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부동 아동 The Immobilized Child>
<외상성 장애>
<선천성 결함 Congenital Defects>
<후천적 결함>
<뼈와 관절의 감염 Infection Of Bones And Joints>
<뼈와 연조직의 종양 Bone And Soft Tissue Tumors>
<관절장애 Disorders Of Joints>
<외상성 장애>
<선천성 결함 Congenital Defects>
<후천적 결함>
<뼈와 관절의 감염 Infection Of Bones And Joints>
<뼈와 연조직의 종양 Bone And Soft Tissue Tumors>
<관절장애 Disorders Of Joints>
본문내용
가진 아동은 격리시킴.
_식욕 좋아질 때 까지 과일쥬스, 젤리, 얼음탄산수 등과 같이 고칼로리의 액체음식 권장
_기분전환, 건설적인 활동
_감염 진정되면 물리치료
2.패혈성 관절염 Septic(suppurative, pyogenic, purelent) arthritis
_원인균 : 포도상구균, A군 연쇄상 구균, 인플루엔자
_진단 : 혈액 배양, 관절액의 흡인, 방사선사진
1)치료관리와 간호
_정맥용 항생제 요법
_통증경감
_관절부동화
_치료완료시까지 체중부하 금지
3.결핵 Tuberculosis
_인접하는 골수염으로부터 전파됨.
_치료 : 부동술, 수술 괴사조직제거술, 1년간 경구 항결핵 화학요법
1)간호
-결핵화학요법을 모니터링.
<뼈와 연조직의 종양 Bone And Soft Tissue Tumors>
1.골종양의 일반적 개념 General concepts : bone tumors
_호발연령은 15~19세. 사춘기남아(2배) > 사춘기여아.
>사춘기동안 남아에게 최고의 발생을 보이는 것은 뼈조직의 가속성장률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됨.
1)진단평가 : 방사선검사(CT scan, 방사성 동위원소에 의한 뼈스캔), 뼈조직검사
2.골육종 Osteogenic sarcoma
1)치료관리
_수술, 사지복구방법
2)간호
_아동에게 수술 며칠 전에 상황을 알려주어 진단과 치료에 대해 생각하고 질문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줘야 함.
_대화시 적극적 대응.
_수술전에 화학요법과 부작용에 대해 정보 제공
_환상사지통증
- 절단 후 그 부위에 통증, 욱신거림, 가려움, 타는듯함, 경련 등이 느껴진다고 할 수가 있는데 이는 실제가 아닌 상상으로 인한 것임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3.유잉육종 (원시 신경외배엽 종양) Ewing sarcoma,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
1)치료관리 : 절단은 권고되는 방법은 아니나 방사선 치료의 결과 관련된 사지가 사용할 수 없거나 기형이 될 때, 또는 종양이 제거될 것 같은 때에는 절단을 고려할 수 있음.
2)간호
_골수천자, 수술적 생검, 치료처방 등에 대한 적절한 설명으로 아동과 가족을 준비시킴.
_방사선 조사부위는 느슨한 옷 착용, 햇빛과 온도의 급격한 변화에 대하여 보온 패드나 얼음팩의 사용을 피하는 것 등으로 보호해야 함.
4.횡문근육종 Rhabdomyosarcoma : 5세 이하 아동의 머리와 목 안와부위에 호발하는 고형 종양.
1)진단평가
_안와병소는 병의 초기단계에 징후를 나타내서 신속한 진단과 예후에 기여함
_그러나 다른 부위의 증상은 매우 애매하며 귀앓이, 콧물 나오는 코와 같은 일반적 아동기 질환을 나타냄.
_흉부 방사선 검사, 흉부 CTscan, 뼈검사, 골수천자, 요추천자, 생검
2)치료관리 : 복합적 강력치료 권고. 가능하면 일차척 종양제거. 다량의 방사선조사 권고. 약물요법은 1~2년간 지속.
3)간호
암 환자 간호와 유사.
<관절장애 Disorders Of Joints>
1.연소성 류머티스성 관절염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JRA
1)병태생리 : 관절에 삼출액 및 관절 연골의 침식, 파괴 및 섬유증을 초래하는 활막의 만성적 염증.
2)임상증상
_영향을 받은 관절에 강직, 종창과 운동소실.
_관절의 아침강직이나 "젤화"가 특징이며 아침기상시 또는 비활동 이후에 나타남.
_심하고 오래된 경우 성장이 지연.
3)진단평가
-전신형으로의 확대시 백혈구 증가가 자주 발생함.
4)치료관리
_치료목표는 관절기능 유지, 의원성 해가 없이 증상을 완화하는 것.
_약물요법 -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투여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보다 완만히 작용하는 항류머티스 약제 slower acting antirheumatic drugs, SAARDs
-코티코 스테로이드제 corticosteroids
-면역학적 조정제 immunologic modulator
_신체적관리
-물리치료
-작업치료
-수영장에서의 운동
5)간호
_통증의 완화
_일반적인 건강의 증진 - 충분한 칼로리의 균형 잡힌 식사, 수면과 휴식(단단한 매트리스, 가열된 물침대, 전기담요, 슬리핑백 - 온기와 안락 제공)
_이행의 촉진 - 치료계획에 아동과 가족 모두가 참여. 부목과 기구, 투약처방의 목적과 올바른 사용법에 대한 교육
_열과 운동에 대한 격려 - 습열이 통증과 뻣뻣함을 완화하는데 매우 좋으며, 가장 효율적이고 실제적인 방법은 따뜻한 물이 있는 욕조.
- 수영요법은 근육을 강화시키고 큰 관절의 운동성을 유지해줌.
_아동과 가족에 대한지지
2.전신성 홍반성 낭창 Systemic lupus erythemato년, SLE : 신체의 콜라겐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자가 면역 장애이다.
- 원인 : unknown 다만 잠재적으로 약물, 감염, 태양노출, 스트레스 및 화학물 등을 포함하여 홀몬상의 불균형, 면역이상 및 환경적 노출 등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1)임상증상 및 진단평가
- SLE아동은 경증에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증상을 갖고 있을 수 있다. 신장에 침범됐다면 이는 병의 진행과 엄격한 치료관리의 필요성을 알리는 것이다.
2)치료관리
_염증조절 - 부신피질호르몬제 >염증을 조절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을 투여하다가 최저의 억제량으로 점차 줄인다.
_발진과 관절염완화 - 항말라리아제
_근육과 관절염완화 - NSAIDs
_신장 및 중추신경계통의 질병 관리 - cyclophosphamide와 같은 면역억제제
_합병증 관리 - 항고혈압제, 아스피린, 항생제가 추가될 수 있다.
_충분한 영양섭취, 수면 및 휴식, 운동.
_햇빛과 자외선B의 노출은 SLE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어 피하도록 교육한다.
3)간호
_신체상문제(발진, 탈모, 스테로이드제제 사용에 따른 문제, 학교출석, 직업상 활동, 사회적 관계, 성적인 활동과 임신 등)에 대한 간호중재가 요구된다.
_일광차단, 야외활동의 변경, 광선에의 노출을 피하기 위한 특수지침은 동료와 다르다는 느낌을 최소화하면서 이행을 강화하기 위하여 매우 민감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_식욕 좋아질 때 까지 과일쥬스, 젤리, 얼음탄산수 등과 같이 고칼로리의 액체음식 권장
_기분전환, 건설적인 활동
_감염 진정되면 물리치료
2.패혈성 관절염 Septic(suppurative, pyogenic, purelent) arthritis
_원인균 : 포도상구균, A군 연쇄상 구균, 인플루엔자
_진단 : 혈액 배양, 관절액의 흡인, 방사선사진
1)치료관리와 간호
_정맥용 항생제 요법
_통증경감
_관절부동화
_치료완료시까지 체중부하 금지
3.결핵 Tuberculosis
_인접하는 골수염으로부터 전파됨.
_치료 : 부동술, 수술 괴사조직제거술, 1년간 경구 항결핵 화학요법
1)간호
-결핵화학요법을 모니터링.
<뼈와 연조직의 종양 Bone And Soft Tissue Tumors>
1.골종양의 일반적 개념 General concepts : bone tumors
_호발연령은 15~19세. 사춘기남아(2배) > 사춘기여아.
>사춘기동안 남아에게 최고의 발생을 보이는 것은 뼈조직의 가속성장률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됨.
1)진단평가 : 방사선검사(CT scan, 방사성 동위원소에 의한 뼈스캔), 뼈조직검사
2.골육종 Osteogenic sarcoma
1)치료관리
_수술, 사지복구방법
2)간호
_아동에게 수술 며칠 전에 상황을 알려주어 진단과 치료에 대해 생각하고 질문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줘야 함.
_대화시 적극적 대응.
_수술전에 화학요법과 부작용에 대해 정보 제공
_환상사지통증
- 절단 후 그 부위에 통증, 욱신거림, 가려움, 타는듯함, 경련 등이 느껴진다고 할 수가 있는데 이는 실제가 아닌 상상으로 인한 것임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3.유잉육종 (원시 신경외배엽 종양) Ewing sarcoma, Primitive neuroectodermal tumor
1)치료관리 : 절단은 권고되는 방법은 아니나 방사선 치료의 결과 관련된 사지가 사용할 수 없거나 기형이 될 때, 또는 종양이 제거될 것 같은 때에는 절단을 고려할 수 있음.
2)간호
_골수천자, 수술적 생검, 치료처방 등에 대한 적절한 설명으로 아동과 가족을 준비시킴.
_방사선 조사부위는 느슨한 옷 착용, 햇빛과 온도의 급격한 변화에 대하여 보온 패드나 얼음팩의 사용을 피하는 것 등으로 보호해야 함.
4.횡문근육종 Rhabdomyosarcoma : 5세 이하 아동의 머리와 목 안와부위에 호발하는 고형 종양.
1)진단평가
_안와병소는 병의 초기단계에 징후를 나타내서 신속한 진단과 예후에 기여함
_그러나 다른 부위의 증상은 매우 애매하며 귀앓이, 콧물 나오는 코와 같은 일반적 아동기 질환을 나타냄.
_흉부 방사선 검사, 흉부 CTscan, 뼈검사, 골수천자, 요추천자, 생검
2)치료관리 : 복합적 강력치료 권고. 가능하면 일차척 종양제거. 다량의 방사선조사 권고. 약물요법은 1~2년간 지속.
3)간호
암 환자 간호와 유사.
<관절장애 Disorders Of Joints>
1.연소성 류머티스성 관절염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 JRA
1)병태생리 : 관절에 삼출액 및 관절 연골의 침식, 파괴 및 섬유증을 초래하는 활막의 만성적 염증.
2)임상증상
_영향을 받은 관절에 강직, 종창과 운동소실.
_관절의 아침강직이나 "젤화"가 특징이며 아침기상시 또는 비활동 이후에 나타남.
_심하고 오래된 경우 성장이 지연.
3)진단평가
-전신형으로의 확대시 백혈구 증가가 자주 발생함.
4)치료관리
_치료목표는 관절기능 유지, 의원성 해가 없이 증상을 완화하는 것.
_약물요법 -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투여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보다 완만히 작용하는 항류머티스 약제 slower acting antirheumatic drugs, SAARDs
-코티코 스테로이드제 corticosteroids
-면역학적 조정제 immunologic modulator
_신체적관리
-물리치료
-작업치료
-수영장에서의 운동
5)간호
_통증의 완화
_일반적인 건강의 증진 - 충분한 칼로리의 균형 잡힌 식사, 수면과 휴식(단단한 매트리스, 가열된 물침대, 전기담요, 슬리핑백 - 온기와 안락 제공)
_이행의 촉진 - 치료계획에 아동과 가족 모두가 참여. 부목과 기구, 투약처방의 목적과 올바른 사용법에 대한 교육
_열과 운동에 대한 격려 - 습열이 통증과 뻣뻣함을 완화하는데 매우 좋으며, 가장 효율적이고 실제적인 방법은 따뜻한 물이 있는 욕조.
- 수영요법은 근육을 강화시키고 큰 관절의 운동성을 유지해줌.
_아동과 가족에 대한지지
2.전신성 홍반성 낭창 Systemic lupus erythemato년, SLE : 신체의 콜라겐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자가 면역 장애이다.
- 원인 : unknown 다만 잠재적으로 약물, 감염, 태양노출, 스트레스 및 화학물 등을 포함하여 홀몬상의 불균형, 면역이상 및 환경적 노출 등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1)임상증상 및 진단평가
- SLE아동은 경증에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증상을 갖고 있을 수 있다. 신장에 침범됐다면 이는 병의 진행과 엄격한 치료관리의 필요성을 알리는 것이다.
2)치료관리
_염증조절 - 부신피질호르몬제 >염증을 조절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을 투여하다가 최저의 억제량으로 점차 줄인다.
_발진과 관절염완화 - 항말라리아제
_근육과 관절염완화 - NSAIDs
_신장 및 중추신경계통의 질병 관리 - cyclophosphamide와 같은 면역억제제
_합병증 관리 - 항고혈압제, 아스피린, 항생제가 추가될 수 있다.
_충분한 영양섭취, 수면 및 휴식, 운동.
_햇빛과 자외선B의 노출은 SLE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어 피하도록 교육한다.
3)간호
_신체상문제(발진, 탈모, 스테로이드제제 사용에 따른 문제, 학교출석, 직업상 활동, 사회적 관계, 성적인 활동과 임신 등)에 대한 간호중재가 요구된다.
_일광차단, 야외활동의 변경, 광선에의 노출을 피하기 위한 특수지침은 동료와 다르다는 느낌을 최소화하면서 이행을 강화하기 위하여 매우 민감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실습컨퍼-AGE: Acute Gastroenteritis
아동간호학 신생아실 cleft palate&lip 케이스
아동간호학- 유아기의 성장, 발달
[아동간호학]밥 안먹는 아이 부모교육 보고서 및 교육자료
아동간호학실습 : TTN(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 폐렴(pneumonia) & 인플루엔자 케이스
아동간호학case study-인플루엔자
아동간호학 황달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 병동 case study - pneumonia A받은 자료
아동간호 NICU case study - 미숙아 (A++자료)
<아동간호학> 소아과 병동 실습 과제
아동간호학 - 호흡기계 응급상황 (호흡부전, 심폐소생, 기도폐쇄, 비감염성 물질에 의한 폐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