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루간호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장루(스토마) 란 ?

2. 장루(腸瘻 : ostomy)의 원인 질병
① 결장루
② 회장루
③ 요루

3. 장루(腸瘻)의 유형
① 장루의 형태적 분류
② 장루의 위치 및 기능에 따른 분류

4. 장루 수술전 준비
① 교육
② 장루부위 결정
③ 장루 장비(Stoma equipment)

5. 수술 후 간호
① 누공의 관리
② 피부관리
③ 장루의 크기·색깔·움직임 및 출혈 등
④ 환자 교육
⑤ 심리적 지지

6. 수술 후 생활
① 옷입기
② 식사
③ 활동(운동)
④ 목욕(수영)
⑤ 여행
⑥ 수면
⑦ 이성관계 (성생활)
⑧ 여성의 임신
⑨ 설사
⑩ 변비
⑪ 냄새
⑫ 가스

7. 배변관리
① 자연 배변법
② 튜브삽입법
③ 세척법(관장법)
8. 후유증
① 탈장(hernia)
② 탈출(prolapse)
③ 함몰
④ 장유착·협착·폐색
⑤ 소변장애
⑥ 기존항문부의 통증

본문내용

뒤집혀 빠져 나오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원인은 대부분 무리한 복근의 사용(힘에 벅찬 무거운 것 들기, 배변 등을 위해 필요 없이 복부 압박을 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개인적 체질의 영향이 많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심해지게 되면 수술로써 원형을 회복시켜 주게 된다.
③ 함몰
돌출되어 있던 장루가 복벽 아래로 빨려 들어가듯 수축되었거나 장루는 어느 정도 돌출되어 있으나 장루가 붙어 있는 바로 옆 피부가 분화구처럼 바깥쪽 복부 보다 더 깊이 꺼져 들어간 증상을 말한다. 원인으로 무리한 복근의 사용을 들 수 있으나 복부가 비대한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남으로 비대한 사람들의 주의가 더 필요하다. 특히 장루의 함몰 시에는 배출되는 변에 의해 피부 손상이 쉽게 유발될 수 있으므로 피부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며, 함몰형 볼록판을 사용해 주거나 세척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피부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④ 장유착 협착 폐색
유착과 협착과 페색증의 증상은 매우 유사하다. 공통된 증상은 대변 및 가스의 배출이 원만치 않으면서 복부팽만감 구토 복통 등의 소화불량성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증상 시에도 어느 정도의 배변과 가스 배출이 있으면서 수반되는 가벼운 복통정도라면 음식을 한 두 끼 정도 금식 하든가 유동식 음식을 극소량씩 섭취하며 가벼운 운동과 함께 충분히 휴식하며 따뜻한 복부 찜질을 장시간 해주게 되면 대부분의 증상은 24시간 내에 해소되어지나 혹여 배변과 가스의 배출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심한 복통 및 구토증이 있다면 곧 바로 병원을 찾아 의사의 처치를 받아야만 한다.
a. 유착(adhesion)
소장의 전부 또는 일부분이 한 덩어리로 엉겨 붇는 증상을 말하는데 원인은 장이 공기 중에 노출되고 외부 물질과 접촉하게 되는 외과적 개복 수술이 주원인으로 지적되며, 장 그 자체나 다른 장기의 병을 다스리기 위한 보다 강력한 방사선의 장기간 투과 또한 장유착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개복 수술로 인한 장유착의 발생은 개인마다 매우 큰 차이가 있어 개인적 체질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여진다.
b. 협착(stricture)
음식이 통과하는 장의 통로가 좁아지는 것을 뜻하는데 원인으론 병적인 것과 외부 충격 등을 꼽을 수 있으나 장루보유자들의 협착은 거의가 장루 누공이 좁아지는 누공 협착증인데 이의 원인은 복막 및 복근 등이 점차 조여들어옴에 따른 것이므로 주기적인 손가락 삽입을 실시해 줌으로 예방할 수 있다.
c. 폐색(obstruction)
장벽이 서로 밀착되어 붙어버리는 것으로 미량의 음식물은 통과되는 부분폐색과 음식물 소통이 완전 차단되는 완전폐색으로 구분되어 집니다. 이의 원인도 개복 수술과 관련이 있어 유착증이나 협착증이 있는 경우 쉽게 폐색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무절제한 음식물의 섭취가 원인이 되는 예가 많으므로 평상시 식생활 및 일반 활동에서도 건전하고 절제된 생활을 습관화해야 될 필요가 있다. 장폐색은 폐색된 부위의 혈행이 막혀 쉽게 부패하기 때문에 재수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특히 음식물 섭취에 각별한 유의가 필요하다.
⑤ 소변장애
결장루 및 회장루를 시술 받은 사람들 중 수술 초기에 특히 남성들에게서 소변장애가 발생되는 것을 많이 보게되는데 원인은 수술과정에서 방광자율신경계가 손상 및 자극을 받게되고 제거된 장기 자리의 공백으로 인해 복강내 구조 변화가 있게되며, 소변 유도를 위해 요도에 삽입한 소변줄(urine tube)에 의한 요도의 염증이 생겼기 때문으로 수술자의 대부분이 어느 정도의 배뇨 기능 장애를 겪게되며, 거의가 자연 회복되어 집니다. 배뇨가 잘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뇨의를 느낄 수 있다면 반드시 기능이 회복되며 배뇨는 이루어지나 횟수가 잦고 가벼운 통증이 수반되며 잔뇨감이 느껴지는 정도의 일반적 증상도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되는 증상이므로 염려할 것은 없다. 그러나 배뇨시 심한 통증이 지속되거나 배뇨감도 없이 배뇨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느낌도 없이 소변이 흘러나오는 요실금 증상이 있다면 심한 염증이 있거나 수술시 병반제거를 위해 불가피하게 부분적으로 자율신경이 손상 당했을 수도 있고 자율신경이 심한 충격으로 일시적인 마비증세를 보이는 영향일 수도 있으므로 비뇨기과 전문이의 진단에 따른 치료를 받아야 한다.
소변 기능 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
- 심리적 안정을 가지고 충분한 시간에 걸쳐 배뇨하며, 가능한 잔뇨를 최소화해 준다.
- 배뇨감이 불분명한 사람은 배뇨감이 없어도 시간을 정하여 배뇨한다.
- 충분한 운동이 도움이 되며, 손으로 하복부를 압박하여 배뇨를 촉진한다.
- 주류, 항생제, 위장약, 수면제, 진통제 등은 배뇨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복용시는 주치의의 지시에 따르십시오.
- 복부를 항상따뜻하게 유지
- 수분 섭취시는 가능한 따뜻한 것을 섭취
⑥ 기존항문부의 통증
항문부의 통증이 어떠한 염증이나 질병에 의한 것이라면 치료하면 통증이 완화되나 대부분 이같은 원인과 관계없이 느껴오는 미확인 통증으로써 괄약근 제거 과정에서 잘려지게 된 많은 말초 신경 절단부의 일부가 통증을 유발하는 기형적 형태로 아물었거나 습관적 변의에 의한 심리적 통증이 원인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기존 항문부의 통증(변의 및 뻐근한 느낌도 포함)은 장루 수술 환자라면 누구나 느껴지는 것이다. 대부분이 느끼는 무언가 쏟아 질 것 같은 찝찝하고 뻐근하며 우리한 통증은 거의가 그동안 습관화되었던 배변욕의 심화에 따른 심리적인 것이어서 특별한 내 외과적 치료법을 적용할 수 없으므로, 평상시 너무 오래 서있거나 앉아 있지 않도록 하며, 가급적 따뜻하고 푹신한 자리에 앉는 것이 도움이 되며 즉시적인 통증 완화의 효과는 따끈한 물로 좌욕을 해주는 것이 좋으므로 하루에도 몇 차례씩 해 주는 것이 좋다. 다만 방사선 치료 중에 있는 경우에는 대부분 좌욕을 금한다.
9. REFERENCE
이은옥 외 9인 : 성인간호학2, 서울 : 신광출판사, 2002
http://www.koreacancer.com/sub_artifical.asp
http://
www.ostomy.or.kr
http://www.seoulhemo.co.kr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4.09.04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50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