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머리말·
II.본론
III. 결론
II.본론
III. 결론
본문내용
꾸지 않겠다"는 인물은 楊朱 혹은 楊朱의 제자임이 틀림없다고 한다. 앞에서 언급한 그러한 것들 중 개인주의나 經物重生의 그런 사상들이 곧 楊朱의 불간섭주의의 경향을 흐르게 하고 개인주의나 經物重生 또는 불간섭주의 이러한 것들은 결국 그의 사상적인 총체로 대표할 수 있는 것이다.
<老子>에도 이와 동일한 사상이 표현되고 있는데 간단한 예로서
故貴以身爲天下者, 可寄이天下, 愛以身爲天下者, 乃下以託於天下
[老子 : 13章}
名與身孰親, 身與貨孰 多...[老子 : 44章]
"제 몸을 天下같이 귀중히 여기는 사람에게는 天下를 줄 수 있고, 제 몸을 天下와 같이 아끼는 사람에게 天下를 말길 수 잇다" 또 명예와 생명은 어느 것이 더 사랑스러우냐? 생명과 재산 중 어느 것이 더 중하냐"
위의 例文에도 經物重生의 사상이 나타나 있다. 楊朱의 사상만이 그런 사상을 가진 것이 아니지만 隱子로서의 모든 사상을 통괄하는 것이 아닌가?
III. 결론
楊朱의 시대가 혼란한 시대라 사람의 인생을 순화시킨다는 목표를 정면으로 제시하고 나선 유가와, 사회문제 해결하는 방법을 정면으로 제시하면서 대대적인 개혁을 추구하려고 하던 묵가 사이에서 개인주의와 爲我論을 내세우면서 자기의 일만 충실히 행하면 사회문제는 저절로 없어져 태평스러워 질 것이라는 이론으로 허다한 소위 隱子라고 불리는 사람들과 일조의 학파를 세우게 되는 학파가 楊朱학파이다. 그 당시 맹자와 묵자의 많은 비난을 받으면서 그의 사상 펼치지만 그들의 비판은 그들이 비판하기 위해 楊朱사상을 날조한 것 같다. 하지만 楊朱의 개인주의, 불간섭주의는 그 시대 사상가보다 현실을 더 정확히 적시한 것 같고 그 외 다른 사상가들보다 훨씬 더 뛰어난 것이다. 앞에서 말한 것을 종합하면 그의 소극적인 구세주의는 염세사상에 빠져있던 인심에 확실하고도 대단한 청량제 역할을 한 것이다
孔子나 孟子에 의해서도 안되고, 안될 것을 알면서 하는 무모한 행동 또한 그에게는 비난대상이 되었을 것이고, 모든것을 한꺼번에 개혁하려는 묵자 역시 비난의 대상에 올랐음이 확실하다. 그리고 마땅히 그에게 비난받아야 할 것이다. 그의 사상이 만약 더 많은 지지와 힘을 얻어 정책에 반영되었다면 오늘날 최단시간에 최고의 부강국가가 된 미국과 같은 엄청나고 더 큰 결과를 낳았을는지도 모른다. 물론 시대적 흐름으로 어떤 일이 있을지 모르지만... 또 정확히 말하고 싶은 것은 그는 결코 향락주의라던지 육욕주의라던지 임금도 모르고 아비도 모르는 금수와 같은 인간이 아니라 가장 깊고 인간적인 사상을 가진 자였고 그의 시대를 바로 잡으려는 사람이었다는 것이다.
그런 그러한 혼란과 상황속에서 이기주의가 아닌 철저한 개인주의와 불간섭이 똑바로 이론화되고 더욱 더 체계화가 이루어져 그의 사상이 정확하게 분석된 학설이 나타날 수 있었으면 한다.
참고문헌
- ' 諸子百家의 思想 ' 宋榮培 編著 (현음사)
- ' 中國哲學史 ' 張起均 .吳怡 共著 (일지사)
- ' 中國哲學史 ' 馮友蘭著, 鄭仁在 譯 (螢雪出版社)
- ' 中國哲學의 精神 ' 馮友蘭著 郭信煥編譯 (新原道)
<老子>에도 이와 동일한 사상이 표현되고 있는데 간단한 예로서
故貴以身爲天下者, 可寄이天下, 愛以身爲天下者, 乃下以託於天下
[老子 : 13章}
名與身孰親, 身與貨孰 多...[老子 : 44章]
"제 몸을 天下같이 귀중히 여기는 사람에게는 天下를 줄 수 있고, 제 몸을 天下와 같이 아끼는 사람에게 天下를 말길 수 잇다" 또 명예와 생명은 어느 것이 더 사랑스러우냐? 생명과 재산 중 어느 것이 더 중하냐"
위의 例文에도 經物重生의 사상이 나타나 있다. 楊朱의 사상만이 그런 사상을 가진 것이 아니지만 隱子로서의 모든 사상을 통괄하는 것이 아닌가?
III. 결론
楊朱의 시대가 혼란한 시대라 사람의 인생을 순화시킨다는 목표를 정면으로 제시하고 나선 유가와, 사회문제 해결하는 방법을 정면으로 제시하면서 대대적인 개혁을 추구하려고 하던 묵가 사이에서 개인주의와 爲我論을 내세우면서 자기의 일만 충실히 행하면 사회문제는 저절로 없어져 태평스러워 질 것이라는 이론으로 허다한 소위 隱子라고 불리는 사람들과 일조의 학파를 세우게 되는 학파가 楊朱학파이다. 그 당시 맹자와 묵자의 많은 비난을 받으면서 그의 사상 펼치지만 그들의 비판은 그들이 비판하기 위해 楊朱사상을 날조한 것 같다. 하지만 楊朱의 개인주의, 불간섭주의는 그 시대 사상가보다 현실을 더 정확히 적시한 것 같고 그 외 다른 사상가들보다 훨씬 더 뛰어난 것이다. 앞에서 말한 것을 종합하면 그의 소극적인 구세주의는 염세사상에 빠져있던 인심에 확실하고도 대단한 청량제 역할을 한 것이다
孔子나 孟子에 의해서도 안되고, 안될 것을 알면서 하는 무모한 행동 또한 그에게는 비난대상이 되었을 것이고, 모든것을 한꺼번에 개혁하려는 묵자 역시 비난의 대상에 올랐음이 확실하다. 그리고 마땅히 그에게 비난받아야 할 것이다. 그의 사상이 만약 더 많은 지지와 힘을 얻어 정책에 반영되었다면 오늘날 최단시간에 최고의 부강국가가 된 미국과 같은 엄청나고 더 큰 결과를 낳았을는지도 모른다. 물론 시대적 흐름으로 어떤 일이 있을지 모르지만... 또 정확히 말하고 싶은 것은 그는 결코 향락주의라던지 육욕주의라던지 임금도 모르고 아비도 모르는 금수와 같은 인간이 아니라 가장 깊고 인간적인 사상을 가진 자였고 그의 시대를 바로 잡으려는 사람이었다는 것이다.
그런 그러한 혼란과 상황속에서 이기주의가 아닌 철저한 개인주의와 불간섭이 똑바로 이론화되고 더욱 더 체계화가 이루어져 그의 사상이 정확하게 분석된 학설이 나타날 수 있었으면 한다.
참고문헌
- ' 諸子百家의 思想 ' 宋榮培 編著 (현음사)
- ' 中國哲學史 ' 張起均 .吳怡 共著 (일지사)
- ' 中國哲學史 ' 馮友蘭著, 鄭仁在 譯 (螢雪出版社)
- ' 中國哲學의 精神 ' 馮友蘭著 郭信煥編譯 (新原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