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신경계의 구조
1. 중추신경계 : 뇌, 척수
2. 말초 신경계
(2) 신경계의 기능
1. 뉴런 (Neuron)
2. 축삭돌기 (Axon)
3. 시냅스 (Synapse)
4. 안정막 전위 (Resting potential)
5.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 (Excitatory postsynaptic potential = EPSP)
6. 억제성 시냅스 후 전위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 = IPSP)
1. 중추신경계 : 뇌, 척수
2. 말초 신경계
(2) 신경계의 기능
1. 뉴런 (Neuron)
2. 축삭돌기 (Axon)
3. 시냅스 (Synapse)
4. 안정막 전위 (Resting potential)
5.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 (Excitatory postsynaptic potential = EPSP)
6. 억제성 시냅스 후 전위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 = IPSP)
본문내용
막에 영향을 미쳐 나트륨이온 통로가 열린다. 나트륨이온은 세포 안으로 들어가 세포막을 탈분극 시키고 결국 활동전위가 유발된다. 이와 같은 막의 변화(탈분극)를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라 하며 약 15 msec 정도 지속된다.
6. 억제성 시냅스 후 전위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 = IPSP)
: 또 다른 신경전달물질이 수용기와 결합하여 칼륨이온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면, 막은 과분극 상태로 되며, 이러한 변화는 활동전위가 잘 유발되지 않도록 한다.
- 뉴우런에서 활동전위의 발생은 시냅스후전위에 미치는 효과들의 통
합된 합에 의해 결정된다.
즉, 통합된 효과가 "억제"보다 "흥분"이 높을 경우 역치에 도달되어
활동전위가 일어나며, 반대의 경우 흥분파는 전달되지 않는다.
6. 억제성 시냅스 후 전위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 = IPSP)
: 또 다른 신경전달물질이 수용기와 결합하여 칼륨이온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면, 막은 과분극 상태로 되며, 이러한 변화는 활동전위가 잘 유발되지 않도록 한다.
- 뉴우런에서 활동전위의 발생은 시냅스후전위에 미치는 효과들의 통
합된 합에 의해 결정된다.
즉, 통합된 효과가 "억제"보다 "흥분"이 높을 경우 역치에 도달되어
활동전위가 일어나며, 반대의 경우 흥분파는 전달되지 않는다.
키워드
추천자료
정상아와 뇌성마비아의 신경계 성숙
자극의 전달과 신경계
신생아의 정상적인 신경계 반응
노인간호학 요약 - 신경계 노화 건강문제 & 정신심리적 건강문제
[의학] 중추신경계의 구성요소
의학용어 정리 신경계
[물리치료학] 신경계질환 관련 물리치료의 종류와 기법
[신경해부생리] 자율신경계에 관해
성인실습 checklist (신경계)
신체발달 중에서 영아의 뇌와 신경계의 발달의 특성에 대해 설명해 보시오.
[신경외과 실습 보고서] 신경계 건강사정, 진단을 위한 검사에 따른 간호, 특수장치 및 치료...
뇌와 신경계 구조
[신경계조직의 연결물질] 내분비계, 호르몬, 신경전도물질
[간호학] 호흡기계 내분비계 신경계 변화에 따른 징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