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고 시 방제체계 수립하는 등 화학물질의 총체적 관리를 위한 필수자료조사 사업임
화학물질 사용업소
화학물질을 제조 수입, 사용업체
(대기, 수질배출업소)
↓
정부기관
물질별, 업체별, 지역(수계)별, 유통(량) 현황 DB화
지역별 방제약품 장비현황 비치
↓
기대효과
우선관리대상물질 선정
기존물질의 안정성평가대상물질 선정
주요공단, 수계, 상수원 보호구역 사고예방 활동에 활용
OECD「기존화학물질의 유통실태조사」규정 국제협약 이행
국제협력 공동사업(SIDS)의 기초자료로 활용
(2) 교육적
① 일상생활 속에서의 실천 지침 등을 캠패인 활동을 벌여본다.
<캠패인 활동>
- 컵라면과 같은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먹지 않는다. 캔 음료나 캔에 담긴 음식물을 삼간다. 특히 캔에 열을 가한 제품에 주의해야 한다.
- 집에서 음식물을 보관할 경우 플라스틱 용기나 랩을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전자레인지로 음식을 데울 때에는 특히 주의한다.
- 과다하게 농약을 사용하는 과일이나 채소는 먹지 않는다.
- 염소계(염화-, 클로로-라고 성분표시에 명시된)표백제와 세정제, 염소표백 된 종이 등의 사용을 사용하지 않는다.
② 환경호르몬 해결 방안들에 대해서 알아본다.
- 집안 곳곳의 환경 호르몬 없애기 (첨부자료 1)
Ⅲ. 결론
지금까지 환경호르몬 전반에 대해 살펴보았다. 평소에 자주 접하는 플라스틱 일회용품들이나 인스턴트식품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 생활의 편리들이 가져오는 인류에 경고를 무시해서는 안 될 것이다.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예전의 모습의 본질을 잊지 말았으면 한다.
모든 환경문제가 그러하듯이 환경호르몬의 심각성도 현 시점보다는 한 대를 거친 후에야 나타난다. 피부로 느껴지지 않은 다음에야 행동하기 보다는 예비교사로서 심각성을 깨닫고 미래에 만날 학생들을 생각하며 실천적 모습들을 비추길 부탁한다.
< 참고자료 >
* 국립환경 연구원 - 화학물질 안전관리 센터
http://ccsms.nier.go.kr/
* 국립환경연구원 - 내분비계 장애물질
http://www.nier.go.kr/nierdepart/eds/
* 환경부
http://www.me.go.kr/
* 환경오염의 실태와 대책
http://psypsy42.with.co.kr/main.htm
* 환경운동연합
http://www.kfem.or.kr
* 환경위해성 시스템
http://riskmap.nier.go.kr/
* http://prtr.nier.go.kr/
추천자료
해외선진 해양 워터프론트 사례
체질 섭생법으로 살펴본 학생식당의 문제와 대안
문화산업의 완성보증보험제도의 필요성과 정책과제
녹차의 대중화
주거환경 정비법에 대한 고찰
국내외 친환경 인증제도와 친환경 집합주택 분석
청소년복지의 이해 및 해외사례와 문제점 개선책
27,인사동의 보존과 활성화를 위한 방안연구 - 인사동,쌈지길,인사동거리,쌈짓길,전통길,인사...
지속가능한 개발의 해외사례
국내외 관광동향 사례조사 (생태관광/ 에코투어리즘(Eco Tourism)/ 지속가능한 관광)
보육교사 역할 및 자질, 보육교사 자격조건, 한국과 해외의 보육교사양성제도 비교분석, 보육...
[전통시장 활성화방안 연구] 전통시장 현재상황분석과 활성화위한 정부정책, 전통시장 마케팅...
정부 3.0 - 행정 이론적 평가 및 통계청 사례를 중심으로
논문-고령친화의 유형별 특성 및 사례분석 연구(완결) [학사학위청구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