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관념론
-독일관념론
-인물로 살펴보기
플라톤, 칸트, 피히테, 셸링, 헤겔
-간단정리
-관련용어
Ⅱ.실재론
-간단정리
-관련용어
-독일관념론
-인물로 살펴보기
플라톤, 칸트, 피히테, 셸링, 헤겔
-간단정리
-관련용어
Ⅱ.실재론
-간단정리
-관련용어
본문내용
배후에 실재하는 객관적 성질로서 물리적인 연장·고체성·운동 등의 제 1 성질을 생각하는 경향(P. 가상디·J. 로크 등)이 있고, 인식의 근대과학에 의한 설명과 물질의 기계관적고찰 진전에 따라서 유력해졌다. 그러나 경험적 대상으로서는 제 1 성질이 제 2 성질과 마찬가지로 주관과 상대적이라는 사실이 명확하고, 연장이나 운동 그것 자체는 경험에서 오는 추상의 소산이다. 더구나 과학적 탐구는 실재적 성질에 대한 정의를 부단히 변화시킨다. 이상과 같은 점에서 이 입장도 문제를 지니고 있다.
3) 칸트와 그 이후의 입장:그래서 다시 I. 칸트는 제 1 성질도 포함한 경험적 인식의 모든 대상을 <현상>으로 보고, 그 배후에 인식의 가능성을 초월한 <물자체>를 상정하였다. 칸트 이후의 다양한 실재론의 입장은 물자체라고 하는 문제의 개념을 둘러싸고 생겨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19세기에서 20세기에 걸쳐서 G.W.F. 헤겔을 정점으로 하는 독일관념론에 대한 반동·비판으로서 전 유럽에 다채로운 실재론·실증주의의 입장이 생겼다. 칸트를 더욱 실재론적으로 해석하려고 한 신칸트학파의 A. 릴·N. 하르트만 등과, 유물론·모사설을 주장하면서도 소박실재론과 객관의 정적인 인식이라고 하는 생각을 버리고 동적인 과학적 실재론 입장을 취한 변증법적 유물론 등이 그 예이다.
4) 현대 영미철학의 실재론:이상의 유럽대륙, 특히 독일을 중심으로 한 흐름 외에 영국·미국에 유력한 현대실재론이 있다. 다시 말해서 20세기 초두의 케임브리지분석학파 B.A. 러셀·G.E. 무어·L.J.J. 비트겐슈타인 등은 영국헤겔학파의 관념론에 대한 비판으로서 대두했으며, 그들의 이론은 미국의 현대실재론과 함께 신실재론이라고 한다. 후자는 공동논집 《신실재론(1912)》을 간행한 R.B. 페리·스폴딩 등 6명의 견지인데, 그들은 프래그머티즘의 진리관도 주관적이라고 생각하고, 추상적 대상도 포함한 광의의 객관이 의식으로부터 독립된 것임을 인정하여, 그것과 외적관계에서 인식은 성립된다고 생각하였다. 이상은 일괄해서 비판적 실재론이라고도 하는데, 이 명칭은 좁게는 영국의 G.D. 힉스와, 특히 《비판실재론논집 1920)》을 공동연구의 성과로서 간행한 7명의 미국 철학자 G. 산타야나·A.O. 러브조이 등을 말한다. 그들은 주관주의의 오류를 지적함과 동시에 페리 등의 극단적인 실재론도 비판했고, 지각작용, 성질복합으로서의 소여, 지각의 대상 등 삼자의 구별과 존재를 인정한다. 프래그머티즘도 일종의 경험적 실재론이라고 말할 수 있으나, 다시 케임브리지분석학파의 영향을 받은 논리실증주의, 그리고 이 학파의 무어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흐름을 받아들인 영국 일상언어학파의 경향은 경험적 실재론으로서도 매우 중요한 논점을 갖고 있다. 논리실증주의는 실재론과 관념론 및 양자의 대립 그 자체가 언어 용법의 혼란으로부터 발생하는 형이상학적 의사문제라고 생각한다. 또한 후기 비트겐슈타인은 외적 대상의 실재적 확실성은 이미 그 증거의 바닥이 드러나, 정당화가 불필요·불가능한 생의 근원적 형식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일상언어학파 가운데에는 철학용어에 의한 비일상적인 추상적 개괄화를 벗어난다면, 경험적 대상의 실재를 인정하는 상식적 입장을 자연이라고 생각하는 오스틴과 같이 <착각>에 의한 실재론 비판을 부당하다고 보는 견지도 있다. 위의 경향의 의의로는 ① 상식철학의 실재론적 발달 ② 경험의 배후에 있는 원리적으로 비경험적 실재와의 관계를 논하는 전통적 경향의 근본적 난점 배제 ③ 개념실재론과 같이 과학적 여러 성질이나 법칙을 실체화하지 않고 그것들을 경험에서 추상하고 구성한 기호체계라고 생각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프래그머티즘은 이런 종류의 계기를 경험 이해를 위한 도구·수단으로 보는 유연하고 융통성 있는 관점을 취하고 있다.
간단정리
실재론 (Realism)
일반적 성격
외적이고 객관적인 세게인 물질은 인간의 인식과 독립적이므로 인간의 경험과 지식은 별계이며, 이 세계는 우리들의 지각에 의해 영향을 받니 않는다.
이 우주는 형상이나 관념 또는 마음으로 환원될 수 없으므로 사람이나 마음, 관념, 의식이 조재하지 않더라도 물질은 계속 존재한다.
관념은 물질적 대상과 독립적이므로 경험은 감각적 대상물에 대한 것이며, 지식은 이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관념이다.
실재론의 세 가지 입장
고전적 실재론 : 아리스토텔레스. 질료와 형상으로 구별.
신실재론 : 보편성은 독립적인 존재로서 우리가 의식적으로 자각하지 않을 때에도 존재한다. 이를 존속적 원리라고 한다. 특수와 보편은 직접적으로 알려진다.
비판적 실재론 : 사물은 고립해서는 알 수 가 없으며, 다른 것과 완전히 독립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실재론의 교육관
외적, 객관적 세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과 그 성과로서의 과학적 지식을 중시한다.
과학적 방법을 통한 교육방법 중시. 교사의 주도권을 존중하되 아동의 흥미와 지적 호기심을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해야 한다.
교육 내용으로는 알아야할 가치가 있는 실재로, 실험과 관찰을 중시한다.
현대 교육에서의 실재론의 의의
현대교육에서 과학 교육을 강조.
자연 과학이나 수학 등을 가르칠 때에 교과서나 강의를 통해 그것의 논리적 순서와 체계를 중시.
한계
경험적 지식을 강조함으로써 창조적 이성 기능 역할을 소홀히 다루었다.
상대적으로 인문학 경시, 보수적 전통적 지식의 전달에 치우쳤고 개인차를 무시하였으며, 변화를 수용하지 않았다.
관련용어
유물론 唯物論 (materialism)
물질을 제1차적·근본적인 실재로 생각하고, 마음이나 정신을 부차적·파생적인 것으로 보는 철학설.
형이상학 形而上學 (metaphysics)
라틴어 metaphysica의 역어(譯語)로 세계의 궁극적 근거를 연구하는 학문.
§참고자료목록
서양철학의 흐름- 이와자끼 다께요 |이문출판사 |2002
플라톤철학과 그 영향 - 박희영 |서광서 | 2001
서양철학사 - S.P. 램프레히트 | 을유문화사 | 2001
서양철학의 파노라마 1,2 - 앤소니 고틀립 | 산해 | 2002
인터넷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세계백과대사전 이병수
인터넷 자료
3) 칸트와 그 이후의 입장:그래서 다시 I. 칸트는 제 1 성질도 포함한 경험적 인식의 모든 대상을 <현상>으로 보고, 그 배후에 인식의 가능성을 초월한 <물자체>를 상정하였다. 칸트 이후의 다양한 실재론의 입장은 물자체라고 하는 문제의 개념을 둘러싸고 생겨난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19세기에서 20세기에 걸쳐서 G.W.F. 헤겔을 정점으로 하는 독일관념론에 대한 반동·비판으로서 전 유럽에 다채로운 실재론·실증주의의 입장이 생겼다. 칸트를 더욱 실재론적으로 해석하려고 한 신칸트학파의 A. 릴·N. 하르트만 등과, 유물론·모사설을 주장하면서도 소박실재론과 객관의 정적인 인식이라고 하는 생각을 버리고 동적인 과학적 실재론 입장을 취한 변증법적 유물론 등이 그 예이다.
4) 현대 영미철학의 실재론:이상의 유럽대륙, 특히 독일을 중심으로 한 흐름 외에 영국·미국에 유력한 현대실재론이 있다. 다시 말해서 20세기 초두의 케임브리지분석학파 B.A. 러셀·G.E. 무어·L.J.J. 비트겐슈타인 등은 영국헤겔학파의 관념론에 대한 비판으로서 대두했으며, 그들의 이론은 미국의 현대실재론과 함께 신실재론이라고 한다. 후자는 공동논집 《신실재론(1912)》을 간행한 R.B. 페리·스폴딩 등 6명의 견지인데, 그들은 프래그머티즘의 진리관도 주관적이라고 생각하고, 추상적 대상도 포함한 광의의 객관이 의식으로부터 독립된 것임을 인정하여, 그것과 외적관계에서 인식은 성립된다고 생각하였다. 이상은 일괄해서 비판적 실재론이라고도 하는데, 이 명칭은 좁게는 영국의 G.D. 힉스와, 특히 《비판실재론논집 1920)》을 공동연구의 성과로서 간행한 7명의 미국 철학자 G. 산타야나·A.O. 러브조이 등을 말한다. 그들은 주관주의의 오류를 지적함과 동시에 페리 등의 극단적인 실재론도 비판했고, 지각작용, 성질복합으로서의 소여, 지각의 대상 등 삼자의 구별과 존재를 인정한다. 프래그머티즘도 일종의 경험적 실재론이라고 말할 수 있으나, 다시 케임브리지분석학파의 영향을 받은 논리실증주의, 그리고 이 학파의 무어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흐름을 받아들인 영국 일상언어학파의 경향은 경험적 실재론으로서도 매우 중요한 논점을 갖고 있다. 논리실증주의는 실재론과 관념론 및 양자의 대립 그 자체가 언어 용법의 혼란으로부터 발생하는 형이상학적 의사문제라고 생각한다. 또한 후기 비트겐슈타인은 외적 대상의 실재적 확실성은 이미 그 증거의 바닥이 드러나, 정당화가 불필요·불가능한 생의 근원적 형식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일상언어학파 가운데에는 철학용어에 의한 비일상적인 추상적 개괄화를 벗어난다면, 경험적 대상의 실재를 인정하는 상식적 입장을 자연이라고 생각하는 오스틴과 같이 <착각>에 의한 실재론 비판을 부당하다고 보는 견지도 있다. 위의 경향의 의의로는 ① 상식철학의 실재론적 발달 ② 경험의 배후에 있는 원리적으로 비경험적 실재와의 관계를 논하는 전통적 경향의 근본적 난점 배제 ③ 개념실재론과 같이 과학적 여러 성질이나 법칙을 실체화하지 않고 그것들을 경험에서 추상하고 구성한 기호체계라고 생각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프래그머티즘은 이런 종류의 계기를 경험 이해를 위한 도구·수단으로 보는 유연하고 융통성 있는 관점을 취하고 있다.
간단정리
실재론 (Realism)
일반적 성격
외적이고 객관적인 세게인 물질은 인간의 인식과 독립적이므로 인간의 경험과 지식은 별계이며, 이 세계는 우리들의 지각에 의해 영향을 받니 않는다.
이 우주는 형상이나 관념 또는 마음으로 환원될 수 없으므로 사람이나 마음, 관념, 의식이 조재하지 않더라도 물질은 계속 존재한다.
관념은 물질적 대상과 독립적이므로 경험은 감각적 대상물에 대한 것이며, 지식은 이 대상으로부터 얻어진 관념이다.
실재론의 세 가지 입장
고전적 실재론 : 아리스토텔레스. 질료와 형상으로 구별.
신실재론 : 보편성은 독립적인 존재로서 우리가 의식적으로 자각하지 않을 때에도 존재한다. 이를 존속적 원리라고 한다. 특수와 보편은 직접적으로 알려진다.
비판적 실재론 : 사물은 고립해서는 알 수 가 없으며, 다른 것과 완전히 독립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실재론의 교육관
외적, 객관적 세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는 과학적 방법과 그 성과로서의 과학적 지식을 중시한다.
과학적 방법을 통한 교육방법 중시. 교사의 주도권을 존중하되 아동의 흥미와 지적 호기심을 만족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해야 한다.
교육 내용으로는 알아야할 가치가 있는 실재로, 실험과 관찰을 중시한다.
현대 교육에서의 실재론의 의의
현대교육에서 과학 교육을 강조.
자연 과학이나 수학 등을 가르칠 때에 교과서나 강의를 통해 그것의 논리적 순서와 체계를 중시.
한계
경험적 지식을 강조함으로써 창조적 이성 기능 역할을 소홀히 다루었다.
상대적으로 인문학 경시, 보수적 전통적 지식의 전달에 치우쳤고 개인차를 무시하였으며, 변화를 수용하지 않았다.
관련용어
유물론 唯物論 (materialism)
물질을 제1차적·근본적인 실재로 생각하고, 마음이나 정신을 부차적·파생적인 것으로 보는 철학설.
형이상학 形而上學 (metaphysics)
라틴어 metaphysica의 역어(譯語)로 세계의 궁극적 근거를 연구하는 학문.
§참고자료목록
서양철학의 흐름- 이와자끼 다께요 |이문출판사 |2002
플라톤철학과 그 영향 - 박희영 |서광서 | 2001
서양철학사 - S.P. 램프레히트 | 을유문화사 | 2001
서양철학의 파노라마 1,2 - 앤소니 고틀립 | 산해 | 2002
인터넷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세계백과대사전 이병수
인터넷 자료
추천자료
[피아제][비고츠키]피아제(Piaget)와 비고츠키(Vygotsky) 비교 고찰(피아제이론 개관, 피아제...
보육의 개념과 의의, 외국의 보육제도 현황과 우리나라 보육제도 현황 비교분석
비고츠키 인지발달이론의 이론적 배경과 특성, 비고츠키 인지발달이론의 구성요소와 내용, 비...
'오래된 미래 라다크에서 배운다'를 읽고 다른 나라와의 문화비교
불교의 죽음, 죽음관, 죽음의 종류, 과정, 극복, 동서양의 죽음 비교[A+추천 레포트★★★★★]
★보육과정의 두 가지(성숙주의, 행동주의)접근법 비교분석 및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보육목표★
[병리, 병리학, 독성병리, 임상병리사, 병리학자, 외과병리학, 비교병리학법, 독성병리]병리...
프뢰벨(Fr&ouml;bel/Frobel)과 듀이(Dewey)의 보육사상을 비교하시오
창조론과 진화론 (창조론의 개념, 정설 & 진화론의 개념, 검증 & 창조론과 진화론의 ...
[인간관계론] 동양의 유교사상과 서양의 기독교사상의 현대적 해석과 비교 - 유교사상의 세계...
공직 인사체제(personnel system)의 유형(공무원제도) - 개방형과 폐쇄형, 교류형과 비교류형
칼뱅사상과 실천,칼뱅주의,칼뱅주의의,루터 칼뱅 비교,루터와 칼뱅의 근본 사상,루터와 칼뱅...
역량(Capability)이란,역량의 개념,실질적 자유,센의 실질적 자유,역량이론 비교,센의 발전론...
소개글