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 간호의 이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환자 간호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기관절개술

2.중심정맥압

3.산소 투여 방법

4.인공 호흡기

5.의식수준 평가

6.심장의 해부 생리

7.폐의 해부 생리

8.심전도

9. Cardioversion

10. Defibrillation(external)

11. 혈액투석(Hemodialysis)

12. L-PP₂

본문내용

중환자 간호의 이해
1. 기관절개술(tracheostomy)
-기관절개술이란 2-4번째 기관고리를 통해 윤상연골 아래쪽을 절개하는 것을 말하며 기관절개관이란 절개에 의한 스토마(stoma)또는 개구(opening)를 말한다.
1)기관절개술의 목적
①기도의 개통성을 유지한다.
②튜브가 후두내에 우치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후두손상을 방지한다
③환자의 안위를 증진시킨다.
④환자가 말을 할 수 있도록 한다.
⑤간호의 편의성을 제공한다(예 : 흡입, 구강위생).
⑥환자의 운동성을 증진시킨다.
⑦구강영양 섭취를 편리하게 한다.
⑧중환자실에서 병실로 전동하기 편하다.
2)기관절개술의 적응증
-기관절개는 다양한 이유로 응급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시행될 수 있다.
기관절개술 적응증의 이론적 근거
응급 상기도 폐쇄의 우회
장기적 인공기도 필요성
기도 문제 예방
해부학적 사강의 감소
폐흡인의 예방
정체된 기관 및 기관지의 분비물
만성 상기도 폐쇄
선택 시행의 경우 대개 멸균상태의 수술실에서 시행된다. 응급을 시행하는 기관절개는 침상에서 무균적으로 시행해야 하면 부종, 손상 및 기타 상기도 폐쇄로 기관내관을 삽관하지 못할 때 시행한다.
3)기관절개관 환자의 간호
①기관절개관 관리
신체에서는 기관절개관을 이물질로 여기므로 분비물 생성을 증가시키는 반응을 보인다. 게다가 섬모운동이 손상되어 점막섬모의 전진운동이 제한된다. 기관 절개관은 방어적, 가습의 기전을 가진 상기도를 통과하지 안았기 때문에 환자들은 감염의 위험이 증가한다. 부적절한 기관절개관 관리와 장기간의 투브 삽입은 60~100% 기관지 감염을 초래한다. 상기도에 의한 가습기능의 차단으로 분비물이 짙어져서 기도폐쇄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48간이 경과 될 때 까지는 스토마에서부터 기관절개의 길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는다. 만약 기관절개관이 빠진다면 기관절개의 길이 막혀서 환자의 호흡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
기관절개술 시행 후 처음 며칠간은 소량의 출혈이 있을수 있다. 선혈의 출혈이나 지속적이 베어나옴시는 의자나 전문간호사의 주의를 받아야 한다. 이 첫 기간동안은 침대 머리를 30도 올려 구인두와 비강인두 배액을 도와야 한다.
기관절개관의 교환 시 간호는 다음의 과정에 따라 시행한다.
손을 씻는다.
환자를 과산소화 및 과환기 시킨다.
기도와 인두를 흡인하고 드레싱을 제거한다.
멸균용약 용기를 준비하고 용기의 안쪽을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100ml가량의 생리식염수나 증류수를 채운다.
장갑을 낀다.
산소공급장치를 떼어내고 캐뉼라를 제거한다. 스토마 부위를 소독한다.
새 캐뉼라를 끼우고 고정한다.
필요하면 산소 또는 인공호흡기의 산소공급을 다시 제공한다.
새로운 고정을 하기 위해 환자 목둘레를 두 번 돌릴 길이로 twill tape을 자른다.
Neck plate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도와 준다.
기존의 twill tape을 잘라서 제거한다.
끈의 한쪽 끝을 삽입하여 faceplate를 통과시키고 테이프를 반 정도까지 잡아당긴 후 남 은 한쪽의 구멍에 삽입하여 목 주위로 두줄의 tie가 되도록 잡아당겨 목의 옆쪽으로 이중 사각 매듭법으로 매듭짓는다.
Faceplate 밑에 깨끗한 기관절개 드레싱을 한다.
장갑을 벗어서 정해진 장소에 버린다.
환자의 호흡기계 상태를 제 사정한다.
사용한 기구를 정해진 장소에 버린다.
손을 씻는다.
2. 중심정맥압 (CVP ; Central venous pressure)
중심정맥압은 심장 주기에 따른 평균 우심방압을 말하며, 이는 삼첨판막이 열릴 때 우심실의 이완기말 압력을 반영한다. 우심방 내에 삽입한 중심정맥관이나 폐동맥 카테터를 통해 측정하며 정상치는 5-15cmH2O(0-7mmHg)의 범위이다.
1)중심정맥압 측정 방법
①수압력계 방법
-물기둥과 3-way stopcock를 이용하여 중심정맥압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호흡에 따라 압력치가 변화하여 흡기 시에는 압력치가 낮게 측정되고, 호기 시에는 압력치가 높게 측정된다. 이 때는 중심정맥압의 평균값을 읽는다.
②변환기방법
-중심정맥관과 압력계를 연결하여변 환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변환기는 기준점(phlebostatic point)에 놓고 환자를 45도 이상 높이지 않는 수평 자세를 취한다. 염점화 과정을 거친후 호기말에 압력치를 확인하여 기록한다.
중심정맥압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심정맥압을 감소시키는 요인
혈액양증가
심박출량증가
심기능저하
심장압전
심내막염
폐동맥고혈압
만성 좌심실부전
혈액량 감소
평균동맥압 감소
혈관확장(약물로인한)
3. 산소투여방법
-산소는 비강 캐뉼라, 비강 카테터, 안면 마스크, 재호흡 마스크 등의 저유량법과 벤츄리 마스크 등의 고유량법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공급될 수 있다.
산소 투여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적정 흡입 산소 농도 조절은 PaO₂70~100mmHg를 기준으로 한다. PaO₂60mmHg에서는 산소포화도는 90%이상을 유지할 수 있다. 만성 폐질환을 가진 환자는 이차적인 저산소증으로 인해 유도되는 호흡기전의 상실로 인한 호흡부전을 방지하도록 주의 깊게 산소를 제공해야 한다.
산소를 공급 하려면 흡입 산소의 농도를 결정 해야 하며 이때 기준이 되는 것은 FiO₂이며 보통 산소 %에 5를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6.01.25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49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