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적 관점에서의 뮤직비디오 토론과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페미니즘적 관점에서의 뮤직비디오 토론과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뮤직비디오 사례분석

3. 라깡주의 페미니즘적 접근

4. 헤게모니적 접근

5. 맺는 글

본문내용

나는 피지배 계급들이 표출하는 모순들을 해결할 수 있게 능동적이고 직접적인 합의를 도출하는 방식이다. 전자 같은 경우는 얼마 전까지의 우리 나라의 상황 또는 뮤직비디오에서 나타나는 모습들로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아예 반대의 목소리가 나오지 못하게 만들어 버리거나
) 뮤직비디오에 나오는 모든 여성들은 자신의 상황에 한치의 불만도 없어 보인다. 그네들의 삶은 오로지 남성들에 의해 좌우될 뿐이다. -아무런 생각 없이 하루하루를 살다가 주인공 남성을 만나서 삶의 활력을 얻었다거나, 그의 사랑을 얻지 못해 괴로워한다거나- 물론 짧게 표현해야 한다는 뮤직비디오의 속성을 이해한다거나, 영상으로만 표현해야 한다는 사실을 십분 감안한다고 하더라도, 이들의 모습은 우리 사회에서 정형화시킨 여성의 모습과 얼마나 닮아 있는가.
, 피지배 계급이 얻을 수 있는 이익을 최대한으로 보장해 주는 것이다.
) 오오오... 예쁜 여성이 우리 사회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들을 생각해 보라. 섹시한 여성이 우리 사회에서 누릴 수 있는 권리를 생각해 보라. 청순한 여성이 우리 사회에서 받고 있는 대우들을 생각해 보라. 어마어마하지 않은가. 그런데 우리가 어떻게 그런 이득들을 쉽게 포기할 수 있겠는가.. (물론, 이러한 이득들은 일생에서 몇 년간, 젊을 때에만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조금 더 교묘한 방법은 후자이다.
그리고 오늘날 우리 사회는 후자의 방법이 너무나도 극명하게 드러나 보이고 있다. 90년대 후반에 들어서서 '페미니즘'은 하나의 유행이 되었다. 성정치, 남성학, 여성과 남성의 분리, 성차별, 심지어는 남성들에 대한 역차별의 논의까지. 페미니즘의 담론은 홍수가 되었고, 이제 어지간히 보수적이지 않은 한, 여성과 남성을 가르려는 시도는 어리석고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 되었다. 적어도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것은 그러하다. 그러나 그러한 논의들이 얼마나 심도 깊게 이야기되고 있는가. 그러한 담론들이 얼마나 많은 이들에게 당연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가. 페미니즘을 말하면서 군 가산점은 정당하다 말하고, IMF의 고통을 말하면서 여성정리해고를, 가족 임금제를 당연하다 말하고 있지 아니한가.
이것이 바로 헤게모니의 교묘한 점이다. 올바르고 정당하게 논의되지도 못하고 페미니즘은 이제 구닥다리가 되어버리고 말았다. 여성들(로 대변되는 피지배 계급)이 표출하는 모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듯이 능동적이고 적당한 합의를 보여주는 듯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은 것이다.
) 대단하지 아니한가. 그 놀라운 힘에 경의의 박수를 보내야 마땅하지 않은가!
이제, 헤게모니는 우리 사회의 권력 관계를 은폐해버렸다. 남성과 여성의 문제는 하나의 권력으로서 그 폭력성이 드러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게 만들어 버렸다. 뮤직비디오에서 보여지는 여성들과 남성들은 그러한 사실들을 온몸으로 알려주고 있다. 근육질의 남성, 섹시하고 예쁜 여성, 그런 개인들은 이 사회에서 충분히 인정받으며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그를 위해서 나도 그렇게 되어야 한다는 것들을 한마디의 말도 없이 우리에게 너무나도 직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5. 맺는 글
지금까지 우리는 몇 가지 뮤직비디오의 구체적 분석과 함께 그 안에 담겨있는 가부장적이고 남성중심적인 이데올로기를 라깡주의 페미니즘과 헤게모니 관념에서 접근해 보았다. 물론 뮤직비디오를 비롯한 각종 영상물에 담겨있는 이데올로기를 여러 가지 다른 페미니즘적 시각을 적용하여 분석 가능하겠지만 그 중에서도 학기 전반부 수업시간을 통해 다루었으며 뮤직비디오라는 소재를 분석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된 이론들을 토대로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요컨대 점점 더 대중 문화의 한 장르로서 자리잡아가고 있는 뮤직비디오는 그 순간성과 영상의 즉흥성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 전체를 반영하는 가부장적, 그리고 남성 우월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런 사실은 우리 사회에 이미 이러한 이데올로기가 팽배하고 있으며 동시에 이런 영상물들이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고착화시키는데 한 몫을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 페미니즘조가 분석한 뮤직비디오는 수많은 것 중 일부에 불과하며 뮤직비디오 뿐 아니라 모든 영상 매체에 내재해 있는 거대한 이데올로기적 틀의 일부에 불과하다. 가부장적 지배 이데올로기는 좀 더 다양한 관점을 통해 분석되어질 필요가 있으며, 그러한 다양한 접근을 통하여 오늘날 우리가 몸담고 있는 사회의 일면을 파악하는 동시에 이를 토대로 21세기를 지배할 또 다른 종류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전망도 가능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09.07
  • 저작시기200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55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