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해부생리] 자율신경계에 관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해부생리] 자율신경계에 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발생기전에 관한 설명은 일부 내장통증섬유가 주어진 척수높이에서 체성통증섬유가 도달하는 동일한 척수시상로 세포로 모이고 뇌는 척수시상로의 신경자극을 신체부위의 통증으로 해석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연관통의 전형적인 유형에 대한 지식은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표. 자율신경 활성의 주요 생리학적 효과
구조 또는 계통
신경절이전교감
신경세포의 위치(PSN)
교감신경의 효과
신경절이전부교감
신경세포의 위치(PPN)
부교감신경의 효과
머리
E~W
수축(동공수축)
동공조임근
동공확대근
T1~T3
수축(동공확대)
위눈꺼풀판근
T1~T3
수축(눈꺼풀 올라감)
섬모체근
E~W
수축(적응)
눈물샘
T1~T3
분비감소
SSN
분비증가
침샘
T1~T3
분비감소, 점성증가
ISN, SSN
분비증가, 점성감소
솔방울샘
T1~T3
멜라토닌 합성증가
호흡기계통
기관지근육
T1~T5
이완
DMN X
수축
심혈관계통
심박률 및 심박출량
T1~T5
증가
NA
감소
동맥(뼈대근육)
T1~L3
수축 혹은 팽창
동맥(피부)
T1~L3
수축
동맥(내장)
T1~L3
수축
DMN X
팽창
위장관계통
운동
T6~L3
감소
DMN X
증가
조임근
T6~L3
수축
DMN X
이완
분비
T6~L3
감소
DMN X
증가
쓸개
T6~T9
이완
DMN X
수축
비뇨생식기계통
방광배뇨근
T12~L2
이완
S2~S4
수축
방광조임근
T12~L2
수축
S2~S4
이완
정낭, 사정관
T10~L1
수축(사정시)
음경/음핵동맥
T10~L1
팽창 혹은 수축
S2~S4
팽창(발기)
피부
땀샘
T10~L3
분비증가
털세움근
T10~L3
수축(소름돋음)
부신속질
T8~L1
분비증가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8.30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2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