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 하지에분포하는 척수신경의 집단인 오수 및 척수신경얼기의 가지에 의해 지배된다.
II. 근육생리
- 근육은 화학E를 직접 기계적E와 열로 전환시킬 수 있는 기계, 즉 에너지의 형태를
바꿀 수 있는 일종의 에너지변환기이다.
1. 골격근의 미세구조
- 근섬유는 근원섬유가 평행으로 나란히 근장속에 묻혀 있으며, 근원섬유 또한 많은 근
필라 멘트로 되어있다.
2.근육을 구성하는 단백질
① Myosin
- thick filament를 구성한다.
- actin과 결합하는 능력, 십자교(cross bridge) 형성, ATP ase 활동
② Actin
- thin filament를 구성
③Tropomyosin
④ troponin - Ca++과 친화력이 큰 단백질
3. 운동단위
- 척수의 전근에서 나오는 운동뉴런과 그 지배하에 있는 근섬유를 하나의 기능적 최소단위로 생각한다.
- 운동뉴런하나가 근섬유를 지배하는 것을 지배비율이라 부른다.
4. 신경과 근사이의 흥분전달
- 신경종말 : 운동신경의 섬유가 근섬유에 가까워지면 먼저 마이엘린 껍질이 없어지고, 근섬 유의 표면에 인접하게 되면 신경섬유의 끝이 약간 부풀어 올라 커지게 된다.
- 종판 : 신경종말이 접촉하는 근섬유의 근막은 약간 함몰되어 막이 두꺼워져있는것.
- 신경근연접 : 신경종말과 종판사이의 500A정도의 간격을말한다.
( 이 사이 세포질의 직접적 연락은 없다. )
- 아세틸콜린(Ach)과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Ach-E)
- 골격근 마비, 근경련과의 관련성
5. 근 수축기구
- 근수축은 액틴 필라멘트가 마이오신 필라멘트를 따라서 근절의 중앙으로 미끄러져 들어가 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 자극전달( 일정막전압 ) * 활동전압( 전위 )
* Ca+근장효모에서 분비 * Ca+ + troponin
6. 근 수축 에너지
- 근육이 수축하면 어떤 물질은 소모되고, 또 새로운 물질이 만들어진다.
- 근육 수축시에는 ATP, 당원질, 산소 및 유기 인산염 등이 소모되고, 젖산.탄산가스.무기 인 산염등이 만들어진다.
- ATP의 분해와 생성
ATP -> ADP + Pi + energy가 되면 합성된 에너지가 직접 근수축에 이용된다.
여기서의 ADP는 Adenyl acid kinase에 의해 2ADP -> ATP + AMP
CP로부터 ADP + CP -> ATP + creatine의 반응으로 ATP가 재합성된다.
7. 근 수축의 종류
1) 연축 twitch
- 전기적 역치 자극을 가하면 근육은 급속한 한 번의 수축을 일으키는것.
2) 강축 tetanus
- 근육에 단일 자극이 아닌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자극을 가하면 연축 때보다 큰힘 을 나타내고, 또 지속적인 수축을 일으키는것.
- 자극을 연속적으로 짧은 간격으로 가하면 근육에는 큰 장력이 발생하고 지속적으로 유지 되어 원활한 곡선을 그린다.
3) 긴장 tonus
- 근육 덩어리는 여러개의 운동단우기ㅏ 있어 운동신경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자극을 계속
받고있기 때문에 근육의 부분적인 수축을 지속하는것.
- 근육에 있는 여러 운동단위 중에서 일부분이 서로 번갈아 가면서 연축을 일으키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
4) 강직 contracture
- 골격근은 병적 상태에서 활동전압이 유발되지 않고서도 강축을 일으키는것.
8. 근육의 성질
1) 불응기
- 하나의 유효자극이 가해진 후 약 0.005초동안
- 이 기간동안 근육은 화학적, 물리적 회복이 이루져서 그다음의 자극에 대해 반응을 나타냄
2) 실무율
- 근섬유 하나의 연축의 크기는 자극의 종류나 역치이상의 자극에서 강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나타나는것.
3) 가중
- 자극에 대해 골격근이 수축하는 동안에 다시 다른 자극을 가하면 앞선 자극으로 생기게된 수축곡선이 훨신 크게 나타나는것.
4) 근전도
- 근육의 활동을 음극선 오실로스코프로 기록하는 것.
5) 마비
- 흥분 전달 경과중에 어느부위에서든지 손상이 일어나면 흥분 전달이 차단되어 해당 근육 이 수축을 일으킬 수가 없게되는 상태.
9. 심장근
- 가로무늬근으로 근원섬유는 명대/암대가 나타남
- 불수의근이며 자동능을 발휘한다.
- 특징으로는 특수한 흥분전도계에 의해 자율적으로
주기적수축/이완이 이루어진다.
10. 평활근
- 독립적으로 수축하는 불수의근
- 내장, 즉 위, 장. 자궁, 혈관등의 근육이 이에 속함.
- 유일하게 횡무늬가 없다.
- 서서히, 오래 지속하는 수축을 일으키고 자율신경의
지배하에 있으며, 평활근 자체가 intrinsic tone을 가지고있다.
- 하지에분포하는 척수신경의 집단인 오수 및 척수신경얼기의 가지에 의해 지배된다.
II. 근육생리
- 근육은 화학E를 직접 기계적E와 열로 전환시킬 수 있는 기계, 즉 에너지의 형태를
바꿀 수 있는 일종의 에너지변환기이다.
1. 골격근의 미세구조
- 근섬유는 근원섬유가 평행으로 나란히 근장속에 묻혀 있으며, 근원섬유 또한 많은 근
필라 멘트로 되어있다.
2.근육을 구성하는 단백질
① Myosin
- thick filament를 구성한다.
- actin과 결합하는 능력, 십자교(cross bridge) 형성, ATP ase 활동
② Actin
- thin filament를 구성
③Tropomyosin
④ troponin - Ca++과 친화력이 큰 단백질
3. 운동단위
- 척수의 전근에서 나오는 운동뉴런과 그 지배하에 있는 근섬유를 하나의 기능적 최소단위로 생각한다.
- 운동뉴런하나가 근섬유를 지배하는 것을 지배비율이라 부른다.
4. 신경과 근사이의 흥분전달
- 신경종말 : 운동신경의 섬유가 근섬유에 가까워지면 먼저 마이엘린 껍질이 없어지고, 근섬 유의 표면에 인접하게 되면 신경섬유의 끝이 약간 부풀어 올라 커지게 된다.
- 종판 : 신경종말이 접촉하는 근섬유의 근막은 약간 함몰되어 막이 두꺼워져있는것.
- 신경근연접 : 신경종말과 종판사이의 500A정도의 간격을말한다.
( 이 사이 세포질의 직접적 연락은 없다. )
- 아세틸콜린(Ach)과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Ach-E)
- 골격근 마비, 근경련과의 관련성
5. 근 수축기구
- 근수축은 액틴 필라멘트가 마이오신 필라멘트를 따라서 근절의 중앙으로 미끄러져 들어가 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 자극전달( 일정막전압 ) * 활동전압( 전위 )
* Ca+근장효모에서 분비 * Ca+ + troponin
6. 근 수축 에너지
- 근육이 수축하면 어떤 물질은 소모되고, 또 새로운 물질이 만들어진다.
- 근육 수축시에는 ATP, 당원질, 산소 및 유기 인산염 등이 소모되고, 젖산.탄산가스.무기 인 산염등이 만들어진다.
- ATP의 분해와 생성
ATP -> ADP + Pi + energy가 되면 합성된 에너지가 직접 근수축에 이용된다.
여기서의 ADP는 Adenyl acid kinase에 의해 2ADP -> ATP + AMP
CP로부터 ADP + CP -> ATP + creatine의 반응으로 ATP가 재합성된다.
7. 근 수축의 종류
1) 연축 twitch
- 전기적 역치 자극을 가하면 근육은 급속한 한 번의 수축을 일으키는것.
2) 강축 tetanus
- 근육에 단일 자극이 아닌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자극을 가하면 연축 때보다 큰힘 을 나타내고, 또 지속적인 수축을 일으키는것.
- 자극을 연속적으로 짧은 간격으로 가하면 근육에는 큰 장력이 발생하고 지속적으로 유지 되어 원활한 곡선을 그린다.
3) 긴장 tonus
- 근육 덩어리는 여러개의 운동단우기ㅏ 있어 운동신경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자극을 계속
받고있기 때문에 근육의 부분적인 수축을 지속하는것.
- 근육에 있는 여러 운동단위 중에서 일부분이 서로 번갈아 가면서 연축을 일으키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
4) 강직 contracture
- 골격근은 병적 상태에서 활동전압이 유발되지 않고서도 강축을 일으키는것.
8. 근육의 성질
1) 불응기
- 하나의 유효자극이 가해진 후 약 0.005초동안
- 이 기간동안 근육은 화학적, 물리적 회복이 이루져서 그다음의 자극에 대해 반응을 나타냄
2) 실무율
- 근섬유 하나의 연축의 크기는 자극의 종류나 역치이상의 자극에서 강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나타나는것.
3) 가중
- 자극에 대해 골격근이 수축하는 동안에 다시 다른 자극을 가하면 앞선 자극으로 생기게된 수축곡선이 훨신 크게 나타나는것.
4) 근전도
- 근육의 활동을 음극선 오실로스코프로 기록하는 것.
5) 마비
- 흥분 전달 경과중에 어느부위에서든지 손상이 일어나면 흥분 전달이 차단되어 해당 근육 이 수축을 일으킬 수가 없게되는 상태.
9. 심장근
- 가로무늬근으로 근원섬유는 명대/암대가 나타남
- 불수의근이며 자동능을 발휘한다.
- 특징으로는 특수한 흥분전도계에 의해 자율적으로
주기적수축/이완이 이루어진다.
10. 평활근
- 독립적으로 수축하는 불수의근
- 내장, 즉 위, 장. 자궁, 혈관등의 근육이 이에 속함.
- 유일하게 횡무늬가 없다.
- 서서히, 오래 지속하는 수축을 일으키고 자율신경의
지배하에 있으며, 평활근 자체가 intrinsic tone을 가지고있다.
추천자료
남성과 여성의 생식기 구조와 기능 및 월경주기 배란주기와 생리적인 관계
산욕기의 정의와 신체적 변화 임상생리
근골격계 및 관절기능장애 아동 간호
근골격계 정리
골격계와 근육계의 이해 (뼈의 생리적인작용, 뼈의기본적인구조, 뼈의발생과성장, 골격근의 ...
소장,대장의 구조와 생리
간암 간호 사례 연구 - HCC 원인, 병태생리
여성건강간호학2 학습점검 (38장 산모의 생리적 적응, 39장 부모의 사회심리적 적응, 40장 산...
★ 성인간호학 - 폐렴 ( 정의, 분류, 병태생리, 원인과 위험요인, 발생빈도, 임상증상, 진단, ...
근골격계 질환 예방 교육
[노인간호학] 노인의 활동과 운동, 노화에 따른 생리학적특징, 운동과활동, 운동요법, 노인의...
폐렴, 폐렴정의, 폐렴분류, 폐렴병태생리, 폐렴빈도, 폐렴위험요인, 폐렴증상, 폐렴치료, 폐...
[성인간호] 대동맥판 협착증(Aorta stenosis) 병태생리 및 간호진단
[성인간호] 신우신염 Pyelonephritis 병태생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